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2466-2542
  • KCI
최정태(부산대학교) pp.1-2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지난 100년 동안(1901-2000년) 한일 양국이 상대국에 대해 생산해온 학술적 성격의 지식 정보자원을 선별적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측하고, 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서지학적 관점'에서 양국의 관심분야와 연구성과를 분석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회영역 중 사회·교육·행정·법률분야에 초점을 두고 연구의 시기별, 주제별, 생산주체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에서의 일본연구 902종(사회 269종, 교육 118종, 행정 273종, 법률 242종)과 일본에서의 한국연구 2,025종(사회 1,060종, 교육 97종, 행정 620종, 법률 258종)을 중심으로 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materials which Korea and Japan have investigated about each other during last In years(1901-2000). To the end, we collected monographs and constructed DBs('Korea-Jap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it, this study analyzed a characteristic of the publication period, subjects, and producers from a bibliographical point of view. In particular, this study concentrated upon the subject of sociology, education, public administration, and law fields.

김승환(경남대학교) pp.25-46
초록보기
초록

대학생 중심의 독서회 회원들이 독서캠프 활동에 참여한 결과 독서캠프 활동에 경험이 있는 졸업생들과도 연관되어 독서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원들 간의 독서회 운영에 대한 격려는 독서캠프 후 뿐만 아니라 졸업 후에게도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나 독서회 활성화를 위해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을 회원으로 하여 조직된 독서회는 학기 중에는 캠퍼스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방학중에는 독서활동을 멀리 하게 되는데, 독서캠프 프로그램은 이러한 공백을 메워주는 중요한 프로그램이 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ing circle management with college students and the participation program in the reading camp.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tion program in reading camp helps the activation on reading circle. The college students' activity on reading camp increases reading activity because students can work with the graduates and get the graduates' reading activity experience. Also, the activity on reading camp encourages reading circle members to work so that they continue their activity after graduation. Students on reading circle usually work hard during semester but during closing of college, they seldom work. The participation program in reading camp, however, can bridge over the gap during the vacation.

이제환(부산대학교) pp.47-78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일 양국이 20세기에 생산해낸 정치.경제 관련 연구의 현황과 특성을 조사하고, 그러한 연구가 양국의 정치.경제관계의 변화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있는지를 \`서지학적\` 관점에서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circled120세기 한일간 정치.경제관계를 주요 사건과 쟁점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circled2한일 양국이 정치.경제분야에서 서로에 대해 생산한 연구물을 포괄적으로 수집하여 시기별.주제별.생산주체별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circled3나아가, 한일 양국의 정치.경제관계의 변화와 생산된 연구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으며, \circled4마지막으로, 한국에서의 일본연구를 보다 진전시키고 성숙시키기 위해 그동안 생산해온 연구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the res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monographs produced by Korea and Japan, which are the research products on each other's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for the period of 1901-2000. To this end, we identified the major political and economic events and issues in the Korea-Japan relations, also collected comprehensively the monographs produced by each county regarding earth other, and analyzed the resent state md characteristics of the monograph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publication period, subject matter and producer. Also identified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of monographs and the Korea-Japan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Finally, we suggested the necessity of a knowledge and information system for both effective management and efficient control of such research products.

소시중(인천대학교) pp.79-1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준사서를 위한 교과과정에 관한 조사 및 분석하는데 있다. 그 이유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 업무도 변하고 그 와 관련된 준사서를 위한 교과과정 형성도 변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또 이론보다 실무연습이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 때문이다. 그 방안으로는 첫째 도서관현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 및 도서관 현직 사서와의 면담을 통하여 준사서의 업무를 파악하고 둘째 문헌정보학 교수, 도서관 관리책임자 및 도서관 현직 준사서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의견을 수렴함으로서 준사서를 위한 교과과정 형성에 새롭게 포함되어야 할 교과목을 선정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총 30개로 준사서를 위한 교과과정에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과 시대적인 변화에 따른 준사서의 업무 및 준사서의 일상적인 업무들로 구분되었다. 5단계 리커트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조사결과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사용하여 분석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urvay and analysis about the curriculum for assistant librarian. for this pupose, first, a literature study was done along with interviews with assistant libraian, second, a questionnaries survay was conducted among professor, library administriatiors and assistant librarians, and the survay data were analysed by SAS packages.

한종엽(한국해양연구원) pp.109-138
초록보기
초록

해양 전자정보자원 메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설계 및 구현을 위해 국내외 관련 연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해양분야 웹자원에서 해양조사자료까지를 범위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자원의 기술에 적합한 더블린코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해양분야 전자정보자원 정보검색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분야 전자정보원 조사, 메타데이터 기술요소 분석, 메타데이터 분류체계, 시스템 구성 및 검색 구현방안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Abstract

A literature analysis for the planning and realization of meta database system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cean electronic resources, the first in Korea. The study targeted from web resources and to oceanographic survey data. The focus of the analysis lies in the providing practical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 for ocean electronic resources based on the framework of effective Dublin Core metadata with network resources description. The analyses included ocean electronic resources, metadata descriptive elements, metadata classification, system organization, and retrieval for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meta database system.

