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문헌정보학 관련 7개 학회지, 16개 대학 문헌정보학과 창립 기념논문집, 3개 전문기관지에 수록된 논문을 분석하여 1957∼2002년 간의 연구동향을 제시한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957∼1970년 간의 전문기관지 발표논문의 연평균은 42.6편, 1967∼2002년 간의 학술지 발표논문의 연평균은 63.1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도별로는 2002년이 가장 높고, 영역별 연평균 발표량의 순위는 정보학, 서지학, 도서관경영, 자료조직, 공공봉사, 문헌정보학기초, 도서 및 도서관사, 장서개발(관리) 순으로, 각 영역의 주제별로는 문헌정보학교육, 도서관경영론 전반, 장서개발정책ㆍ방침과 장서평가, 참고ㆍ정보봉사, 분석서지학, 도서관사, 정보검색 분야가 각 영역의 타주제보다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s of th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papers on journals of 7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societies, collection of papers in celebration of the founding of 16 department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nd journals published at 3 specialized institutions from 1957 through 2002.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average yearly papers: in the case of journals published at the specialized institutions - 42.6 pieces; in the case of the academic journals - 63.1 pieces. The year published the largest nmber of papers: 2002; the order of the number of papers by the domain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science, bibliography, library management, organizing library materials, public service, foundation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history of books & libraries, collection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의 기초 과목으로 볼 수 있는 코어 교과목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문헌정보학과들이 코어 교과과정으로 인정되는 필수과목들을 개설하지 않으므로 1980년대의 필수과목들을 조사하여, 이들이 현재의 교과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학부제의 실시 이전과 비교하면 개설되는 코어 교과목들과 이들이 교과과정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에 별 변화가 없으며, 전통적인 코어 교과목인 자료의 수집, 조직, 봉사, 경영ㆍ관리 및 정보학 관련 교과목들이 교과과정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present status of core courses offered at the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this purpose, the core courses in the curriculum, which were compulsory ones in the 19805, are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there have not been many changes in the core courses offered and that traditional cores of selection, organization, services, administration and information science-related courses are still strongly extant.
한국 대학도서관은 정보서비스와 조직개발을 위해 적절한 경영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전략적 계획은 그러한 전략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먼저 전략적 계획의 개념과 수립과정에 대해 살펴본 뒤,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교 도서관을 사례로 택하여 전략적 수립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나아가 이 연구는 한국 사회와 대학도서관의 현단계를 고려하여 한국 대학도서관을 위한 전략적 계획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It is needed that academic libraries in Korea establish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ir information services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Strategic plan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those strategies.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establishing process of strategic plan. And this study looked into the strategic planning of Indiana State University libraries as a case. As the result of research, this study provided some consider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c plans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이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학교도서관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배경과 그 성격, 그리고 그 양상 속에 내재된 과제에 대해 분석적으로 밝혀낸다. 논의는 교육인적자원부가 수립하여 시행하는 학교도서관 활성화 정책의 탄생 배경과 그 영향, 그리고 그 한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연구자는 현재의 긍정적인 변화 속에서도 여러 가지 도전의 요소가 잔존하고 있으며 이를 적절하게 해결해 나가야 학교도서관이 활성화되고 정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hange of school library in Korea. The writer keeps an eye on the 'School Library Activation Project' initi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writer concludes by pointing out some problems of school library in Korea at its present developmental stage.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학술지 비용의 압박에 의해 도서관은 심각한 위기상황을 직면하고 있다. 도서관으로서는 학술지 종수의 삭감이나 대폭적인 예산 증액과 같은 조치를 취하든지, 새로운 학술지 유통 모델을 개발하든지 하는 결정을 해야 할 형편이다. 이 논문은 후자의 관점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학술유통 체제와 관련된 여러 가지 활동들을 고찰하고, 그것의 실천적인 모델인 개방접근 디지털도서관의 사례와 핵심기능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다. 새로운 학술유통 체제는 학술기관의 학술적 권위를 회복하고, 개방접근을 통한 학술자원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학술유통 모델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takes a new open access digital library system to enhancing the process of scholarly communication such as journal publishing, article dissemination, etc. It examines also the causes of crisis in scholarly communication, new alternative models, related activities and case studies. The open access digital library is a practical, cost-effective digital collections capturing and preserving the intellectual output of academic institution including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노인의 인구가 늘어남으로써, 공공도서관도 이들의 서비스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이 미숙한 노인에게 공공도서관은 교육기관으로 또는 봉사기관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노인용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디자인 요소와 상세한 내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용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려는 공공도서관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s increasing rapidly in Korea. A large part of their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re changed form a few conventional types of media such as letters to computers and Internet. Their use of computers and Internet, however, was difficult due to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interface especially. This work has examined and analysed the basic elements and components of interface design for the elderly people into the previous papers. The result of the study would be applied to the public libraries for the elderly and the interface design within the institution.
