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체험경제이론을 반영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한 후에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가치와 지속적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체험경제이론에 따른 4가지 요소 즉, 오락적 경험, 교육적 경험, 현실 도피적 경험, 심미적 경험을 교수·학습 활동에 반영하였다. 이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연구가설 1(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프로그램의 지각된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은 심미적 경험과 오락적 경험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가설 2(북큐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 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교육적 경험을 제외한 다른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e experiential economy theory,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that experience perception of the program has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and perceived value of the program.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s were organized so that practitioners can experience activities for 4 experience element, entertainment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escapist experience, 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experience economic theory. This study surveyed 195 peopl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analysis, research hypothesis 1 (the perception of experiences in the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 affects the perceived value of the program) revealed that aesthetic and entertainment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and research hypothesis 2 (the perception of experience in the book curation education program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howed that all other factors except educational experiences were significant.
본고에서는 레코드 컨티뉴엄에서의 평가 논리를 분석하였다.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평가가 지닌 보다 근원적인 함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레코드 컨티뉴엄에 내재되어 있는 평가 논리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레코드 컨티뉴엄은 기존의 라이프사이클을 기반으로 한 평가 논리 및 여기서 연유한 양분화된 기록관리체제에 대한 반론에서 출발한 이론체계라는 점에서,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평가에 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특히 평가는 기록이 지닌 의미를 모색하는 합목적적 행위임을 감안할 때, 레코드 컨티뉴엄에서 의도한 기록의 개념 및 의미에 대한 재해석은 이전과는 다른 평가상의 논리들을 도출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본고에서는 라이프사이클 평가 논리와의 비교 및 레코드 컨티뉴엄에서 제시한 새로운 기록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레코드 컨티뉴엄 평가 논리상의 핵심 요소를 세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In this study, the appraisal in record continuum theory is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the appraisal in life cycle mod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re fundamental implications of appraisal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appraisal inherent in record continuum theory. Record continuum theory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appraisal in electronic record environment in that it is a theoretical system in opposition of the appraisal based on life cycle model and dualistic records management system resulting from it.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appraisal is a purposive act of seeking the meaning of record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and meaning of records intended in record continuum theory enables us to derive the different appraisal logics than before.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comparison with the appraisal based on life cycle model and the new record concept presented in record continuum, the appraisal in record continuum theory is analyzed focusing on three aspects.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 및 추진 중인 특화도서관 사업과 관련해서 공공도서관 직원들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특화도서관 운영현황과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향후 특화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모색했다. 분석 결과, 특화주제는 향토(지역)가 가장 많았으나 정책입안자 등의 관심에 따라 주제를 선정하는 곳도 적지 않았다. 전체 장서의 5% 미만을 특화자료로 구성하고, 전체 도서관 프로그램 중 20% 이상을 특화주제 관련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평균 3~4가지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대체로 전담사서를 배치하지 않고 있지만, 정규직 직원 수가 많은 경우 전담사서를 배치한 경우가 많았다. 특화주제가 지역특성에 부합 시, 단독건물이나 특화실이 별도로 있을 시, 전담사서가 2~3명, 특화 장서가 최소 15% 이상, 프로그램이 5~6가지 이상 있을 시 이용자의 인지도와 만족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특화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도서관 운영 및 연간사업계획 수립 시 특화도서관 서비스 관련 계획을 포함해 장서 추가 확보, 차별화된 프로그램 구성, 전담사서 배치, 한국도서관협회 및 지역대표도서관을 통한 주제 전문 교육 실시와 특화주제별, 대상별 서비스 제공 매뉴얼 개발·보급, 충분한 예산확보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and degree of awareness of specialized libraries through a survey of public library employees in relation to specialized library projects supported and promo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local governments and sought policy directions to revitalize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ocal (region) was the most common specialized topic, but there were many places that selected topics according to the interest of policymakers. In the case of the data, less than 5% of the total books are specialized, and specialized subject-related programs account for more than 20% of the total library programs, providing an average of three to four programs, and operating personnel generally do not deploy dedicated librarians. When specialized topics meet regional characteristics, when there are separate buildings or specialized rooms, there are two to three dedicated librarians, at least 15% of specialized books, and more than five to six programs, the user's awareness and satisfaction were higher. In order to revitalize specialized libraries, it is necessary to secure additional books, organize differentiated programs, arrange exclusive librarians, provide subject-specialized education through the Korea Library Association and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develop and distribute specialized and target service manuals, and secure a sufficient budget.
