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고대 무경칠서 가운데 하나로 군사학 이론서로서인 삼략의 판본을 조사하여 판본에 대한 개괄적인 분석과 판본의 선후 문제 및 계통을 세우고자 하였다. 또한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판본과 언해본의 소개를 통하여 서지학 및 국어학 관련분야의 연구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bibliographic analysis of Sam Ryak(三略) which is contained one of Mu-Kyung Chil Seo(武經七書).There were many print and publication of Sam Ryak(三略) in Cho-sun(朝鮮) Dynasty. This study collected related records seen at historical materials and systemize each book-edtion. Also an introduction of new Korean-translation Version(諺解本) of Sam Ryak(三略) printed in 1711 is considered to be a great help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specially in the late period of Cho-sun(朝鮮) Dynasty.
이 연구는 현재 오대산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는 『全身舍利經』(一名, 寶 印陀羅尼經)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이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월정사의 연혁에 관한 문제를 문헌사료를 통해서 水多寺 장로 有緣이 13세기 중반 무렵에 改稱했던 것으로 새롭게 조명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月精寺 八角九層石塔의 건탑 및 全身舍利經의 조성 또한 유연의 중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고찰한 바, 이 중창시기에 석탑과 다라니경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paper is bibliographical study on Chonshin-sarikyung(全身舍利經 sutra scroll) which is owned by Sungbo museum, Woljung-sa(月精寺) in Odae-san(五臺山). Through the investigation with documents and other historical materials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Woljung-sa, I found new prospect that Elder Yuyun of Suda-sa changed name of Woljung-sa at the middle of 13th century. Therefore, as it is considered that construction of Palgakgucheungsuktab(八角九層石塔 Octagonal Nine-storied stone Pagoda) and completion of Chonshinsarikyung were closely related to the rebuilt of Woljung-sa, it is proved that Palgakgucheungsuktab and Chonshin-sarikyung had been completed at this rebuilt period.
정보사회의 도서관은 실물자료의 집적소 및 이용공간, 네트웍 및 웹자원에 대한 접근점, 평생교육의 지원시설, 지식정보의 제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은 국가 및 자치단체의 문화정책에서 도서관이 핵심요소로 취급될 때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서관 및 독서문제가 문화혁명의 메뉴로 부상하여 주무부처에서 종합적인 발전계획을 마련하고 있는 차제에 그 동안 국내에서 집행되었거나 수립 중에 있는 도서관·정보정책의 스펙트럼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신세기의 정책적 지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most typical roles of libraries in their information societies are public access points to the networks, providing teaching and training, assisting in knowledge resource discovery, and knowledge providers. In order to fulfil these roles, libraries should be a key element in national and local cultual policies. Effective policy making is the most important responsibility of libraries as well as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nd one of library management tools for running the libr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review the spectrum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ies in Korea and suggest some desirable directivities for library policy making.
본 연구는 주요 서평매체의 하나인 신문을 대상으로 그 서평의 성격과 경향을 분석한 것이다. 조사범위는 2001년 발행의 동아일보, 한국일보, 매일신문에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신문서평은 일반적인 독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문학 및 교양서를 중심으로 지역에 관련된 도서, 또는 번역서를 비중있게 다루고 있으며, 공히 서평의 속보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각의 신문은 서평지면의 크기에서 현격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으며, 이것이 결과적으로 서평의 건수, 서평자의 구성, 서평의 수준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 of book review in the daily newspaper. Literature and social science are relatively main subject area reviewed at the daily Donga, Hankuk Mail. Each newspaper has different size of page that make much differences in quantity and quality of reviewed books, bookreviewers, and book reviews. Frequency of daily newspapers assure comparatively short timelag-intervals between publication date and review date.
모든 도서관은 지식과 정보를 위한 광장이다. 따라서, 도서관은 모든 이용자에게 모든 자료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제도적인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서관 권리선언의 형태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가 도서관 권리선언을 채택할 경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도서관 권리선언의 의의를 살펴보고, 미국과 일본의 도서관 권리선언의 변천과 내용을 분석하여 공통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미국과 일본은 공히 공식기구인 도서관협회에서 도서관 권리선언을 채택하고, 권리선언을 유지·발전시키고 도서관의 자유가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상설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도서관 권리선언의 공통된 구성요소는 자료수집의 자유, 자료제공의 자유, 검열 거부, 관련단체와의 협력, 개인의 도서관이용 권리, 도서관의 시설 이용, 이용자의 비밀유지 등이다.