UDC는 UDCC의 설립을 계기로 전자판의 MRF를 중심으로 매년 추가 및 개정작업을 거듭 해왔다. 이 논문은 UDC의 지리ㆍ전기ㆍ역사류와 그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장소 및 시의 공통보조표를 중심으로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최근판을 대상으로 그 전개상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KDC의 역사류 개정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지역별 역사의 전개에 있어서 조합식의 원리를 확대 적용하고, 계통지리학의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을 함께 모아 배정하며, 지역구분표의 확장과 시대구분표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core version of UDC(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is available in an electronic form called MRF(Master Reference File) which supports the maintenance of the quality of the scheme as a working tool for the UDCC(UDC Consortium) by annual reviewing its content and initiating revisions and extensions. In this paper, we discuss outcomes of our in-depth analysis of the geography, biography and history disciplines in UDC focused on the its evolutions and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common auxiliaries of place, the common auxiliaries of time and the common auxiliaries of race, ethnic grouping and nationality.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we suggested some ideas which can be applied into the history class of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In particular, its principle of combination methods in the history of individual regions, the way of its assignment of physical geography and human geography in the same division, the possibilities of the extension of the table of geographical division and the adaptation of the table of chronological division in KDC.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네트워크자원을 비롯한 전자자료의 급증으로 목록분야에 있어 환경이 크게 급변하고 있다. IFLA에서는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여 ISBD(CF)와 ISBD(S)를 개정하여 ISBD(ER)과 ISBD(CR)을 새로이 발간하였다. 특히 ISBD(CR)의 경우 연속간행물에서 계속자료로 변경하게 된 것은 무엇보다 갱신되는 가제식자료나 웹사이트 등과 같은 통합자료까지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ISBD(CR)의 제정배경과 경과과정, 연속간행물을 계속자료로 개정하면서 새로이 설정하게 된 서지자료의 구분원리, 표제의 변경시 새로운 레코드 작성의 유무, 기술의 정보원, 자료의 특수세목사항, 그리고 새로운 용어정의와 레코드작성의 예시 등을 분석하였으며, ISBD(CR)의 제정으로 인한 AACR2R 2002 개정판 및 MARC 21의 개정내용을 규명함과 동시에, 이를 바탕으로 한국목록규칙 제4판과 KORMARC에 있어 관련부분의 개정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Due to rapid internet supply and the increase of electronic resources including network resources, there has been a sudden change in cataloguing fields. To deal with rapid changes, IFLA revised cataloguing rules for electronic and continuing resources; ISBD(ER) and ISBD(CR). This study is to analyze activities of IFLA and ISBD(CR), expecially in regards with concepts of continuing resources, new categories of bibliographic materials, major or minor changes in title proper, basis of the description, material specific area, definition of a new terminologies, changes in AACR2R 2002 revision and MARC 21 coding, and issues concerned with revision of KCR 4 and KORMARC.
메타데이터 개념에 관한 혼란을 살펴보고 개념 변화의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종 메타데이터 포맷에 관하여 새로운 포맷의 생성 이유, 그들의 특징, 특히 MARC 포맷과 관련하여, 그리고 이들의 변환 및 통합 방법과 문제점을 배경연구로 조사하였다. 이종 메타데이터의 통합 틀로서 RDF와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를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이 두 방법은 서로 경쟁적인 접근방식이 아닌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진다고 결론 내렸다.
Semantic quirks about the concept of metadata are briefly probed. The reasons behind the conceptual drift are also reviewed. Regarding different formats of metadata, the rationale behind the creation of new formats, their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MARC format, and problems and methods of conversion or integration of metadata are investigated as background study. RDF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as an integration tool for different metadata standards and Metadata Registry as a candidate for the purpose are studied and the both are compared. It is concluded that two approaches are not mutually exclusive, rather they are complimentary.
공공도서관에서 웹기반 독서교육을 활성화시키자는 취지에서 웹을 통한 독서교육의 실제를 살펴보고 그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웹기반 독서교육은 사서와 이용자가 시간과 공간의 지배를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글감을 읽고 독서교육의 목표를 이루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는 멀티미디어의 환경인 인터넷을 통해 독서교육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이용자가 편리한 시간에 웹상에 제시되어 있는 다양한 독서자료와 독서계획을 볼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사서나 이용자들과 전자메일, 게시판, 채팅, 화상회의 등을 통해 독서에 대한 감상문과 토론, 의견 제시 등 독서교육에 대한 다양한 상호작용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웹기반 독서교육 시스템의 구축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등을 제시하였다.