피렌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요람이다. 그것은 중세 인문주의자들의 고대 그리스·로마의 지식문화 탐구, 위대한 군주와 성직자의 문예적 소양과 리더십, 메디치 가문 등의 문화예술 후원, 예술가의 자유분방한 사유와 창의성, 시민의 비판적 의식과 문화적 욕구 등이 조합된 결과다. 그러나 메디치 가문이 고대 필사본과 중세 번역본을 수집하지 않았다면, 도서관을 건립하여 고전을 보존하고 제공하지 않았으면, 피렌체 르네상스는 개화할 수 없었다. 이러한 논거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피렌체 르네상스와 역사도서관을 개관한 다음에 메디치가의 고전자료 수집·구성을 분석하고, 메디치 도서관의 건축적 특징과 메타포를 추적하였다. 산 마르코 도서관(미켈로초 도서관), 바디아 피에졸라 도서관, 산 로렌츠 도서관(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은 지진, 화재, 복원, 이관, 압수, 폐쇄 등 무수한 난관에도 불구하고 피렌체 르네상스의 마중물이자 산실이었다. 특히 코시모·로렌초의 재정 지원, 미켈로초 설계, 니콜리 개인장서를 기반으로 1444년 개관한 산 마르코 도서관은 르네상스 시대의 최초 공용도서관이었다. 그리고 줄리오 주도 하에 1571년 개관한 라우렌치아나 도서관의 건축적 백미는 '무지에서 지혜로'를 상징하는 미켈란젤로 계단이고, 내용적 진가는 인문주의자 니콜리와 메디치가가 수집한 고대 필사본과 초기 인쇄본이다. 요컨대 피렌체 르네상스를 논할 때 메디치가 장서와 역사도서관은 매우 중시해야 할 포인트다. 고전은 구시대 박제품이 아니라 통시적 기호학이며, 도서관은 인류 지식문화사를 조감하는 망원경이자 지식과 지혜를 창출하는 현미경이기 때문이다. 기록이 기억을 지배한다면 도서관은 기록을 집적한다. 따라서 비교적 역사가 오래된 국내 도서관의 소급장서 개발과 보존에도 긴 호흡과 타임캡슐 전략이 필요하다.
Florence is the cradle of the Italian Renaissance. It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medieval humanists' exploration of ancient Greek and Roman knowledge and culture, the leadership of great monarchs and priests, patronage of the Medici family, etc., free-thinking and creativity of artists, and critical consciousness and cultural needs of citizens. However, the Florentine Renaissance could not have blossomed unless the Medici family had collected ancient manuscripts and translations, and built libraries to preserve and provide literature. Based on this logical basis, this study outlined the Florentine renaissance and historic libraries, analyzed the collection and composition of favorite books of the Medici family, and trace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metaphors of the Medici libraries, The San Marco Library (Michelozzo Library), Library of Badia Fiesolana, and the San Lorenzo Library (Laurentian Library) were the priming and birthplace of the Florentine Renaissance despite of many difficulties, including earthquake, fire, restoration, transfer, seizure, and closure. In particular, the San Marco Library, which was opened in 1444 based on the financial support of Cosimo de' Medici, Michelozzo's design, and Niccoli's private collections was the first common library in the Renaissance period. And the architectural highlight of the Laurentian Library, which opened in 1571 under the leadership of Giulio (Papa Clemente VII), is Michelangelo's staircase, which symbolizes 'from ignorance to wisdom', and the real value of the content is the ancient manuscripts and early printed books, which were collected by the humanist Niccoli and the Medici family. In short, when discussing the Florentine Renaissance, Medici's collection and historic libraries are very important points. The reason is that the ancient collections were not stuffed products, but syntactic semiotics, and the libraries are telescopes that view the history of human knowledge and culture and microscopes that create knowledge and wisdom. If records dominate memories, libraries accumulate records. Therefore, long breathing and time capsule strategies are also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retroactive books in domestic libraries with a relatively long history.
