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윤희윤(대구대학교) ; 김일영(대구대학교) pp.1-22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1
초록보기
초록

국내 공공도서관이 설치․운영하는 일반열람실은 문화선진국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 한국적 특수성을 대변하는 공간이다. 그것이 지역주민을 위한 필수공간이라면 모든 공공도서관이 설치․운영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기존 공공도서관은 일반열람실의 축소 내지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신축도서관은 설치여부를 전략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열람실 운영현황 및 주요 쟁점을 분석한 후에 직원(사서)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일반열람실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비교하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지방공공재 논의의 중심적 테마인 일반열람실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에 단초를 제공하고 바람직한 대안을 강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The general or separate reading room in domestic public libraries is a space that represents Korea's unique characteristics that are rarely found in advanced cultural countries. If it is an indispensable space for residents of the community, all public libraries should install and operate it. Otherwise, the general reading room of existing public libraries should be reduced or improved and the new library needs strategic thinking about its install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the operation status and major issues of the general reading room, and then suggested the direction based on the survey and comparison of the recognition of the general reading room for the staff (librarian) and the users. The results can contribute not only to the ongoing debate on the general reading room, which is the central theme of discussion of local public goods, but also to find desirable alternatives.

조현양(경기대학교) ; 조미아(경기대학교) pp.23-46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2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viding book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match their personality type on their reading attitud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among the 2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are enrolled in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classes at th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South Korea.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tudents was determined by the Enneagram test. In this study, students were given with books that match their personality type and the effect of the provision was investigated.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ct that books that match their own personality type made the children curious about the books, evoking their interest in reading. Second, the children exchanged their books with those who have similar personality type after they finish reading. As a result, the children could be exposed to more diverse books. Third, the students were curious about what kind of books were given to those with different personality type.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ant to read all of the different types of books too.

곽승진(충남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정대근(전남대학교) pp.47-75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근대문학서비스의 이용현황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이용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의 근대문학 서비스에 대한 이용률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경험자의 이용만족도는 보통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용률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현재 제공되고 있는 근대문학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전시 및 관람 정보에 대한 홍보는 근대문학자료 이용자로의 직접적 발로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전시, 관람 행사의 진행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셋째, 응답자들은 도서관 홈페이지, 포털사이트, SNS 등 온라인을 통한 홍보 매체가 효과적인 홍보방법이라고 하였으나, 저학력과 고연령층에서는 오프라인 매체를 통한 홍보방법을 선호하고 있어 홍보매체의 선정에 있어 심도 깊은 논의와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age and Satisfaction Levels of modern literature services provid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explore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use of the modern literature service. The result show that the usage rate of users for the modern literature service is very low,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xperienced users are found to be normal.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and the Satisfaction Level, first, it is required for active promotion of current modern literature services. Second, the public relations of exhibitions and viewing information are provided direct access to users of the modern literary materials, so various types of exhibitions and events are necessary. Third, although respondents said that library homepage, portal site, and SNS are effective public relations methods, in the case of less-educated and seniors, they prefer public relations through offline media. Therefore, deeper theoretical considerations are necessary in order to select affordable public relations media.

이성신(경북대학교) ; 성희자(경북대학교) ; 이세나(경북대학교) pp.77-97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 동구 안심지역의 아띠도서관이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나갔었던 과정을 탐색해봄으로써 지역사회에서의 작은도서관의 역할과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아띠도서관 만들기모임 초기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띠도서관은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들 간의 인적네트워크가 공고해지고 확장되는 토대가 되었으며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지역의 공동체가 성장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지역의 작은도서관들은 단지 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심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포함하여 자신들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new role of the small libraries in the community as the center of the community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case of Atti library in Daegu.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original members of the Atti library.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metho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human networks of the community were solidified and expanded through the Atti library. Furthermore, the community people could have more confidence i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could grow further through the Atti library. The small libraries should think about their new roles as the center of the community beyond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ies.

