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배희진(숭실대학교) ; 이준호(숭실대학교) ; 박소연(덕성여자대학교) pp.1-17
초록보기
초록

대다수의 웹 검색 포탈들은 인터넷 상의 정보들을 주제별로 분류한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디렉토리들에 대한 접근 과정을 기록한 로그는 이용자의 실제 디렉토리 접근 행위를 사실적으로 반영한다. 본 연구는 디렉토리 서비스 이용자들의 다양한 디렉토리 접근 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네이버에서 생성된 디렉토리 접근 로그들을 분석하였다. “세션”을 한 명의 이용자가 단일한 정보 요구를 지니고 디렉토리들을 접근한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한 후, 본 연구에서는 전체 세션들을 정보 획득까지의 경로에 따라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또한 세션 유형별 디렉토리 접근 빈도, 세션 내 항해 길이, 세션 내 주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효과적인 디렉토리 서비스 구축을 위한 근거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Most web portals provide a web directory service which selects and classifies web sites according to their subject matt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rectory access behavior of general Korean web users, this study analyzes directory access logs of NAVER, a major Korean web search engin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to classify the total sessions into six different session types. This study also discusses directory access behaviors of the NAVER users by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sessions according to session types, the lengths of navigation within a session, and the most frequently visited categor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web directory services.

한성택(숭의여자대학) pp.19-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통합 도서관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 국내도서관 협력체제의 현황은, 국립중앙 도서관을 중앙관으로한 공공도서관 협력망을 비롯하여 지역별 관종별 협력체제가 구축되어 도서관 기능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기능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협력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다양한 형태의 국내도서관 협력체제를 정비하여 새로운 통합 도서관 협력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a model of nation-wide library cooperative system for Korea. It analyzes and investigates the definitions, types and models of library cooperation; and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operations of major cooperative systems in Korea and other nations. There are some cooperative systems such as cooperative system for public libraries operat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other systems based on their regions or library types in Korea. New model of nationwide cooperative system can improve library functions through many cooperative plans.

최재황(경북대학교) pp.51-69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의 발전은 연구환경과 정보수집에 있어서 근본적인 사고의 틀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인터넷 연구환경에서 국내의 인쇄형 학술논문을 전자학술지로 변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일반이용자에게 서비스하는 국가 정보유통기관에는 어디가 있고 그 양은 어느 정도인지, 서비스되는 전자학술지에는 중복이 있는지, 그리고 과학기술 학문분야간 전자학술지의 서비스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한국학술진흥재단의 과학기술분야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정보유통기관간 전자학술지의 중복서비스 현황과 문제점을 다양한 각도에서 제시하였다.

Abstract

Abstract The Internet has rapidly become a global publishing platform, and electronic scholarly journals covering a wide range of subject areas are now available via WW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nd delivery of electronic scholarly journals between national information circulation institutions, the degree of overlap in services between these institutions, and the degree of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mount of electronic scholarly journals between subjects in science and technology(S&T) areas. For the study, Registered and Register-Candidate scholarly journals designat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in S&T areas are used. This study also provided some considerations for the services of domestic electronic scholarly journals between national information circulation institutions.

한혜영(한국교육학술정보원) pp.71-96
초록보기
초록

국내 대학도서관의 경우 해외전자정보 도입이 88년부터 이루어져 오늘날 대다수의 많은 대학에서 웹 기반 형식의 전자정보를 구독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대학도서관의 해외전자정보 구독 현황에 관한 분석 자료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전국 4년제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외전자정보 구독 현황 및 수요 조사」결과를 근거로 국내 대학 전체의 해외전자정보 구독 현황인 구독 비용, 향후 예산, 구독 종수, 대학규모별, 학문의 주제분야별 등의 전반적인 구독 내용을 분석한다. 또한 향후 전자자원 수집 전략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이러한 통계 자료를 몇 가지 상대적 비교가 가능한 수치와 비교한다. 첫 번째 내용으로 외국 대학도서관의 해외전자정보 구독 현황, 국내 분야별 학술연구자 분포, 국내 대학도서관의 인쇄 형태 학술지 구독 현황과 비교한다. 두 번째 국내 대학도서관이 구독하는 해외전자정보의 목록을 대학 규모별로 비교하여 대학규모별 특징과 중복도를 조사한다. 세 번째 국내 대학의 규모에 따른 해외전자정보 구독 현황이 외국의 연구 중심 대학과 학부 중심 대학의 전자정보 구독 현황과의 차이 및 중복을 비교한다. 이러한 상대적 비교 결과를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의 해외전자정보 장서구성을 분석한다.