본 연구는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의성군의 도서관의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행되었다. 먼저 의성군 지역의 사회·문화·환경적 특성을 분석하고 의성군과 규모가 유사한 인구감소지역의 도서관 인프라와 비교하였다. 또한 의성군 주민의 도서관 이용현황,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방안, 비이용 요인, 신규 건립 도서관에 대한 요구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식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의성군 도서관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의성군 도서관 발전을 위한 4대 전략방향(미래 지향, 커뮤니티 기능 활성화, 정보취약계층 특화, 지역사회 정신문화 고양)과 5대 서비스 핵심과제(의성군 도서관의 브랜드 구축, 혁신형 공간 및 서비스 구현, 주민 정주환경 강화를 위한 도서관 기능 확대,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인서비스 개발 및 제공, 책 읽는 의성을 위한 독서문화 활성화)를 도출하였다. 제시한 핵심과제는 인구감소지역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의성군의 잠재력 개발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도서관서비스에 초점을 두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basic research for establishing a mid to long term development plan for libraries in Uiseong-gun, designated as a depopulated area. First, the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iseong-gun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library infrastructure of depopulation areas similar in size with Uiseong-gun.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users to understand the usage status of libraries, satisfaction with services and improvement plans, non-use factors, and demands for new libraries. Based on this process, the direction of Uiseong-gun library policy was presented. Specifically, four strategic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ibraries (future orientation, community revitalization, service specialization of the information poor, enhancement of local humanities and spiritual culture) and five key service tasks (building library brand, implementing innovative spaces and services, expanding library functions for improvement of settlement conditions of residents, developing and providing services for the elderly reflecting local characteristics, promoting reading culture) were derived. The proposed core tasks focused on future-oriented library servic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 population decrease area and develop the potential of Uiseong-gun.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법 개정에 따라 의무 적용되는 공공도서관 설립 타당성 사전평가가 도서관의 질적인 측면을 개선할 수 있을지 파악하는 것이다. 이에 도서관법 개정 전 같은 목적으로 시행되었던 공공도서관 건립지원 사업 사전평가의 사례 분석을 통해 사전평가의 실효성을 분석하였다. 사전평가를 거쳐 건립된 도서관들의 경우 도서관법 시행령에서 요구하는 법정 사서 최소 기준 3명을 대부분 확보하고 있어 기본적인 도서관 인력 확보에는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당초 계획하였던 만큼의 인력을 확보하여 운영하는 도서관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신청서에는 도서관 운영을 직접 운영하겠다고 신청하였지만 실제 개관 시 위탁운영으로 변경된 사례도 있어 사전 검토 내역이 충실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측면도 있었다. 본 연구는 사례 분석을 통하여 형식적으로 거쳐야 하는 사전 절차가 되지 않도록 법 개정에 따른 현실성 있는 사서 배치 기준의 재확립과 도서관 등록제를 활용한 사후평가 도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pre-evaluation of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a public library, which is mandatory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Library Act,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library.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eliminary evalua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public library construction support project, which was implemented for the same purpose before the revision of the Library Act. In the case of libraries built after preliminary evaluation, most of the minimum standards for legal librarians required by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Library Act were secured, which helped secure basic library personnel. However, there were few libraries that secured and operated as much manpower as originally planned, and in some cases, the application applied to operate the library directly, but it was changed to consignment operation at the time of opening, so the pre-review details were not faithfully reflected. This study proposed re-establishing realistic librarian placement standard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law and introducing a post-evaluation using the library registration system so that it would not be a formal pre-process through case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대학도서관의 SR(Systematic Review, 