노지현(부산대학교) ; 조용완(대구가톨릭대학교) pp.99-122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99
초록보기
초록

우리 정부에서는 외국 도서관의 운영사례를 참고하여 지역중앙관과 거점도서관, 소규모 분관으로 구분하는 ‘지역 도서관 서비스 실행 체계’에 관한 추진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도서관계의 관심이 저조하고, 무엇보다 운영주체의 이원화로 인한 구조적 문제에 가로막혀 지금까지 어떠한 실행전략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하여 지역 공공도서관들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통합 운영체계(안)을 제안하고, 이러한 통합 운영체계 속에서 도서관의 지위에 따른 역할과 기능을 구상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1) 공공도서관의 통합적 운영체계에 대한 그간의 실행계획을 검토하고, (2) 해외 도서관의 운영체계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시도한 다음, (3)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하여 통합 운영체계를 전제로 한 도서관별 지위와 역할 설정 등 현실적인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방문조사 및 문헌연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이메일 질의와 각종 통계자료로 보완하였다.

Abstract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plan on the ‘service operating system of public libraries’, which divides the local libraries into a central library, regional libraries, and small branches. However, due to the low interest of the libraries and, above all, the structural problems caused by the dualization of the library administrative bodies, no action plans have been developed.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for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politan and to design specific roles and functions according to the library status. To the ends,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government’s plan for public library operation, analyzed the operation cases of foreign public libraries, and finally suggested the detailed action plan of an integrated operating system based on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on site field survey, supplemented by e-mail inquiry and official statistical information.

박주현(University of Missouri) ; 변우열(공주대학교) pp.123-147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12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이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학생들의 독서행태에 대한 학교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전국 154개교의 초, 중, 고등학생 5,349명을 대상으로 독서환경, 학교도서관, DLS와 관련된 내용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사서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보다 사서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학생들이 독서하는 시간이 더 많았고,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며, 읽을 책을 선정할 때 사서교사의 도움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책을 더 많이 대출하였고, DLS를 이용한 경험이 많았으며 DLS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간 차이는 ‘사서선생님의 수업’, ‘대출권수’, ‘책 선정시 사서선생님의 도움’, ‘하루 평균 독서시간’, ‘가정 보유 책 수’, ‘학교도서관에서 책읽기’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간의 교육환경에 대한 불평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을 배치하고 이들의 전문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 personnel on students' reading behavior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schools on i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5,34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154 schools across Korea, and conducted a survey on reading environment, school library, and D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at the school where teacher librarians works are more likely to read books, participate in various reading programs, receive more help from teacher librarians in selecting books to read, lending more books, have more experience with DLS and satisfaction with i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s were in the order of ‘classes which school library personnel took part in,’ ‘number of borrowed books,’ ‘help in selecting books,’ ‘average reading time per day,’ ‘number of home books,’ ‘reading in school libra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lacement of school library personnel and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in order to prevent inequalit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etween schools.

조용완(대구가톨릭대학교) pp.149-171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1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제1회 동시선거부터 제6회 동시선거에 출마한 346명의 광역자치단체장 후보자들과 187명의 교육감 후보자들의 선거공약 중 도서관 관련 공약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게시된 선거공보와 선거공약서 등의 후보자 선전물을 대상으로 도서관 관련 공약을 조사하고 그 수와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역단체장 후보자들과 교육감 후보자들의 도서관 공약은 양적, 질적 측면에서 한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광역단체장 후보자들의 도서관 공약 비율이 매우 낮아 개선이 필요한 상태였고, 관련 공약들도 도서관 건립에 과도하게 집중되었으며, 이것도 공공도서관보다 작은도서관 설치 공약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교육감 후보자들의 공약내용은 도서관에 관한 중요 항목들에 고르게 분포되었으나 학교도서관에 비해 공공도서관 공약이 부족하였고, 학교도서관의 발전에 긴요한 요소에 관한 공약들이 결핍되어 있었고, 일부 공약들은 국내 학교도서관의 맥락을 잘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도서관 운영에 큰 역할을 수행하는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후보자들의 공약 전체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나 공약 이행에 관한 분석과 기초단체장 후보자들의 공약 분석은 실시되지 않아 한계를 가진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brary related campaign promises of the candidates for the heads of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the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between 1st and 6th nationwide local election in Korea. To do this, the library related campaign promises of 346 candidates were analyzed by analysing the official gazettes for elections digitally archived in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of Korea. As a result, the campaign promises of the candidates were insufficient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The candidates for the heads of metropolitan governments showed low ratio of the library related campaign promises, excessive concentration on construction or installation of libraries and higher preference for small libraries than public libraries. The candidates for the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showed relatively balanced distribution of the election promises on library fields. But the campaign promises related public libraries were insufficient and the campaign promises of school libraries did not reflect the major elements of school libraries and the context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강지혜(동덕여자대학교) ; 차성종(숭의여자대학교) ; 배경재(동덕여자대학교) pp.173-191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173
초록보기
초록