Abstract

Abstract Most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have expanded the subscription of high-quality electronic resources in their amount and category, which are directly available to academic and research users via the web. Despite more than a decade's history, however, a lack of statistics made it difficult to get the overall pictures of electronic resources subscription statu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analysis on nationwide statistics survey of how much money are spent on electronic resources, what kinds of subject resources are mainly subscribed, and how they are used and required by academic users, etc. Some comparisons are made with several factors that have effect on collection development of university librari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selection and subscription of electronic resources.

배현숙(계명문화대학) pp.97-117
초록보기
초록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in 1945, we were busy building up library collections, especially expanding the quantity of books. As a result, nowadays we witness the problem of limited space to keep the books. Spa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environment of library materials preservation.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to establish many levels of deposit library. The deposit library functions to preserve library materials. Preservation is defined as 'preservatio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Deposit library was not for circulation that established in the Korea Dynasty, was succeeded by the branch libraries for Historical Deposit Libraries and branch library of Kanghwa magistracy of Kyujang-gak(규장각) in the Chosun Dynasty.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stablishment, the activities and functions of the branch library of Kyujang-gak at Kanghwa Magistracy as a deposit library. Hence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future research of the history of deposit libraries in Korea.

Abstract

정현태(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119-133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문화관광부의 공공도서관 관리운영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사서직 관장과 비사서작 관장의 직무성과를 비교하였다. 사서직 관장의 직무성과는 비사서직 관장의 그것에 비교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장의 사서 직급이 높을수록 관리운영 평가실적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서직급 수준과 평가점수 수준 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관장을 사서직으로 요구하는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의 규정은 정당한 것으로 평가된다.

Abstract

This study has compared the job performance of librarian director with that of non-librarian director, by making use of the public library evaluation research executed by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The result was that the performance score of librarian director is much superior to that of non-librarian director. It is found that the more director's librarianship level is high, the more director's performance score is high. Moreover, it is confirmed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performance score and his librarianship level. And so it is evaluated that 'the Library and Reading Promotion Act' which regulates only a librarian to be a public library director is absolutely right.

박문열(청주대학교) pp.135-154
초록보기
초록

This study is a physical and textual analysis on an epigraph, the Stone Epitaph of Hong Jeong-Myeong(홍정명 지석). This was edited by Lee Deuk-Sin and transcribed by Gang Se-Hwang. On the view of physical point, the Stone Epitaph is made of black stone and its size is 27.8 28.2㎝ high, 20.3 20.7㎝ wide, and 2.0 3.6㎝ thick. On the view of textual point, the text of Stone Epitaph is about the career of Hong Jeong-Myeong, and the printed style of writing is by depressed engraving on 8 black stone plane.

Abstract

이만수(대진대학교) pp.155-185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D대학교 신입생들의 독서행태를 조사 분석하여 대학생의 독서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독서교육 방안으로 중앙도서관의 각종 행사 개최, 관련학과의 독서교육 과목 채택, 독서인증제 도입, 필독도서목록 작성, 독서 교양과목 학점 인정, 매체를 통한 독서교육, 독서의 필수과목 채택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reading education methods and searchable reading of new student of D University. This study bring forth variety event of central library, adoption of reading education subject, induction of reading certification, draw up of must book catalogue, accrediting system of reading cultural studies, reading education via media, adoption of a required subject of reading, and so on for reading education methods.

장우권(명지대학교) ; 김현희(명지대학교) pp.187-213
초록보기
초록

은행의 생존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고객)에 대한 금융상품정보의 맞춤정보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소비자들이 금융상품에 대한 구매의사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통한 금융상품 정보의 적절한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이 연구에서 나타난 금융상품 선택과 관련된 소비자 행태, 인터넷을 통한 금융상품정보 정보탐색실태, 금융상품정보에 대한 소비자 정보요구도, 인터넷 금융사이트 제공, 상품정보 콘텐츠 비교, 금융신상품정보 비교, 은행별 상품정보에 대한 계량적 비교 분석은 고객의 정보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다.

Abstract

Nowadays changes of financial environment are internalization, generalization and autonomous system. The most importance in a struggle for existence is to secure a custom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information on financial service accounts have fully offered over internet, which information consumers needed in buying financial service accounts and whether consumer have satisfied with offered information Through thi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financial information offered to consumer over internet and to explore the consumer demanding information model by finding the problems of offering financial information.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which consumers behaviour of information providing and choosing about financial accounts items on internet. 2.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nsumer information need about financial information and related variables. 3.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onsumer information satisfaction about financial information over internet and related variables. 4. to analyze the new information financial service and contents. 5. to analyze the informatic information and financial service accounts.

