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강숙희(인천대학교) pp.1-25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recent years,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regular classrooms and special classrooms in mainstream schools has been a major stream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education for teacher librarians in Korea has not been responsive to these trends. A few of department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niversities offer courses that include information about special needs students. This study addressed the implications of inclusive education, the roles of school library and the training needs of teacher librarians for service to special needs students. And it analyzed tendency and current states of teacher librarians education on inclusive education. As a result, it is recommended that department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n universities offer more courses concerning educational support for special needs students in their curriculum and include of special modules in their most of courses offered to enhance the skill of future teacher librarians to cater for special educational needs.

안인자(동원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최상기(전북대학교) ; 김혜주(한성대학교) pp.27-52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프로그램 교과내용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헌정보학과 졸업자가 학부에서 이수한 교과목 분석을 통하여 선행된 교육 이수 내역을 조사하였고, 국립중앙도서관의 계속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사서들의 교육 수요조사를 조사하였다. 외국의 계속교육프로그램으로는 ALA, SLA를 비교분석하였다. 새로이 개설되는 신규교과목 경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문헌정보학 주제분야별로 교육내용을 제시하였다. 제안되는 교과내용은 전자출판과 저작권, 도서관미래, 톡소노미 및 통제어휘, 특허정보, 과학정보리터러시, 오픈억세스프로그램, 도서관가치인식, 라이센스 이슈, 고객응대 등이다.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 for librarian, as to reinforce the professionalism. It researches the previous educational attainments of undergraduates who studied library science. Then it analyses the current continuing program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librarians’ demands for the program. The research also compares ALA and SLA as foreign cases of continuing programs, and their trends observed from the newly opened sessions. This paper, therefore, reports a series of educational contents in library science by their subjects. The proposed curriculum includes subjects including electronic publishing and copyrights, Future of Library, Taxonomy and controlled vocabulary, Patent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Literacy, Open Access Program, The Value of Library, Licensed Issues, Customer Service program etc.

이기명(울산남부도서관) ; 이제환(부산대학교) pp.53-72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5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 독서치료를 ‘치료적 독자상담’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관련 이론들을 검토하고, (2) 그러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하여 ‘치료적’ 독자상담의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근거에 대한 논의에서는 구성주의적 관점의 정보행태 이론, 특히, 더빈이 제시한 ‘의미형성이론’과 컬다우가 활용한 ‘불확실성 이론’이 치료적 독자상담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나아가 ‘치료적’ 독자상담의 과정을 세부 단계로 구체화하여 독자상담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개념적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search and analyze information theories which are useful to approach bibliotherapy in terms of 'therapeutic' readers' advisory service, and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of 'therapeutic' readers' advisory service on the basis of such theoretical foundations. To the end, Dervin 's sense-making theory and Kuhlthau's ISP model are introduced and applied to the conceptual model. The conceptual model is profoundly based on Dervin's situation-gap-use metaphor and Kuhlthau's Uncertainty Principle.

이연옥(부산대학교) ; 노영주((사)가족친화전략연구원) pp.73-98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7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독서프로그램이 소외계층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운영하는 ‘2011년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한 소외계층 아동 1,6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와 의미를 다각적으로 고찰하고자 독서프로그램에 대한 관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사업 수행과 관련된 사서, 강사, 기관 담당자와의 면담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서프로그램 참여 후 소외계층 아동의 독서에 대한 관심과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아동의 정서적인 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도서관에 대한 아동의 경험과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아동의 평가는 긍정적이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and meaning of reading program for alienated children.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collected its data through surveys and observations with 1,643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the reading program by Library of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an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with librarians, instructors and representatives of agencies that related to the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improvements in children's reading interests, reading attitude and affect in the program. And children's experiences and interests in libraries were increased after the program. Children evaluated affirmatively the program and children's demand for the program was increased.