All libraries are forums for information and ideas. Therefore, libraries must have systematic devices through which library users can make use of library materials freely. The systematic devices usually have the form of Library Bill of Righ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in case our country adopt Library Bill of Rights in the near future. In this thesis, the significance of Library Bill of Rights was investigated and the common component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changing processes and contents of Library Bill of Rights in the USA and Japan. In the USA and Japan, the Library Association an official institution adopted Library Bill of Rights and established permanent departments to keep and develop Library Bill of Right as well as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infringement of freedom of library. The common components of Library Bill of Rights are as follows: freedom to collect materials, freedom to provide materials, right to refuse censorship, cooperation with the persons ind groups concerned, a person's rights to use a library, fair use of the library facilities, and protection users' privacy.
정보사회의 도서관은 실물자료의 집적소 및 이용공간, 네트웍 및 웹자원에 대한 접근점, 평생교육의 지원시설, 지식정보의 제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역할은 국가 및 자치단체의 문화 정책에서 도서관이 핵심요소로 취급될 때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서관 및 독서문제가 문화혁명의 메뉴로 부상하여 주무부처에서 종합적인 발전계획을 마련하고 있는 차제에 그 동안 국내에서 집행되었거나 수립 중에 있는 도서관·정보정책의 스펙트럼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신세기의 정책적 지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most typical roles of libraries in their information societies are public access points to the networks, providing teaching and training, assisting in knowledge resource discovery, and knowledge providers. In order to fulfil these roles, libraries should be a ky element in national and local cultual policies. Effective policy making is the most important responsibility of libraries as well as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nd one of library management tools for running the libr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review the spectrum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ies in Korea and suggest some desirable directivities for library policy making.
이 연구는 임진왜란 이후에 조성된 목활자들 중 일부 활자의 기본활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술은 먼저 대상 활자들에 대하여 각각의 간단한 내력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였는데, 분명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들에 대해서는 비교적 상세하게 다루었다. 이어서 각 문헌을 통하여 기존의 활자명들을 가능한 한 많이 조사하여 각 활자별로 나열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활자명에 이용된 요소들을 분석하여 기존의 활자명들이 어떤 요소들을 선호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 선호도는 새로 발견된 활자에 대하여 명명하거나 기존의 활자에 대해 다시 명명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어서 필자 나름의 선정 기준을 적용하여 총 10종의 활자들에 대해 '交繼朴木活字', '羅州木活字', '前期校書館筆書體字', '仁祖寶錄字', '孝宗寶錄字', '後期校書館筆書體字', '觀象監 書名大字', '經書正音字', '倣洪武正韻大字', '剡溪門人錄大字'를 각각 표준 활자명으로 선정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veral basic wooden movable types molded i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description begins with summarizing each basic history of movable types. The parts that have not been clearly defined are relatively dealt with in detail. Subsequently the existing movable types are examined as many as possible and arranged one by one. And through analyzing the elements used in these movable type names, it is examined which elements were preferred by the existing movable type names. This preference could be helpful for naming the newly found types or renaming the existing types. Next each standard name of movable types has been selected in total 10 movable types with applying writer's own selection standard. Those are as follows: 'Moongyepak mokwhalja(文繼朴木活字)', 'Naju mokwhalja(羅州木活字)', 'Chunki kyosoekwan pilseocheja(前期校書館筆書體字)', Injosillokja(仁祖實錄字)', 'Hyojongsilokja(孝宗實錄字)', 'Huki kyosoekwan pilseocheja(後期校書館業書體字)', 'Koansanggam seomyeong daeja(觀象監 書名大字)', 'Kyeongsejeongeumja(經書正音字)', 'Panghongmujeongwon daeja(倣洪武正韻大字)', 'Seomgaemuninlok daeja(剡溪門人錄大宇)'.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을 통해 접근하고 입수가능한 전자정보원을 대상으로 참고문헌 작성기준에 관한 스타일 메뉴얼들의 기술요소와 기재순서, 기술형식을 비교분석하여, 국내 연구자나 학협회, 출판사등이 참고문헌을 작성하거나 작성지침을 제시할 때 포함할 수 있는 기술요소 및 형식에 관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수정보완된 MLA Style, APA Style, CBE Style, Chicago Style, ISO 690-2, SIST-02를 대상으로 그들의 요소와 순서, 표기방법 및 형식을 검토하고, 표기방법 및 형식에 따른 동일자료에 대한 기술사례를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elements and form of bibliographic reference for citing internet sources. The analysis study through various style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In this paper, documentation styles recommended by MLA, APA, CBE and Chicago manual, ISO690-2, SIST-02 are introduced. And, elements and forms of documentation styles for documenting information are carefully analyzed. Also, examples of reference for documenting internet resources were followed.