박정길(경성대학교) ; 김용원(일본쓰루가다이대학) pp.139-16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지난 1세기 동안(1900∼2000) 한·일 관계에 관한 지식정보의 생산과 흐름을 분석, 해석한 것이다. 특히 문화분야를 1)문화, 2)철학사상, 3)종교 4)예술, 5)어학, 6)문학으로 구분하여 한·일 양국이 상대국의 문화분야를 조사, 연구한 단행본의 종합목록을 작성하였다. 이것을 근거로 양국의 문화분야 연구물 생산 현황에 관한 통계자료를 작성하고 그 내용과 특성에 대해서 계량서지학적 분석과 질적 해석을 병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본이 한국보다 문화분야의 단행본을 더 많이 생산하였다. 그러나 최관 15년간(1985년 이후 지금까지)에는 일본보다 한국이 문화분야 단행본을 106종 가량 더 많이 생산하였음이 밝혀졌다.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and studies all the publications as well as the flo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Korea-Japan relationship during the 20th century, especially in the area of culture. For the purpose of the systematic study, the subject area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ix parts, 1) Civilization at large, 2) Philosophy, 3) Religion 4) Arts, 5) Language, and 6) Literature. As the result of the study, a union catalog for monographic publications from both countries has been produces. The union catalog has produced that more publications have bean issued in Japan than in Korea in every part of the subject. During the part 15 years, however, Korea has produced over 106 publications more than Japan.

배영활(계명대학교) ; 오동근(계명대학교) pp.167-188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복합주제를 합성할 수 없는 문헌에 합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분류기호를 부여하기 위해 분류표에 설정되는 우선순위(preference order)를 한국십진분류법에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실제 분류항목 대상으로는 조기표에서 ① 표준구분, ② 문학형식구분 두 곳, 본표에서는 총류의 014-019 서목, 목록, 철학류의 ① 180 심리학, ② 182 차이심리학과 183 발달심리학, 종교류의 230 기독교, 사회과학류의 ① 320 경제학, ② 325.9 회계학, ③ 326.1 상업, ④ 326.2 무역, ⑤ 364.4 범죄학, ⑥ 336 노동문제, ⑦ 338 사회복지, ⑧ 339 사회단체, ⑨ 370 교육학, ⑩ 379 특수교육, 순수과학류의 ① 475 미생물학, ② 481 일반식물학, ② 491 일반동물학, 기술과학류의 ① 512.8 간호학, ② 539.7 도시계획, ③ 594.5 요리와 594.6 건강을 위한 계층별 요리, ④ 598.1 육아 일반, 예술류의 650 회화 등 22개를 포함해 모두 24개의 우선순위표(안)을 작성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a plan of tables of deference for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4th edition, based on the study on those in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21st edition. It suggests two tables for the Auxiliary Tables, one for standard subdivisions and one for subdivisions for literature. Twenty-two tables are suggested for the Schedule of ten main classes.

이만수(대진대학교) pp.189-210
초록보기
초록

문헌정보학과 교육실습실에는 분류와 편목의 실습 수업을 할 수 있는 분류·편목 실습실과 첨단의 매체나 시청각 기재 또는 실습용 교구를 사용하여 수업을 할 수 있는 영상매체 실습실,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정보 검색 방법을 체득하게 하고, 정보활용 능력을 길러 주며, 컴퓨터 관련 정보학 교과 수업을 할 수 있는 정보처리 실습실을 둔다.

Abstract

Constructional media centers connected to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ts laboratory rooms for practical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classes; laboratory rooms for film media which can utilize advanced media, listening tools, and practical materials; information management laboratory rooms which can experience the various information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Internet, cultivate the ability of information application, and teach the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lated to computers.