김정현(전남대학교) pp.215-2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FRBR과 국제표준번호들의 특성을 분석한 후,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의 4개 개체로 구조화되어 있는 FRBR의 저작개념을 토대로 국제표준번호들의 식별대상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ISBN, ISSN, ISMN은 물리적 존재가 전제되어 있는 구현형을 대상으로 식별하고 있으며, IARN, ISRC, ISAN은 물리적 매체 대신에 기록내용을 전제로 하고 있는 표현형을 대상으로 식별하고 있다. 그리고 ISWC와 ISTC는 어떤 형식이나 수단으로 표현하기 이전의 작품을 전재로 하고 있는 저작을 대상으로 식별하고 있다. 둘째, FRBR의 포괄적인 '저작' 개념에 가장 부합하고 있는 것은 ISWC와 ISTC라고 할 수 있지만, 이들의 구체적인 저작개념의 규정을 분석해 보면 국제표준번호들의 저작개념이 기본적으로 작품의 창작성을 식별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FRBR은 의미내용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과 같은 미묘한 차이점이 있다.

Abstract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provides a structured conceptual model for relating the data which are recorded in bibliographic records to identify information resources. FRBR has 4 bibliographic entities - the work, expression, manifestation, and item - in its conceptual model.In this paper, the difference in the 'work' conception between FRBR and international standard numbers is examined. Consequently, the following points are observed:(1) The ISBN, ISSN, and ISMN identify manifestation level, as they refer to the physical expression of a work. The IARN, ISRC, and ISAN identify expression level, irrespective of its manifestation. The ISWC and ISTC identify work level - the unique artistic creation, whatever its expression or manifestation is. (2) ISWC and ISTC does not use the word 'work' in the same way as FRBR does. I think that the differences in meanings of the two usages 'work' come from the different positions to information resources.

최현경(계명문화대학) ; 이창수(경북대학교) pp.237-256
초록보기
초록

최근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는 전자자료의 목록작업은 전자자료의 여러 가지 특성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인터넷자료를 중심으로 여러 유형의 전자자료와 이들 전자자료에 대한 협동목록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대표적인 전자자료 협동목록 시스템으로서 OCLC의 CORC과 LC의 PCC에 대하여 전반적인 상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국내 온라인 전자자료 협동목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issue of the cataloging the electronic resources have been vigorously presented recently because of many problems involved in it.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various formats of the electronic resources mainly centering around the internet as well as the need for cooperative cataloging of the resources.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s to analyse the CORC of OCLC and the PCC of LC. Based on these, the cooperative cataloging system for online electronic resources in Korea is suggested.

곽병희(전북대학교) pp.257-281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이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보서비스 이용 대상자들에 대한 정보이용형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전국 주요 5개 국립종합대학교 및 5개 교육대학교에 재직하는 교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이용형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도서관의 주 이용자인 교수 및 학생집단이 도서관이 제공하고 있는 각종 정보서비스 이용형태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향후 대학도서관이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는데 있어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service, the analysis of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information service users must be pre-examined. Under such assumption, this study made a survey of th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university faculty and students of five National Universities and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This research found out the difference of behavior among main users when they sought the information, which was supplied by university libraries, and gave suggestion and advi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service.

김수연(筑波大學大學院) pp.283-30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현재 가장 큰 변화를 보이고 학술잡지, 특히 전자저널을 중심으로 한국 일본의 정부정책, 관계기관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전자저널의 도입현황, 전자저널 컨소시엄 참가, 현재의 문제점 등을 조사해, 일본과 한국의 전자저널에 대한 정책의 차이점, 협력의 가능성 등을 분석, 비교, 고찰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case of scholarly journal - electronic journal in particular - which are currently in a state of change and investigates the policies of the Korea and Japan government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The decision to acquire electronic journals, participation in consortia, and the present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and the differences in policy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considered with a view to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김창석(Southern Connecticut State University) pp.303-31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ramework for predicting searching performance through an understanding of how cognitive ability relates to searching process and outcom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visualization, logical reasoning, integrative reasoning, and information searching process and outcome. Information searching process was assessed by seven search process indicators: (1) search command selection; (2) combination of search commands; (3) application of Boolean logic; (4) application of truncation; (5) use of limit search function; (6) number of search statements; and (7) number of search errors made. Searching outcome was assessed by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to search questions. Subjects first took three standardized cognitive tests that measured cognitive abilities, and performed online catalog searching in response to seven information search questions. The searches were logged using Lotus ScreenCam, and reviewed for the analysis. Factor analysis was used to find underlying structures of the seven search process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examine the predictive power of three cognitive variables on three extracted factors, and search outcom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logical reasoning could predict information searching process and outcome.