이하 SR) 지원서비스 사례조사를 통하여 국내 대학도서관에서의 SR 지원서비스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총 119개 국외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전(全) 주제(학문) 분야와 의학 분야로 구분하고 서비스 분야, 서비스 대상자, 홍보, 사서역할(상담자, 협업자), 교육, 사서소개, 팀 구성, 신청양식, SR 이론적 내용, 기타 등 총 10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 대학도서관의 SR 지원서비스는 의학 분야를 시작으로 자연과학, 공학, 사회과학 등의 학문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며, SR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의 역할을 상담자와 협업자 역할로 구분하여 각각의 사서역할에 따라 지원 시간과 서비스 내용 및 공동저자 인정 여부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SR 지원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검색전략·기술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SR 지원서비스의 홍보는 담당사서의 서비스 주제분야 및 학과와 연구를 위한 팀 구성에서 사서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에서도 SR 지원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하며 교육과정에서 전문적인 검색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고, KERIS 등과 같은 대학도서관 유관 단체에서 사서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SR 교육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for establishing SR (systematic review, hereinafter called SR) support services in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a case study of SR support services in overseas university librari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19 overseas university libraries were divided into all fields (subjects and disciplines) and the medical field. And A total of 10 areas such as service fields, service subjects, public relations, librarian roles (counselors, collaborators), education, librarian introduction, team member, application form, SR theoretical content, and others were divided and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SR support service of the university libraries being investigated is expanding from the medical field to academic fields such as natural science,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ervice support hours, services, and whether co-authors wer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role of the librarian. Educational services are provided to users for the SR support service with a focus on retrieval strategy and skills. In the promotion of the SR support service, the librarian must suggest that it should be included. The importance of SR support services for Korean university libraries should be emphasized through the analysis of SR support services for overseas university libraries, professional search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curriculum. Also Organizations related to university libraries such as KERIS have suggested that systematic SR education support is needed for librarians.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도서관운영방법연구소가 간행한 2년간의 『도서관일군 참고자료』(2016~2017)를 대상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해 보는데 있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은 단순 단어의 빈도분석을 뛰어넘어 단어 간의 연결성과 관계성을 파악하여 특정 단어가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특정 사회현상에 대한 해석과 시사점 도출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용어의 빈도분석, 연결중심성 분석, 매개중심성 분석, 군집분석을 통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도서관일군 참고자료』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결과 북한의 도서관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용어들은 '리용자', '정보봉사', '정보요구', '정보기술', '과학기술', '사회적학습', '콤퓨터', '자료기지', '정보수집', '정보검색', '도서관일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empt a text network analysis for two years of 『Reference Materials for Librarian』 (2016-2017) published by the Library Operation Methodology Research Institute in North Korea. A text network analysis can measure how important a particular word by grasping the connectivity and relationship between words beyond a simple word frequency analys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terpret specific social phenomena and derive implications. Frequency, degree centrality, the betweenness centrality, community analysis of the collected words were calculated using NetMiner. As a result, the terms 'users',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technology', 'social learning', 'computers', 'databases', 'information acquisition', 'information retrieval' and 'librarian' were appeared as important ones in understanding North Korean libraries.