지난 10년간 국내 도서관계에서는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관련 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관련 법안이 마련되고, 시설과 설비가 확대되고, 관련 장서와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비율이 증가추세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장애유형별 이용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이용자 면담과 전문가 델파이 연구를 통해 이용자들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핵심요구를 파악하였다. 이용자들은 자원의 양적 확대와 함께 질적 확대, 개별화된 서비스와 프로그램 제공, 시설 편의성 증대, 웹과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성 향상, 전문적인 인력 배치 등을 요구하였다.

Abstract

Over the past decade, the environment around libraries for the disabled has been greatly improved. Related legislation was established, facilities and facilities expanded, and the number of related collections and programs increas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urvey of users' need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needs to be completed.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existing research and analyzed the core needs of each type of disability employing user interviews and expert Delphi research. Users demand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of resources as well. Users needed personalized services and programs, convenience in using facility, accessibility of web and applications, and professional staff.

문방희(경기대학교) pp.193-214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1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K-MOOC 시대 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 및 사례를 조사하여 도서관의 역할을 도출한 뒤, 이러한 새로운 역할들의 국내 교육환경 도입 시 적절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조사는 K-MOOC 강좌를 담당하고 있는 교수자 30명으로 구성된 패널과 K-MOOC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는 대학의 사서들 30명으로 구성된 패널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두 전문가 패널은 공통적으로 저작권 청산, 정보이용자가 원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제공 등 정보제공자로서의 도서관의 고유 역할에 대하여는 동의하는 반면, 촬영 및 녹음, 홈페이지 운영, 오픈액세스 제공 등의 기술적인 영역은 교수학습개발센터가 전담하고 있으므로 도서관의 역할로서 적절치 못하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교수자들은 기술발달속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만큼 학생뿐만 아니라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정보문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 동의하고 있으며, 사서들은 부가가치 창출, 여러 교육기관 및 기술협력체와의 긴밀한 관계 구축, 도서관 조직유연성 확보 등을 통해 새로운 변화에 부응하는 핵심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atorily investigate the new roles of libraries in the era of K-MOOC. For this, potential roles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from former researches and practices. And to evaluate the appropriacy of those roles, two expert surveys were conducted. Panel A was comprised of 30 professors who had been running K-MOOC classes and Panel B was comprised of 30 librarians of Universities that had adopted K-MOOC. The result shows that they both agree about distinct roles of library as information provider such as licensing and providing digital contents requested from information users, while technological part, for example, recording video and audio, managing website, and providing open access, was considered inappropriate because those roles were already taken by CTLs. Also, professors agree that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s required for teachers not just for students as the spee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too swift and librarians agree that they have to equipped with core competence in preparation for upcoming change by creating added value, establishing closer relationship with various educational and technological institutes, and securing organizational flexibility.