디지털 자원의 네트워크 이용이 증가하는 정보사회에서 전문도서관 및 정보센터는 연구정보의 전문유통채널로서 새로운 기능과 역할로 확장되고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 전문도서관 및 정보센터의 발전 및 협력현황을 살펴보고, 개념, 범주, 법규, 도서관정책 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어 전문도서관 및 정보센터 활동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을, 첫째, 전문도서관 및 정보센터 개념의 재정의, 둘째, 범국가적 지식정보 조정기구 설치, 셋째, 민간부문 전문도서관 및 정보센터 활동지원의 제도화, 넷째, 연구정보의 효율적 유통을 위한 선결과제 등으로 정리하였다.
In the information society where the utilization of digital resources via networks has increased, expanded are the role of special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as specialized channels for communicating research inform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development and cooperation among special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and the problems relating to their concepts, scopes, regulations, and policies. In order to strengthen the activities of special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reviewed are: 1) how to redefine the concept of special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 2) to establish an organization for co-ordinating research information at national level, 3) to support systematically the activities of special libraries and information centers in the private sector, and 4) to resolve the problems in improving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eir information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분야 웹 정보원의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평가 기준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웹 정보원 평가 카테고리로서 정보 콘텐츠, 기능성, 그리고 디자인 등 세 가지가 제시되었다. 정보 콘텐츠는 권위성, 적합성, 최신성을, 기능성은 탐색성, 네비게이션, 이용자 지원성을, 그리고 디자인은 구조 및 외양 등의 평가 요소를 포함한다. 제시된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과학기술 주제분야별로 총50개 웹 정보원을 평가한 결과, 전기·전자공학분야의 웹 정보원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 기준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보 콘텐츠와 기능성은 음의 관계를 가진 반면에 기능성과 디자인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riteria for evaluating web information resource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get a sense of the overall quality of web information resourc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criteria, particularly those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Three evaluation categories are proposed; information content, functionality or workability, and design. Core features of information content includes authority, relevancy, currency; functionality includes navigation, user support, technical requirements; layout and design includes visual appearance. Based on the proposed criteria, the 50 sample web resources selected from 5 different field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b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ield was excellent.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valuation criteria showed that information content and functionality had a negativ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functionality and design had a moderate correlation.
이 글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자료실 구축사업의 진행과정에서 노출되고 있는 몇 가지 쟁점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와 함께, 인터넷 정보와는 차별성이 있는 디지털 자료실의 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 구축사업의 전개과정에 대해 각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 관리자들과 실무자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살펴본 다음, 인터넷과 디지털 자료실의 콘텐츠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이 PC 방 수준을 벗어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some issues revealed in process of construction of 'Digital Material Center' in public library and to draw up the plan for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in comparison with Internet contents. This article makes some proposal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Digital Material Center' on Internet society.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대학도서관 자동화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있다. 자동화의 문제점으로 파악된 것은 자동화에 대한 일관성없는 정책 결정,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의 부재, 유능하고 자격을 갖춘 전문인력의 부재, 시스템적인 결함, 소프트웨어 선택의 제약, 도서관네트웍의 영향, 시스템 사용도서관들의 상호협조 부족, 이용자배려의 부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력자원의 변화, 도서관업무의 개선, 문서화와 지식경영, 팀워크의 구성, 시스템개발의 지원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도서관자동화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하는 근거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purposes to identify the current problems of academic library automation and analyze causes for the problems. The problems on library automation include : absence of systematic and long-term planning, inconsistent policy, lack of competent and qualified manpower, hardware and software constraints, effects of library network, financial limitations to system developers, lack of co-operation among libraries, insufficient user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these matters, suggest several recommendations. This paper gives basis to approach the library automation systematically.
이 연구는 최근, 대학도서관 뿐만 아니라 특수전문도서관 등에서도 자주 나타나고 있는 PDL의 등장배경과 지식기반사회에서 PDL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와 관련한 사례들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현행 PDL 개념의 확장에 관한 발전적 제안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향후, 이용자 중심의 PDL모형을 개발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PDL모형 개발 시 유의점은 다음과 같다. ① 개인화가 발생하게 된 사회 환경의 변화에 그 의미를 찾아야 한다. ② 제공되어지는 콘텐츠는 제한을 두지 않아야 한다. ③ 개인의 요구조건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시스템이어야 한다. ④ 시스템구현 방법은 공개적 이어야 하며, 계속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오픈소스 개념으로 개발되어져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PDL(Personal Digital Library) as well as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PDL in knowledge-based society. Recent case studies are also included. The chief concepts of the PDL are Systems(Digital Library,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ternet Portal Site), Models of knowledge, and Personalizati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We must find the meaning in the change of a society environment in which the personalization happens. ② The contents must not be restricted. ③ The system is to satisfy requirements of the individual. ④ The GNU General Public License is a system development method for the PDL.