이경호(대구대학교) pp.99-122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99
초록보기
초록

통본 연구는 미래 서지기술의 국제적 표준으로 등장한 RDA를 대상으로 하여 RDA에서 개발의 목적으로 지칭하고 있는 이용자 과업(user task)을 다룬다. RDA는 FRBR-FRAD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이용자 과업의 실현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용자 과업이란 이용자가 정보탐색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원의 발견, 식별, 선정, 입수의 영역과 자원과 관련된 개체(개인, 가족, 단체, 개념 등)의 발견, 식별, 확인, 이해의 두 영역이다. 본 연구는 RDA의 개념모델인 FRBR-FRAD를 통해 RDA에서 어떻게 자원을 개체와 속성, 그리고 관계의 모델로 정의하고 있는지 분석함과 더불어 이를 근거로 RDA가 어떻게 이용자과업을 지원하고자 하는지 그 방법들을 밝혀보고자 한다.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user task that is the goal of development of RDA(Resource Description & Access),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future bibliographic description. RDA seeks to implement the user task based on FRBR-FRAD model. User task could be composed of two areas: (1) find, identify, select, and obtain of bibliographic resources in information seeking and (2) find, identify, clarify, and understand of entities related to resources (i.e., person, family, corporate, concept, etc.).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resource is defined with entity, attributes, and relationship in RDA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of FRBR- FRAD. And this finally shows the ways of supporting user task in RDA.

윤정옥(청주대학교) pp.123-141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12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제적 규모의 종합목록인 WorldCat을 전 세계 도서관에서 특정한 주제 관련 지식자원 분포 현황의 분석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Korea, Korean, Japan,과 Japanese라는 네 개의 주제 키워드를 사용하여 검색한 서지레코드를 매체, 장르, 언어 패싯을 사용하여 ‘한국’과 ‘일본’ 관련 지식자원의 분포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전 세계 도서관에 한국 관련 지식자원의 소장규모는 일본 관련 자원의 절반에 못 미치고, 특히 청소년 대상 자료는 규모 및 매체, 언어, 장르 등 특성 면에서 일본 관련 자료보다 제한적이며 다양성이 적었다. 또한 두 건의 서지레코드 사례를 검토하여 이용자 서평 등의 내용이 관련 지식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추론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WorldCat, an International Union Catalog operated by OCLC as a tool for analyzing the trend of knowledge distribution in libraries around the world. In this study, four subject keywords, that is, Korea, Korean, Japan, and Japanese, were used to search materials related to Korea and Japan, and four facets, including medium, genre, language, and user level, were used to categorize search results from the WorldCat. The result shows that information resources related to Korea held by libraries around the world are only a little more than a third of Japan-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Especially Korea-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for juveniles are less in numbers and lack in diversity in languages, media and genres, when compared with Japan-related information resources. Also an examination of two bibliographic records demonstrates that viewpoints expressed in user contributed reviews might affect diffusion of knowledge on certain subjects in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사공복희(전남대학교) pp.143-171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143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는 이용자에게 친근하게 설계되어 있는가. 어린이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을 이용하는 데 어떤 어려움을 갖고 있는가. 어린이 이용자들은 온라인목록에 대하여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이런 문제에 대한 답을 통하여 검색도구로서의 온라인목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어린이 28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탐색자가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을 실제로 탐색하는 과정 중에 보이는 행태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입수하였고, 탐색 후 질문지를 통하여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Abstract

The primary questions addressed by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s: Have the OPAC interfaces of children's libraries been designed user-friendly; What difficulties have OPAC searchers experienced in using OPACs; How do they perceive the system after searching it; Through the answers of those questions the problems of OPACs for children as searching tools have been grasped and recommendations have been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OPAC interface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28 children of grades 4 to 6 performed 5 searching tasks. The searching behavior of OPAC searchers has been analyzed thoroughly. The data of their perceptions about the system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fter completing the tasks.