For the sake of activating web-based reading education in the public libraries, This study examine the practical use of web-based reading education and research into its activation. Web-based reading, red the book at any time/where with librarian and user, is to achieve the goal of reading education. The methods are to set up Home page of reading education through Internet, to guide user in various web-based reading materials and reading planning at any time. In addition, It is to be completed interactive action such as book review, reading dicussion through E-mail, a bulletin board, chatting etc. with librarian or user.
이 연구에서는 웹 문서가 갖고 있는 특성, 특히 웹 문서에 포함된 단어 수가 클러스터링 성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 하에, 웹 문서에 포함된 단어 수와 클러스터링 성능과의 관계를 밝힌 다음, 이 부분을 웹 문서의 동시인용 빈도를 이용해 보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네이버 디렉터리 중 '자연과학' 법주에 포함된 1,449개의 웹 문서를 대상으로 단어기반 클러스터링과 링크기반 클러스터링, 그리고 단어-링크 혼합 클러스터링 기법으로 클러스터링 해 보았으며, 그 결과를 네이버 디렉터리에 초기 할당된 법주와 비교해 보았다.
In this paper, we have focused that the number of word in the web document affects definite clustering performance. Our experimental results have clearly show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s of word and its impact on clustering performance. We also have presented an algorithm that can be supplemented of the contrast portion through co-links frequency of web documents. Testing bench of this research is 1,449 web documents included on 'Natural science' category among the Naver Directory. We have clustered these objects by term-based clustering, link-based clustering, and hybrid clustering method, and compared the output results with originally allocated category of Naver directory.
금융기관의 경쟁력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전 임직원들의 경쟁력 마인드와 업무현장의 실제적인 경험에서 우러나온 노하우, 은행내외에서 생산되어 유통되고 있는 명시적 지식정보 등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갖추어져야 한다. 여기에 지식정보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발상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는 지식정보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중심으로 국내 은행들의 지식정보공유에 대한 영향과 그 인식수준의 다양성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은행에서의 바람직한 지식정보관리의 당위성을 은행의 역할과 개선방안 측면에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To creation of the competitive power have an effect on the competitive mind, the practical experience, know-how based knowledge share, and an organizing culture. Here gets accomplished a cognition and the way of thinking conversion abou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information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grope a role of bank and an improved plan to what one of knowledge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bank. The research and analysis consist of knowledge information share and the influence on knowledge information management and a variety of cognition level in the case of Korea.
본고는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현존본 사이에서 형성된 문자이동의 유형을 고찰하여, 한국의 경주 석가탑에서 발견된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문자이동 상태를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원문은 돈황사경이 현존본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원문 상태이며, 이것은 방산석경ㆍ조성장ㆍ고려장에 와서 한번 변화되었고, 다시 석가탑에서 발견된 無垢淨光大陀羅尼經ㆍ자복장ㆍ적사장ㆍ영락남장ㆍ경산장ㆍ청장에서 크게 변화된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석가탑에서 발견된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문자이동 상태는 자복장과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는 바 석가탑에서 발견된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저본과 계통은 자복장의 저본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pattern of letter movement that is conatituted between the original of Wu gou jing guang dai tuo luo ni jing and the existence it saw and a letter mobile state of Wu gou jing guang dai tuo luo ni jing that is discovered in Seokga-pagoda at Kyungju in Korea.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the original of Wu gou jing guang dai tuo luo ni jing was identified that Dunhuang sakyung is the earliest original among the existence it saw and it was changed once at Fang shan seokyung, Zhao cheng jing and koryeojang and was largely changed at Wu gou jing guang dai tuo Iuo ni jing, Zi fu zang, Qi sha zang, Yong le nan zang, Jing shan zang and Qing zang that was discovered in Seokga-pagoda. The bottom book and genealogy of Wu gou jing guang dai tuo luo ni jing were presumed that it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bottom book Zi fu zang because a letter mobile state of Wu gou jing guang dai tuo luo ni jing that was discovered in Seokga-pagoda was exposed without discrimination.