이종문(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pp.319-33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도서관 환경에서 새로이 요구되고 있는 저작권 및 그 이용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관리적 메타데이터 조직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디지털도서관에 요구되고 있는 메타데이터의 유형을 파악하고, 둘째 디지털도서관이 정보의 조직화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 MARC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셋째 저작권법에서 요구하는 관리적 메타데이터에 대한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MARC, 더블린코어, 저작권신탁기관의 관리적 메타데이터 시스템이 상호 연동되는 관리적 메타데이터 조직화 및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how to systemize administrative metadata required for manag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heir applications, which has been newly requested in digital library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types of metadata required in digital libraries were identified. Secondly, this paper detected problems in MARC that digital libraries have been using as the tool for information organization. Finally, the structures of administrative metadata required by copyright law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researches above, this paper proposed how to systemize and operate administrative metadata that interlocks MARC, Dublin Core and administrative system of copyright trust agencies.

한윤옥(경기대학교) ; 곽철완(강남대학교) pp.337-357
초록보기
초록

본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강화를 위하여 협력사례를 조사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고 이용자 서비스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별로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사례를 조사하기 위한 워크숍을 통하여, 학교도서관, 공공도서관, 교육청 관계자들로부터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제도적인 측면, 인적자원의 문제, 콘텐츠 및 서비스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3가지 협력 모델을 개발하였다.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 모델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발달한 대도시에 적합하며, 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 지원 모델은 학교도서관이 열악한 중소도시에 적합하며,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 모델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모두가 열악한 농어촌 지역에 적합하다. 하지만, 현재의 지역적 상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적합한 모델을 채택하여 시범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수정 보완하여 적합한 모델을 적용시켜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ses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in order to reinforce their cooperation, and to prepare the base for development of school libraries. Data is collected through five workshops which attended school librarians, public librarians, and the peoples in the several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ree models of school and public library cooperation. School library - public library cooperation model is suited for metropolitan area where school library and public library are developed. Public library support model is suited for mid-size cities where school libraries are undeveloped. School library and public library integration model is suited for small towns where both schoo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are undeveloped. These models, however, should be revised through testing several libraries and different situations

장덕현(부산대학교) pp.359-376
초록보기
초록

학술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학술지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으며, 학문연구의 전반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학술지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필요성은 매우 높다. 그러나 평가는 단순히 학술지의 우열을 가리는 것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평가대상의 효율, 장점과 단점을 보여주고, 단점을 보완하여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학술진흥재단의 학술지평가 정책에 대한 논란을 재조명하고, 이 정책이 학술담론의 생산과 유통에 개입함으로써 학문 연구의 창조성과 자율성을 억압하는 면은 없는지, 구체적으로 등재 학술지와 이를 생산하는 학회 그리고 평가의 주체 기관의 권력화가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등의 문제들을 살펴본다.

Abstract

The role of scholarly journals in academic world is widely known and i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tool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larly communication. To do this, reasonable and legitimate evaluation methods are to be designed and to be applied. However, despite a lot of criticism regarding this issue, current journal evaluation policies have not drawn attention in related disciplines. In this regard, this paper attempts to shed light on some aspects related to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 journal evaluation policy. Potential problems are particularly highlighted. It also addresses issues in using such data and tools in evaluating scholarly performance of researchers in academic institutions.

권나현(명지대학교) pp.377-397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e of communit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light of its dual visions (i.e., serving as an affordable Internet service provider and a community building tool). Surveying the randomly selected users of a community network (n = 213),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community features on service use compared to that of Internet features.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respondents were using the service mainly for general Internet features, such as email and web access. More than two-thirds of the respondents did not recognize community contents as available service. Community features of the service were foun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use only among people who were aware of community contents but not among people who were not. Nonetheles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mount of use between the two groups, indicating that the awareness of community contents itself did not increase u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ervice providers did not fully communicate the community aspect of the service with the users although the very aspect distinguishes the service from other Internet servic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