최재황(경북대학교) ; 차성종(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정책과) pp.173-200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1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699개 공공도서관의 2010년 한 해 동안의 운영실적을 평가한 결과를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평가결과 전체 영역의 평균 도달률은 56.6%로 나타났다. ‘장서관리’ 영역(65.8%)과 ‘계획’ 영역(60.8%)이 높은 도달률을 보인 반면, ‘교류협력’ 영역(41.8%)과 ‘지역사회유대’ 영역(48.5%)은 상대적으로 낮은 도달률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류협력’과 ‘지역사회유대’ 영역의 낮은 도달률은 향후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이 서비스 향상을 위해서 타 관종 및 지역사회 내 다른 기관과의 유대활동이 보다 더 확대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운영평가가 국가 도서관정책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운영평가의 결과에 기반 한 대안 도출 노력이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for the Korean 699 public libraries during the year of 2010. The 'collection management' area(65.8%) and 'strategic management plan' area(60.8%) showed high performance rates compared to the average rates of the entire areas(56.6%). On the other hand, the 'cooperation with other libraries' area(41.8%) and 'cooperation with other communities' area(48.5%) showed relatively low performance rates compared to the average rates of the other areas. This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enhance public library services in the future in Korea, cooperation with other libraries and communities are indispensable. This study also recommends that the annual "Korean Public Libraries' Management Evaluation" project be focused on connecting to the national library policy and try to present alternati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nual project.

조재인(인천대학교) pp.201-219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201
초록보기
초록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발생된 클라우드 컬렉션은 네트워크상의 또는 물리적 형태의 플렛폼을 통해 도서관간 중복된 장서를 공동 보존․활용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시키는 프레임웤을 의미한다. 전자책 시장 활성화와 인쇄본의 소급 디지털화 경향은 라이선스 기반의 전자책 서비스와 도서관 소장 도서의 공동 활용을 추구하는 새로운 장서 관리 패러다임을 예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보존과 인쇄본 공동 보존이 상보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컬렉션의 개념에 대해 논의하고, 한국 대학도서관의 클라우드 컬렉션 도입 방향을 전망해 본다.

Abstract

Cloud collection, which is derived from cloud computing, is a framework that creates new value through library cooperative platform to preserve and manage libraries’ duplicated collection. Due to E-book market vitalization and mass digitalization of retrospective print material, new library collection management paradigm has been expected that licensed based E-book service and management of shared print repository. This study discuss cloud collection concept which digital repository and Shared print repository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 And suggest cloud collection model can be applicable to Korean university libraries.

이정수(중앙대학교) ; 남영준(중앙대학교) pp.221-239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221
초록보기
초록

도서관 이용자의 복잡한 환경과 이용패턴에 따라 생성된 정보는 지식구조화를 통해 이용자에게 적합한 상황인지 정보서비스에 활용된다. 따라서, 도서관 이용자의 다양한 컨텍스트를 정의하고 상호 관련된 컨텍스트의 지식 구조화를 위한 컨텍스트 모델 구축이 필수적인 요건이다. 본 연구에서는 컨텍스트의 개념 및 컨텍스트 모델링을 고찰하고, Engestrom의 행위이론의 개념을 활용하여 도서관 이용자의 행위 모델을 1) 주체, 2) 목적, 3) 도구, 4) 노동단위, 5) 커뮤니티, 그리고 6) 규칙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도서관 이용자의 컨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하여 행위정보를 수집하여 그들의 행태를 관찰 및 기록하는 사용자 추적법(Shadow Tracking)을 활용하였고, 수집된 행위정보는 CAbAT(Context Analysis based on Activity Theory)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도서관 이용자의 컨텍스트를 설계하였다.

