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적합성 평가기준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Criteria for Relevance Judgement of Retrieved Document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0, v.31 no.4, pp.139-164
김홍렬 (동원대학 문헌정보과)

초록

본 연구는 이용자 지향적 평가의 의의와 타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과정에서 개인의 지식과 상황 및 인지적 요인의 변화에 따라 이용자가 인식하는 검색문헌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기준들의 변화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이론가설을 설정하고 이의 검증을 위하여 실제 연구문제를 가지고 있는 5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연구과정에 따라 적합성을 평가하는 기준들과 그 기준들의 변화양상을 관찰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의 분석에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이 활용되었다. 그 결과 연구자들은 연구과정에 따라 적합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평가자에 따라서도 각기 다른 평가기준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검색성능, 적합성 평가, 적합여부, 정보검색시스템 평가, 평가기준

참고문헌

1.

Cooper, W.. (1971). A Definition of relevance for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7(1), 19-37.

2.

Schamber, L.;Eisenberg, M. B.;Nilan, M. S.. (1990). A Re-examination of relevance : toward a dynamic, situational definition.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26(6), 755-776.

3.

Rees, A.;Schultz, D. A.. .

4.

Burgin, R.. (1992). Variations in relevance judgements and the evaluation of retrieval Performance.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28(5), 619-627.

5.

Harter, S. P.. (1992). Psychological relevance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3(14), 602-615.

6.

Cuadra, C.;Katter, R.. (1967). Opening the black box of relevance. Journal of Documentation, 23(3), 291-303.

7.

Saracevic, T.. (1975). Relevance : a review of and a framework for the thinking on the notion in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26(6), 321-343.

8.

Eisenberg M.;Schamber, L.. (1988). Relevance : the search for a definition (164-168). ASIS Mid-Year Proceedings.

9.

Schamber, L.. (1994). Relevance and information behavior. Annual Review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9, 3-48.

10.

Foskett, D.. (1972). A Note on the concept of relevance.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8(1), 77-78.

11.

Swanson, D.. (1986). Subjective versus objective relevance in bibliographic retrieval system. Library Quarterly, 56(4), 389-398.

12.

Belkin, N.. (1980). The Problem of matching in information retrieval (187-197).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Resrarch Forum on Information Science.

13.

유재옥. (1996). 적합 판단 영향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13(2), 143-163.

14.

Barry, C. L.. (1994). User-defined relevance criteria :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5(3), 149-159.

15.

Vickery, B.. (1959). Suject analysis for information retrieval (855-865).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tific Information.

16.

Wilson, P.. (1973). Situational relevance.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9(9), 457-471.

17.

Saracevic, T.. .

18.

Cuadra, C.;Katter, R.. Experimental studies of relevance judgment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