이 연구는 한국도서관협회 목록분과위원회에서 주관하여 마련한 韓國目錄規則 4판(草案)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개선책을 제시한 일종의 제안이다. KCR4(草案)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규칙 전체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부분인 '제1부 기술' 가운데 '제0장 총칙', '제1장 기술총칙', '제2장 단행본'과 마지막 章인 '제2부 접근점(제21장 접근점에 관한 규칙)'만을 검토대상으로 하여 살펴 본 결과, 용어상의 문제점, 카드목록규칙에만 적용되는 내용, 문맥상 잘못된 부분, 내용이 서로 상반된 부분, 내용에 일관성이 없는 부분, 그리고 규칙조문으로는 부적절한 부분 등 많은 곳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어 일일이 개선책을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미래에 대비하여 추가로 요망되는 사항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reform after detecting out issue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KCR 4th ed.(draft). KCR(Korean Cataloguing Rules) is representative cataloguing rules in Korea, the 4th ed.(draft) of which was prepared by Cataloguing Committee(department of KLA) in 2001. As a result of this study, a lot of problem, which are glossary, context, inconsistency of the contents, rules applied to card catalog, and others, were found out. Thus, substantial improvements were able to be suggested
계보자료를 많이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에서는 일반자료와는 다르게 각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한국의 도서관에서는 계보관련 자료의 효용가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 수집방법이 족보에 한정되거나 체계적이지 못하고, 소장된 자료에 대해서도 그 조직이 합리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국내외의 계보자료의 관리사례를 조사하고, 계보자료를 많이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을 중심으로 그 수집과 분류 및 편목 등의 자료조직 실태를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원활한 장서관리와 정보검색이 될 수 있도록 계보자료의 수집과 자료조직상의 개선책을 강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Libraries which have a large amount of genealogical materials need to manage them in a special way differing from the other materials. Although genealogy related materials have high pragmatic value, the reality is that the acquiring methods are limited to collect the genealogical table or is not systematic. Even the genealogical materials held in the library are not rationally organized.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ses of the management of genealogical materials both in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and also examines the real situations of material organization such as the collection, the classification and the cataloging on the centering of the libraries which hold a large amount of genealogical materials. On the basis of this investigation, the study aims to measure the enhancement of the methods for collecting and organizing genealogical materials which enable the collection management and information retrieval for them to be efficient and effective.
이 논문에서는 지식정보사회에 대처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교실에 컴퓨터를 들이고 인터넷을 연결하는 교육정보화사업보다 책읽는 학교를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책읽기를 기본으로 하지 않는 TV시청과 인터넷 사용은 창의성 개발과 건전한 인격형성에 오히려 해가 되기 때문이다. 창의적인 인재는 책과 책읽기에 의해 육성될 수 있으므로 책읽는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서교사를 확보하고, 장서를 확충하여 학교도서관을 활성화하는 것이 우선임을 실례를 들어 증명하였다. 다음으로 학교에서는 책 읽어주기 운동, 아침10분 독서운동, 책의 바다에 빠뜨리기 운동 등 책읽기 장려운동을 전개하여 학생들이 책읽는 습관을 형성하도록 하며, 책의 종류와 책읽는 목적에 알맞은 책읽기 지도를 병행할 것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romotion of reading books at the public school. The promotion of reading books at the school is more important and useful for students than the Educational Information Project, which is setting computers and the Internet at the public school. Because watching TV and navigating the internet without reading books is not good for students to exercise creativity and sound personality. To promote reading books at the school, at first schools need to hire librarian-teachers, and build collection at school libraries as explained. And then schools need to conduct campaigns for promoting reading books, such as reading boots for students, reading books for 10 minutes every morning, and book flood program. In addition, the lesson on reading instruction will be helpful.