본고는 조선조 중기의 관료이며 학자인 미암 유희춘의 일기를 통해 당시 서적 간행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암 유희춘은 만년에 관직생활을 하면서 일기를 남겼으니 이 <TEX>$\boxDr$</TEX>미암일기<TEX>$\boxUl$</TEX>에 일상의 일이 매우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서적, 가정사까지도 알 수 있다. 본고는 이 일기를 통해 미암의 서적과 관련된 여러 일 가운데 미암이 주도적으로 간행하려고 노력한 서적을 밝혔다. 아울러 당시에 편성된 책판목록에 수록되었는지의 여부도 확인하였다. 미암이 개인적으로 간행하고자 한 서적은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외조부 금남 최부의 문집인 <TEX>$\boxDr$</TEX>금남집<TEX>$\boxUl$</TEX>과 중국기행문인 <TEX>$\boxDr$</TEX>표해록<TEX>$\boxUl$</TEX>이다. 다른 하나는 아동용 도서로 문해용의 <TEX>$\boxDr$</TEX>신증류합<TEX>$\boxUl$</TEX>과 도덕교육용의 <TEX>$\boxDr$</TEX>속몽구<TEX>$\boxUl$</TEX>이다. 이들 서적을 인출하기 위해 판각한 당시의 책판은 당대의 책판목록에 수록되어 있어야한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 누락되어 있다. <TEX>$\boxDr$</TEX>미암일기<TEX>$\boxUl$</TEX>를 통해 책판목록에 누락된 서적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TEX>$\boxDr$</TEX>미암일기<TEX>$\boxUl$</TEX>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woodblocks which were engraved in the providences in the mid Chosun dynasty, especially ones engraved under the auspices of Yu Heui-chun(柳希春), but not listed in <TEX>$\boxDr$</TEX>Kosachwalyo 攷事撮要<TEX>$\boxUl$</TEX>. This could be done by the analyzing <TEX>$\boxDr$</TEX>The Diary of Miam 眉巖日記<TEX>$\boxUl$</TEX> written by Yu Heui-chun. It is a book which recorded daily life of eminent scholar and official covering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books and family matters. There were two categories of books published under the auspices of Yu Heui-chun. One is the books written by his grandfather in law, Choi Bu(崔溥), which were <TEX>$\boxDr$</TEX>Keumnamjip 錦南集<TEX>$\boxUl$</TEX> collective works of Choi Bu, and <TEX>$\boxDr$</TEX>Pyohaerog 漂海錄<TEX>$\boxUl$</TEX>, essays on travelling across China. The other is the books for children, <TEX>$\boxDr$</TEX>Sinjeung Yuhap 新增類合<TEX>$\boxUl$</TEX> for teaching characters and <TEX>$\boxDr$</TEX>Sog Mong-gu 續蒙求<TEX>$\boxUl$</TEX> for moral education. These woodblocks have to enlisted in the woodblock catalogs. The analysis shows that most of these woodblocks by Yu Heui-chun were not recorded in either of two <TEX>$\boxDr$</TEX>Kosachwalyo 攷事撮要<TEX>$\boxUl$</TEX> editions published in 1575 and 1585. In this respect, <TEX>$\boxDr$</TEX>The Diary of Miam<TEX>$\boxUl$</TEX> proved itself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bibliography studies.
중국에서는 기록물의 분류를 정리분류와 검색분류로 나누어 활용한다. 본고는 그중 정리분류의 원칙과 내용은 무엇인가, 또 분류의 원칙이 실제 각 당안관의 기록물 정리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요 분류이론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나아가 중국 제 2 역사당안관의 민국시기당안의 분류와 전종구성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글을 기획한 목적은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기록학적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lassification of archival collections in China is usually divided into two approaches, arrangement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classification. Focusing on arrangement of archives, this paper reviews what is the content and principle of arrangement, and how these principles are applied to actual arrangement of records and archives in China. The review examines the historical archives of Rep. of China, in the Second Historical Archives of China. It is expected that current review could enlighten studies on arrangement of historical archives created by Government-General of Chosun.
최근에는 인쇄된 매체인 책과 함께 컴퓨터나 인터넷을 이용한 문학작품인 전자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의 활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활발한 탐구가 있어왔다. 전자도서관을 이용한 효과적인 자료의 탐색, 전자문학 중심의 온라인 독서교육의 전개, 웹 문학의 교육적 활용 탐색 등의 연구가 있어왔고, 그것의 효과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흥미를 갖고 있는 매체인 정을 기반으로 문학교육을 전개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이를 구체화하여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eneral model for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and to validate the model.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three point. At First, the model of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have five major components i.e., objects, construction of activity, display of activity, management of it, and evaluation of it. At second, the creative writing was revealed the core of the web-based children's education. The third, web-based children's literature activity can be followed by cyb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