의미형성 이론은 주체의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정보추구 행위에 상당한 설득력을 부여한다. 이는 개인의 내적 영역, 대면, 조직, 매스커뮤니케이션 등의 소통과 관련된 다양한 시·공간적 맥락의 정보추구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 및 방법론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론은 결과적으로 주체 개별의 인식론적 해석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 집단의 정보추구 행위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이 될 수 없다. 또한, 이론의 목적은 소통 이론의 관점에서 발신자의 정보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수신자에서 벗어나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는 수신자 중심의 소통 이론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러나 Dervin은 수신자의 외부의 정보와 수신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지 않고 객체정보의 존재를 용인한다. Dervin은 Popper(1972)의 세계 개념에 근거해 정보 개념을 수립하였기 때문에, 의미형성 이론의 관찰 대상은 세계3(객관적인 사유내용)이 아니라 세계3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세계2(심리적 세계)가 받아들이는 의미형성 과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Dervin의 의미형성 이론은 집단 차원에서의 소통 행위를 설명할 수 없다.
Sense-Making Theory gives persuasive power to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while acknowledging the diversity of subjects. It is being used as a theory and methodology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information seeking in various temporal and spatial context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of individuals' inner realms, face-to-face, organization, and mass communication. However, it is not to be a theory to explain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a group in that it explains the individual epistem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s. Also, the purpose of the theory was to establish a receiver-centered communication theory that constructs sense-making by itself, away from the receiver who unilaterally accepts the sender's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theory. However, Dervin accepted the existence of object information without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ipient's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receiver. Owing to the establishing his concept of information following the Popper(1972)'s world concept, its object of observation is not World III(objective content of thought), but the process of sense making in which World II(psychological world) receives information generated in World III. In this context, Dervin's theory is not to explain the communication behavior at a group level.
본 연구는 재난과 관련한 공공도서관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재난 관련 공공도서관 역할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공공도서관 사서 대상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재난 관련 도서관역할에 대한 사서들의 인지도는 과반에 못 미치는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나, 지역사회 재난 발생 시 관련 역할의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이었으며, 역할의 유익성에 대한 평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들은 재난 관련 도서관의 세부 역할 중 이재민을 위한 심리 정서적 지원, 재난 지원 기관과의 협력, 재난 대피소 및 보호소 역할, 재난 관련 정보서비스, 주민의 재난 경험 아카이빙, 아웃리치서비스, 지역사회 지원 등의 순으로 그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사서들은 재난으로 스트레스 및 상처를 받은 지역주민을 위해 심리 정서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를 도서관역할의 필요성과 유익성 측면에서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넷째, 사서직급과 소속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재난 관련 도서관역할에 대한 사서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별 도서관을 중심으로 재난과 관련한 공공도서관 역할 개발 및 이행을 위한 주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related to disaster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librarian. The survey is composed of 34 questions, including the questions asking librarians' perceptions about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related to the disasters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librarians were not well aware of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related to disasters, they generally supported the necessity of the role and evaluated the benefits of the role highly. Second, librarian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role of the library in the following order of importance; psycho-emotional support for citizens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s; cooperation with disaster support agencies; disaster shelter; disaster information service; archiving disaster experiences of residents; outreach services; community support. Third, librarians recognized that psycho-emotional support services for residents suffering from disasters were the most necessary and beneficial to residents. Fourth, librarians' perceptions of disaster-related library roles changed based on their position and the type of library they belong to.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research discussed and suggested what roles each public library should play and what services it should plan, and how it should be implemented during the disaster.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관리 및 공유를 위한 메타데이터 도출이다. 기존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던 메타데이터 DCAT, DataCite 4.4, TTAK.KO-10.0976, AgMES, FoodData Central 등 5개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식품성분 연구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소재정보'와 '성분분석'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소재정보' 메타데이터는 최상위 15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필수 요소 7개, 권고 요소 3개, 선택 요소 5개가 포함되었으며, '성분분석' 메타데이터는 최상위 12개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필수 요소 8개, 권고 요소 3개, 선택 요소 1개가 포함되었다. 