Abstract

The information that has been created according to the complex environment and usage pattern of library user can provide context-aware information service through knowledge structuralization on whether it is a suitable situation for user.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context model for defining the various contexts of library user and for the structuralization of interrelated context information is an essential requir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xt concept and context modeling, and utilizing the concept of Activity Theory by Engestrom, the activity model of library user was designed as 1) subject, 2) object, 3) tools, 4) divison of labor, 5) community, and 6) rules.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context of library user, activity information was tracked to utilize the Shadow Tracking for observing and recording their forms, and the methodology of CAbAT (Context Analysis based on Activity Theory) was utilized for the collected activity information to analyze the user context model.

김세영(성균관대학교) ; 김성훈(성균관대학교) ; 오삼균(성균관대학교) pp.241-259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2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도입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의 관련 문헌을 조사하여 개념과 유형, 적용 사례를 포괄적으로 분석한 후,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기반으로 도서관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를 적용할 때의 장점과 문제점, 적용에 적합한 도서관 업무 분야를 사서들의 설문 내용에 근거하여 도출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의 도서관 적용에서 핵심적으로 고려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otion, types and best practices of cloud computing service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o analyze the librarians' perceptions of cloud computing service on the basis of a survey. The survey sought to check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loud computing service from librarians' perspectives and to find the specific areas where cloud computing service may be effective in libraries. Some key considerations in the application of cloud computing services to library systems are also suggested.

강미희(전남대학교) ; 홍현진(전남대학교) pp.261-285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26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편익기준의 이론적 타당성을 확인하고, 이용자편익기준과 어린이발달영역과의 상호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이용자편익기준이 어린이도서관의 이용자편익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이 연구는 전국 어린이도서관 이용자 2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발달-행동의 용이성, 정서발달-생리적 유지성, 인지발달-지각적 유지성, 사회성발달-사회적 용이성의 대응관계는 적합하였다. 둘째, 편의성, 안전성, 다양성은 행동의 용이성, 자존감, 쾌적성, 편안함은 생리적 유지성, 심미감, 역동성, 융통성은 지각적 유지성, 휴식성, 소통성, 영역성은 사회적 용이성의 측정지표로 타당하였다. 셋째, 신체발달을 선호할수록 행동의 용이성을, 정서발달을 선호할수록 생리적 유지성을, 인지발달을 선호할수록 지각적 유지성을, 사회성발달을 선호할수록 사회적 용이성을 선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user benefit criteria can be applied as the user benefit criteria of children's libraries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validity of the user benefit criteria and furthermore, by clarifying and verifying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user benefit criteria and the child development area. For such a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247 users of children's libraries in the country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development and behavioral facilitation, emotional development and physiological maintenance, cognitive development and perceptual maintenance, and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and social facilitation was appropriate. Second, usability, safety and diversity was valid as an index of behavioral facilitation, self-esteem, amenity and peacefulness was valid as an index of physiological maintenance, esthetic sense, dynamics and flexibility was valid as an index of perceptual maintenance, and leisure, communication and territoriality was valid as an index of social facilitation. Third, children who prefer physical development prefer the benefit of behavioral facilitation, children who prefer emotional development prefer the benefit of physiological maintenance, children who prefer cognitive development prefer the benefit of perceptual maintenance and children who prefer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prefer the benefit of social facilitation.

김광석(대구경북연구원) ; 오동근(계명대학교) ; 여지숙(계명대학교) pp.287-301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28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2011년 현재 운영중인 7개 외국학술지지원센터의 운영효과를 점검하기 위해 그 비용과 편익을 분석하였다. 사업개시부터 30년 경과시점을 기준으로 한 투자타당성 분석 결과, 비용편익비율(BCR)은 0.99, 내부수익률(IRR)은 5.49%, 누적순현재가치(NPV)는 -507백만원으로 나타났다. 다만 민감도분석에서는 저널이용건수와 사회적 할인율, 중복구독 중단 등의 항목의 변화에 따라 비용편익비율이 변화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costs and benefits of the seven individuals centers of Foreig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Results of the investment feasibility analysis based on 30 years time span show that 0.99 of BCR (Benefit-Cost Ratio), 5.49% of IRR (Internal Rate of Return), and -507 million Won of NPV (Net Present Value). Sensibility analysis suggests that BCR can be influenced by the journal usage, social rate of discount, and elimination of the duplicate journal among individual centers.