강봉숙(대구서부고등학교) pp.215-232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215
초록보기
초록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과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웹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이 느끼는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은 5점 중 3.72점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6가지 핵심역량에 대해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의사소통 역량이 4.07점으로 가장 높게, 창의적 사고 역량은 3.6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 이용자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핵심역량 자아효능감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6개 핵심역량 모든 영역에서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방향 설정과 학교도서관 교육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의 실천을 가속화시켜줄 바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s on foste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doing the research, web survey has been conducted and the data of 211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 facilitation is ranked 3.72 out of 5 point. High school student users' self efficacy is examined toward six core competencies of 「2015 Revised Curriculum」. The point of communication skills turns out to be 4.07 which is relatively high, and tha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is 3.66, which is relatively low.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 facilitations and core competency skills and self efficacy shows quantitatively meaningful correlations in all six competency areas. Based on the consequences of the study, the foundation will be established on the orientation of school library service and the acceleration of practic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강정아(건국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pp.233-265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2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사회적 효과를 측정하여 어린이도서관의 사회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린이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사회적 효과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적 영역의 표현력/창의력, 자존감, 즐거움/기쁨/행복과 사회적 영역의 문화예술태도와 문화예술경험변화 및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친구관계 증대, 지역커뮤니티 생성과 강화, 지역사회 소속감/공동체성, 지역사회참여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어린이도서관은 어린이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사회적 상호작용 역량의 향상, 지역사회 공동체 유지 및 지역커뮤니티 생성과 강화, 지역애착과 지역 활동 참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회자본으로 가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ocial impact of the cultural programs of the children's libraries in Korea and further present the libraries’social value. To this end, we have conducted a survey on 5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ssess the social impact of the children libraries’cultural programs. As a consequence, we have ascertained the children's expressiveness / creativity within their personal realms, self–esteem, pleasure / joy / happiness as well as their attitude towards cultural arts and change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further to growth in friendship as a matter of social interaction, generation and strengthening of local communities, sense of affiliation with local community / identify, and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the manifestations of the social impact concerned. Based on this, children’s libraries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social capital of the community in the following aspects. Children’s libraries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nd children's interaction skills. It also make them feel attached to the local community. Children's libraries maintain local communities, contribute to the creation and strengthening of local communities, and encourage participation in local activities.

송지애(경기대학교) ; 조미아(경기대학교) pp.267-292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2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공감독서교육의 현실적인 공감주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 10명을 선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공감독서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전문가 집단 10명과 교재도서의 중요도 선정을 위한 전문가 집단 12명의 델파이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경기도 U시 소재 A초등학교 5학년 104명을 대상으로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pathy reading education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First, in order to select realistic empathy topics for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program, 10 specialist groups were selected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s well. 10 expert in the development of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program and 12 experts for selecting the importance of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textbook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Delphi investigation and analysis.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program was studied and conducted on 104 grade 5 students in 'A' elementary school in U city, Gyeonggi-do. In conclusion,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최두원(전북대학교) ; 강주연(전북대학교) ; 양동민(전북대학교) ; 이현주(국립세종도서관) ; 오효정(전북대학교) pp.293-320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2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사항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국립세종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이용자 참여 로그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운영과 이에 대한 이용자의 실질적인 참여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용자 참여 로그의 누적기간은 2015년 3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이며, 해당 로그에서 프로그램 정보 722건, 프로그램 참여 정보 24,816건, 이용자 정보 6,729건을 추출·분석하였다. 세부 분석은 프로그램 분석, 이용자 분석, 시계열 분석 등 다각도로 진행되었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립세종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문화프로그램을 분석했던 기존 연구와는 달리 실제 이용자 참여 로그를 활용하여 이용자 측면에서 문화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library culture-program management and propose methods for improving the program management.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this study examines current state of culture-program management and user’s participation by analyzing users’ participation log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The users’ participation logs have been accumulated from May, 2015, to December, 2017, and the logs contain 722 program data, 24,816 program participation data, and 6,729 users data. The data were used for analyzing of program management, users’ characteristics, and changes based on timelin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culture-program management problems were pointed out and future improvement methods for solving the problems were proposed. This study analyzes culture-program management in view of users using real users’ participation logs, and it has significance for being different from preceding researches focusing on culture-program provider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