송정숙(부산대학교) pp.211-23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20세기, 즉 1901년부터 2000년까지 100년 동안 한일 양국이 상대국의 역사에 대해 발행한 단행본을 대상으로 발행연도 시대 ·연구자를 분석함으로써 지식정보의 생산현황과 규모, 역사, 격차 등을 밝히고 있다. 한일 양국이 상대국의 역사에 대해 생산한 단행본이 한국에서는 1945년까지 1종도 없는데 비해 일본에서는 1875년에 단행본이 발행되어서 1900년대에 이미 연구가 일정 수준에 도달했다. 1946년 이후에는 21세기에 가까울수록 상대국에 대한 지식정보의 생산규모가 한일 양국 모두 커지고 있다. 하지만 70년이라는 연구 출발의 시차에 따른 격차는 20세기 말에도 극복되지 못하고, 지식정보의 생산량이나, 연구주제의 다양성, 연구자의 규모에서도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한국에서의 일본역사 연구는 일본에서의 한국역사 연구의 1/3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research product of Korea and Japan about each other in 20th century. The author analyzed the published year, main period, and author of the research product of history. So she explored the resent state, size, history, and gap of the research product between Korea and Japan. The study about Japan history in Korea began after 1945. However, the study about Korean history in Japan began after 1875. So the study about Japan history in Korea is falling behind Japan for 70 years. As a result, research including the amount of research the number of researchers, the diversity of the minor subject is 1/3 of that conducted by Japanese Scholars.

윤구호(계명대학교) pp.235-258
초록보기
초록

최초의 웹 페이지가 인터넷 상에 올려진 1991년 이래, 인터넷 상의 무수한 웹 사이트 정보검색은 전통적 색인작성 방법과는 상이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본고는 새롭게 발전하는 웹 색인작성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그의 기초가 되는 삽입색인을 살펴보고, 웹 사이트의 정보제공을 위해 필수적인 메타 태그와 웹 색인을 위한 그들의 작성방법을 검토하고, 웹 색인작성에 관한 주요사항을 비교적 상세하게 연구검토하였다.

Abstract

Since 1991 when the first Web pages were placed on the internet, information access for numerous Web sites has developed new indexing methods which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methods. This paper, as a basic research, deals with Web indexing(Website indexing). Embedded indexng providing basics of Web indexing is examined, and essential META tags used in Web indexing are reviewed in brief. Finally, all the important issues of Web indexing are investigated in detail.

박소연(계명대학교) pp.259-276
초록보기
초록

한 학문분야의 연구의 질을 향상시키고, 연구를 수행하거나 비판할 수 있는 연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연구방법론의 견실한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석사과정에서의 연구방법론 교육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방법론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석사과정이 개설된 국내 22개 문헌정보학과 및 도서관학과를 대상으로 연구방법론 교육의 개설현황, 특성과 동향을 분석하고, 미국 문헌정보학 석사과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향후 연구방법론 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Research methods is an integral component of a field and plays a crucial role for the development of a field. Three areas are explored to assess research methods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graduate programs: (1) comparison of research methods' courses across Korean LIS graduate programs; (2) content analysis of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education; (3) comparison of research methods' courses between the U.S. and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raduate programs.

윤세진(엔피아) ; 오경묵(숙명여자대학교) pp.277-3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효율적인 메타데이터간의 상호운용 방안마련을 위하여 주요 원칙들을 선정하고 이 원칙들을 기준으로 디지털자원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간의 상호운용성에 대한 실질적인 비교테이블을 제안하였다. NISO의 백서(White Paper)에서 제안한 상호연동(crosswalking)의 주요 항목들을 바탕으로 원칙들을 선정하고 이 원칙들을 기준으로 INDES 메타데이터 구조(framework)를 바탕으로 개발된 ONIX와 기존의 MARC과 Dublin Core와 비교하였다. 이들 메타데이터 요소들의 실질적인 비교를 통하여 상이한 메타데이터간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어의, 구문 및 구조에 대한 공통적인 규칙을 지원하는 구문을 개발하고, 실제로 메타데이터간의 변환 시스템을 구현하는 도서관 관련 시스템 개발자들에게 있어서 필수적인 기반 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Abstract

What is introduced in this paper is current and important issues for efficient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metadata such as Dublin Cere, MARC 21, and INDECS. Five major principles have been suggested here for effective interoperability between metadata based on the contents of crosswalking in White Paper of NISO. An INDECS based metadata framework, ONIX is compared to MARC and Dublin Core.

김미진(전주대학교) pp.303-322
초록보기
초록

정부의 범위와 역할이 확대되고 그 활동내용이 다양해지면서 정부차원에서 생산되는 정보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부가 생산한 정보는 국민이 국가정책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원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정부간행물의 발간정책과 최근 발간경향을 살펴보았으며 정부가 생산한 정보의 합리적 배포체계를 위해 법적, 제도적, 기술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Abstract

Government agency information has steadily increased as the role of government has expanded, an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is increasingly a significant source for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government policy. Further, this information is an important resource for academic research oriented toward national development. However, in South Korea the distribution system for government information is far from ideal. This paper critiques that system. It begins with a short history of Korean government publishing policy, followed by a more detailed look at recent publishing trends. It then goes on to describe the legal, institutional, and technical aspects of Korean government's distribution of its information, focusing on weaknesses that prevent information from reaching those who desire or need it.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