최흥식(전주대학교) pp.303-320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3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연구가 구체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적지않은 대학도서관에서 주제전문사서를 두어 운영하고 있는 시점에서, 실제 이용자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지, 필요성, 유용성 등을 인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서 이용자의 교육과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및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표본도서관을 선정하여, 도서관을 이용하는 실제 이용자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이용자가 요구하는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사서의 자질과 이용자인식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이를 기반으로 대학도서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실제적인 이용자인식제고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At the time of operating and studying the subject special librarians of university libraries, an aim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ways for the users to be aware and make the best use of them, and to receive the necessary assistance from them. To achieve this, I examined carefully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tates, and surveyed and analyzed the actual users' awareness of these operations. Furthermore, I investigated the way to improve the required qualifications to be subject-special librarians and the users' awareness of them. Therefore, I finally examined the way how they reconsidered the actual users in the university libraries.

박진희(전북대학교) pp.321-347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321
초록보기
초록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과 Wi-Fi망의 확대,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등이 실시되면서 PC라이프 스타일에서 모바일 라이프 스타일로 변화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각계 각층에서는 2차원 바코드의 일종인 QR코드를 홍보, 마케팅 툴로써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현재 QR코드는 일상생활에서도 대중적인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환경에서 국외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에서는 2~3년 전부터 QR코드를 도서관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으며, 국내 도서관에서도 최근 모바일도서관 웹사이트 구축이 증가됨에 따라 QR코드를 서비스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QR코드의 특성과 확산 배경에 대해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국내외 도서관에서의 QR코드 활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QR코드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영역을 도출하고, 이를 위한 고려사항에 대해 제시하였다.

Abstract

Recently, the expansion of smart phones, wi-fi, and unlimited service changed our life style from personal computer based to mobile device based. With this trend, a lot of companies and government facilities use QR code as an advertising material, and now the QR code is very popular service in our ordinary life. In the meantime, libraries in abroad and university libraries started using QR code in library service about 2 or 3 years ago, and domestic libraries started using it in service due to the increase of establishment of mobile Library websites. In this research, starting with looking into the literature, I analyzed the examples of the use of QR code in libraries. On the base of it, I drew a QR code library service model, and what needs to be considered for the use of it.

김종철(동국대학교) ; 김영석(명지대학교) pp.349-369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3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저작권법 제31조(도서관 등에서의 복제 등)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저작권법의 제정과 도서관관련 권리제한 규정의 설치 및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 도서관 자료의 공정한 이용을 위해 저작권법 제31조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 변화가 필요하겠다. 첫째, 도서관관련 권리제한 규정의 영리기관 도서관에 대한 적용은 제한하고, 비영리기관 도서관에 대한 적용은 더 넓힌다. 둘째, 도서관보상금 제도는 폐지한다. 셋째, 복제방지조치, 복제의 양, 도서관간 자료의 상호대차 문제에 대해서는 저작권 단체와 도서관 단체가 상호 긴밀히 논의하여 합리적인 안을 마련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Article 31 of the Korean Copyright Act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Article 31. The study analysed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s of the Act and the Article 31.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rticle 31: firstly, to limit copyright limitations for libraries operated by profit organizations but to extend copyright limitations for libraries operated by non-profit organizations, secondly, to abolish the system of property rights compensation, thirdly, copyright organizations and library associations closely discuss to solve the problems on reproduction prevention measures, the amount of reproduction, the inter-library loan of library materials among libraries.