이 연구는 현재 오대산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는 <TEX>$\boxDr$</TEX>全身舍利經<TEX>$\boxUl$</TEX>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이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월정사의 연혁에 관한 문제를 문헌사료를 통해서 水多寺 장로 有緣이 13세기 중반 무렵에 改稱했던 것으로 새롭게 조명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月精寺 八角九層石塔의 건탑 및 全身舍利經의 조성 또한 유연의 중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고찰한 바, 이 중창시기에 석탑과 다라니경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paper is bibliographical study on Chonshin-sarikyung(全身舍利經 sutra scroll) which is owned by Sungbo museum Woljung-sa(月精寺) in Odae-san(五臺山). Through the investigation with documents and other historical materials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Woljung-sa, I found new prospect that Elder Yuyun of Suda-sa changed name of Woljung-sa at the middle of 13th century. Therefore, as it is considered that construction of Palgakgucheungsuktab(八角九層石塔 Octagonal Nine-storied stone Pagoda) and completion of Chonshinsarikyung were closely related to the rebuilt of Woljung-sa, it is proved that Palgakgucheungsuktab and Chonshin-sarikyung had been completed at this rebuilt period.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 하에서의 복제·전송과 관련한 도서관 면책 규정을 WCT와 EU 지침, 미국, 일본 및 호주 저작권법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 면밀하게 분석하여 그 법문의 변화와 특징을 총체적으로 명확하게 규명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디지털도서관의 복제·전송을 규율하는 우리나라의 현행 저작권법과 개정안의 제28조를 각각 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이를 정비하기 위하여 수정·보완되어야 할 법적 개선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study has proceeded through examining and analyzing related laws and articles on library exemption relating to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in digital environment. First of all, the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in detail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ulation of library exemption in WCT, EU, U.S., Japan, and Australia. After analyzing of the article 28 in current Copyright Act and amended proposal for Copyright Act in Korea, it found the regulation to be inadequate. As a result of the legal analysis, this paper is proposing a revised plan of the article 28 in the Copyright Act of Korea.
이 연구는 고대 무경칠서 가운데 하나로 군사학 이론서로서인 삼략의 판본을 조사하여 판본에 대한 개괄적인 분석과 판본의 선후 문제 및 계통을 세우고자 하였다. 또한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판본과 언해본의 소개를 통하여 서지학 및 국어학 관련분야의 연구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bibliographic analysis of Sam-Ryak(三略) which is contained one of Mu-Kyung Chil Seo(武經七書). There were many Print and Publication of Sam-Ryak(三略) in Cho-sun(朝鮮) Dynasty. This study collected related records seen at historical materials and systemize each book-edtion. Also an introduction of new Korean-translation Version(諺解本) of Sam-Ryak(三略) printed in 1711 is considered to be a great help i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specially in the late period of Cho-sun(朝鮮) Dynasty.
이 연구는 농학분야의 인터넷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분류체계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 문헌분류표가운데 KDC를 중심으로 농학분야의 분류체계를 분석하고, 국내의 인터넷 검색엔진가운데 특히 야후! 코리아와 엠파스의 농학분야 분류체계, 그리고 농학전문 포털사이트인 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의 농업정보디렉토리와 농민넷의 Agri_Directory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비교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농학분야 인터넷자원의 분류체계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suggest a classification system to classsify the agricultural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internet. In the first part, I analyzes KDC's class 520(agriculture science). The second part compares the agricultural classes of Yahoo! Korea with those of Empas search engine. The third part compares the classes of AFFIS with Agri_Directory.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it proposes a classificatory system for the agricultural information resources on the internet.
본 논문의 목적은 문헌정보학과의 정보기술 관련 교과목들을 연구하는 것이다.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발달은 도서관과 사서직의 업무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사서직을 배출하는 문헌정보학과들은 정보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보기술 교과목을 개설하여 필요한 교육을 하여왔다. 문헌정보학과들이 개설한 정보기술 교과목의 변화와 교육 내용을 조사하고, 이러한 교육이 도서관 현장의 요구를 어느 정도로 반영하는가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의도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formation technology-related courses offered by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has brought many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s of libraries as well as librarians' functions. Accordingly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ave been teach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meet the changing needs of the information environment.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out how the information technology-related courses have been changed, what are the contents of those courses, and what libraries need as far as information technology is concerned.
대학도서관의 정책은 도서관의 장서, 사서, 건물, 이용자를 관리하는 방향을 결정한다. 대학도서관의 장서는 종이자료와 디지털자료를 구비하여 최대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건물의 관리는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화시켜야 하며, 이용자는 수서, 검색, 대출 모든 부분에서 되도록 손수봉사(Self-service)를 하게 한다. 사서들은 자질을 높여서 수시로 변화하는 사회 환경 속의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서 전문직의 규범이나 원칙을 만들고, 대학도서관의 기본목표를 설정하고 정책과 절차, 규칙을 성문화하여야 한다. 국가의 역할은 대학도서관에 지원금을 배분하되, 그 운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아야 한다.
University librarians prepare standards, guidelines, code, principles, policy for the library management. The role of the government is limited to support of the library budg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