도출된 메타데이터는 식품성분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항목으로 사용되며, 국내 및 국제 식품성분 데이터베이스와 공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ed the structure and elements of metadata that can manage and share research data produced in the food composition database. In order to derive metadata elements, mapping crosswalk was performed on 5 metadata such as DCAT, DataCite metadata schema 4.4, TTAK.KO-10.0976, AgMES, and FoodData Centra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p 15 elements of the 'Resource information' metadata were derived, and 7 mendatory, 3 recommended and 5 optional elements, and the 'Composition analysis' metadata included 8 mendatory, 3 recommended and 1 optional element were derived to describe food composition research data, respectively. The derived metadata elements will be used as an item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food composition data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haring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od composition databases.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학생의 온라인 학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요인을 구성하기 위한 요인분석을 제시하였다. 총 204명의 한국 중학생이 참여했으며, 중학교 3년 학생의 표본을 목적표본으로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는 공유 분산의 66.15%를 차지하는 35개 항목에 대한 8개 요인 솔루션을 제시했다. 중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행동을 식별하기 위해 다양한 요인이 고려된다. 이때, 중학교 시기 온라인 러닝의 적절한 경험과 활용도는 그들의 미래 교육의 중요한 발판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을 위한 온라인 러닝 시스템의 질을 향상시키고 온라인 학습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결과는 중학생의 온라인 학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8가지 중요한 요인을 제시했고, 그것들은 1) 소셜 미디어를 학습 도구로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2) ICT를 활용한 정보 공유 의지, 3) 테크놀러지 중독, 4) 테크놀러지 도입, 5) ICT를 활용한 정보 탐색, 6) 소셜 미디어 학습 활용, 7) ICT를 이용한 정보 검색, 그리고 8) 테크놀러지 몰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학생들이 학습도구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하며, ICT를 활용한 정보 공유 의도를 대부분 중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인 분석을 기반으로 얻은 데이터는 온라인 러닝의 새로운 교육 플랫폼을 적용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 학습과 ICT의 혼합에 대한 온라인 학습 행동에 중요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중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행동을 더 잘 이해하고 온라인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정보 전문가가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가 필요한 중학생에게 더 잘 지원할 수 있도록 유용하게 사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presented the factor analysis on constructing the new factors affect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line learning behaviors from the questionnaires employed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204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in South Korea. The sample of middle school ninth-grade students was selected and us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Findings from the factor analysis provided evidence for the eight-factor solution for the 35-items accounting for 66.15% of the shared variance. A wide range of factors has been considered to identify students' online learning behaviors. The appropriate experience and use of e-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period is also important as it will be a critical stepstone for future education. This research provides information that has been taken into account for advancing online learn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e-learning syste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results provided eight new factors affect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line learning behaviors; that is 1) communication using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2)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using ICT, 3) addiction of technology, 4) adoption of technology, 5) seeking information using ICT, 6) use of social media learning, 7) information search using ICT, and 8) immersion of technology. This study confirm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 communication using social media as a learning tool, and valu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using ICT for the most part. The data obtained based on factor analysis can highlight the online learning behaviors towards a mixture of social media learning and ICT to ensure a new educational platform for the future of e-learning. This research expects to be useful for both middle schools of online learning to better understand students' online learning behaviors and desig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 to better assist students who particularly need digital literacy.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학습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대학도서관의 콘텐츠 큐레이션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콘텐츠 큐레이션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후 대학도서관과 국가도서관, 콘텐츠 기업 등의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현황과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학도서관의 성공적인 콘텐츠 큐레이션을 위한 전략으로 양질의 콘텐츠 제공, 선제적 정보서비스 역할 수행, 콘텐츠의 최신성 확보, 이용자 참여를 통한 상호작용성 확보, 개인화 알고리즘 개발의 다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content curation strategy of the university library to support user learning and research. As a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e concept of content curation was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fter that, implications were found by analyzing the cases of content curation services such as university libraries, national libraries, and content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ve strategies for successful content cur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were proposed: providing high quality contents, performing preemptive information service roles, keep content up to date, securing interactivity through user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personalization algorithm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 제도와 정책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기능이 포함된 UNESCO, IFLA, EU, OECD가 발행한 문서를 검토하였으며 국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법령과 정책 및 유관 기관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제기구는 정규교육과정과 정규교육과정 밖에 있는 시민이 정보에 접근하고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으로 공공도서관을 인식하였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포함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에 대한 책무성이 있는 평생교육과 시민교육 기관으로 공공도서관을 활용하였다. 