장우권(전남대학교) ; 박성우(전남대학교) pp.371-397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37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지적자본과 평가지표를 통한 도서관의 지적자본 평가모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서비스 기반 지적자본과 사회자본의 창출자이다. 연구에서는 정보생태환경에 기반을 둔 도서관의 핵심역량과 지표, 지적자본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평가모형을 도서관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의 내외적 환경에 대한 가치와 역량을 정량과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Abstract

This research works out a design for the assessment model of intellectual capital of the public library based the intellectual capital and assessment index. The public library is created by the intellectual & social capital through knowledge & information service. This study presented core competencies and index and was examined on applicability the assessment model in the public librari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looked forward to help to index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in values and competencies for libraries' environment.

노기춘(전남대학교) pp.399-415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399
초록보기
초록

『己卯司馬同年契帖』은 1639년 司馬試에 합격한 동기생들이 계회를 연 후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다. 본 연구는 『己卯司馬同年契帖』의 형태적 특징과 계첩에 수록된 <契會圖>, <座目>, <序文>, <契會詩> 등을 분석하여 <契會圖>에 있는 인물과 契會의 사실, 계첩의 제작과 의의 등에 관해 종합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본 계첩은 이전의 契會圖와 다른 형태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1639년 司馬試에 합격한 동기생 4명 가운데 冶谷 崔尙虎, 甘湖 金鼎華, 德谷 洪鐘韻 등 3명이 1656년 가을 영암 월출산에서 계회를 연 후, 전라도 강진의 전라병영에 소속된 화원에게 명하여 계첩 4부를 제작하고 간직하여, 후손들이 서로 각별한 인연을 계속 이어 나가도록 하기 위해 계첩을 제작하였음이 밝혀졌다.

Abstract

Gimyo sama tongnyung kyechub(己卯司馬同年契帖) was made in 1639 to commemorate the meeting for successful candidates who had passed Samasi(司馬試). This study analyz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Gimyo sama tongnyung kyechub(己卯司馬同年契帖), which includes kyehoe-do(契會圖), list of identification(座目), preface(序文), poem of meeting(契會詩) and try to find out who is in the illustration, what happened in the meeting, and why they made this book comprehensively. According to the research, this book has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from others made earlier. It is revealed that the three men - Choi Sang Ho(崔尙虎), Kim Jeong Hwa(金鼎華), Hong Jong Woon(洪鐘韻) - out of four who passed the exam in 1639 held a meeting at the Mount. Wolchul in YoungAm in the fall of 1656. After that, they ordered the painter who belonged to Jeonla government in Gangjin, Jeonla province to make four copies of this book for the purpose to continue their relationship cross the generations.

안현주(전남대학교) pp.417-438 https://doi.org/10.16981/kliss.43.1.201203.41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현재의 전라남도 지역의 인쇄문화를 파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일찍이 고려시대부터 서적을 간행했던 나주에서는 조선시대에 89종이 간행되었다. 조선시대 중종조 이후부터 서적간행이 활발해졌고 특히 16세기와 19세기에 간행활동이 두드러졌다. 조선 전기에는 유가류, 후기에는 별집류와 계보류의 서적이 많이 간행되었다. 조선전기의 간행의 주체는 왕명에 의한 경우와 관찰사나 목사 등 지방관의 의지, 개인 등이었는데 후기로 갈수록 개인이나 문중이 문집과 족보를 발간하는 경향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전기에는 대부분 목판본으로 간행하였으나 후기에는 목활자의 사용이 점점 대중화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inting culture in current Chollanamdo province. Searching the publication in Naju during the Chosun dynasty, 89 titles were found, where publication had begun from early Koryo dynasty. Active Publication was initiated from the era of King Jungjong and many books were published in 16th and 19th centuries. Many Confucian books were published dominantly in the first half of the Chosun dynasty, and collective literature and genealogical records in the later half. In the first half of the dynasty, most of books were published by the order of a king, the officer of province, or an individual, and, in the later half, increasingly collective literature and genealogical records were published by an individual or a family. Also woodblocks were used in the first half of the dynasty, wooden types in the later half.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