도서관법에는 국민의 알권리와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해 공공도서관과 사서에게 시민들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에 대한 책무성이 부여되어 있으나 국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정책에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사서의 역할은 축소되거나 배제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과 사서가 시민들의 정보 격차를 줄이며 시민역량으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책무성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draw implicaitons from international and domestic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MIL) policies and educational systems. To this end, international policy documents issued by UNESCO, IFLA, OECD, and the EU as well as domestic South Korean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MIL and the fuctions of public libraries and related institutions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 tha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cognize public libraries as institu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information access and supporting knowledge sharing for citizens within and outside of formal education systems. Additionally, public libraries are seen as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supporting lifelong learning and civic education, as well as improving media,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y skills of their communities. In South Korea, the Library Act gives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responsibility for improving citizens' MIL to support the public's right to know and to narrow the information gap. However, the functions of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in South Korea have been limited or excluded in the domestic MIL policies. This study concludes that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are responsible for reducing the information gap among citizens and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policy development to improve citizens' MIL skills.
전문직의 계속교육은 지속적인 전문성 능력 향상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건이다. 사서직의 전문성 제고 또한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인 계속교육 전략 수립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서 계속교육의 중심이 되는 국가 기관의 내외부 환경분석을 통해 국내 사서 계속교육의 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환경분석 방법론으로 PEST-3Cs-SWOT의 복합적 체계를 제시하고, 이를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PEST분석을 위해 도서관, 사서, 사서교육과 관련된 문헌을 광범위하게 검토하였고, 3Cs 분석을 위해 내부 직원의 심층 면접, 교육대상자의 수요조사에 관한 설문데이터 분석, 국내외 유사기관 사례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SWOT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강점-기회 전략과제 4가지, 약점-기회 전략과제 5가지, 강점-위협 전략과제 5가지, 약점-위협 전략과제 3가지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사서 계속교육 기관의 전략과제를 제시함과 동시에, 발전계획 및 전략 수립과 유사한 업무에 적용할 만한 복합적인 분석 방법론을 제시·적용하였다는 것에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Continuing education for professionals is the most basic requirement for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librarians will also be possibl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continuing education strategy of the national level. In this study, we tried to derive a strategy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in Korea by analyz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national institutions that are the center of continuing education for librarians. To this end, we proposed a complex framework of PEST-3Cs-SWOT as a systematic environmental analysis methodology and tried to apply it. For PEST analysis, literature related to library, librarian, and librarian education was extensively reviewed, and for 3Cs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ith internal employees, questionnaire data analysis on the demand survey of training subjects, and case studies of similar institutions in Korea and abroad were conducted. Based on this, SWOT analysis was conducted, and finally, 4 strengths-opportunity strategic tasks, 5 weaknesses-opportunity strategic tasks, 5 strength-threat strategic tasks, and 3 weaknesses-threat strategic tasks were derived.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strategic tasks for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and at the same time suggests and applies a complex analysis methodology that can be applied to tasks similar to development plans and strategy establish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도서관 및 도서관학 분야의 연구동향과 관련 용어를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북한의 도서관학에 해당하는 남한의 문헌정보학 분야를 7개의 주제 범주와 25개의 세부 주제 영역으로 구분하고, 남한에 현존하는 북한의 도서관 및 도서관학 분야 잡지 2종에 실린 136편의 논문을 남한의 세부 주제 영역에 따라 재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남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세부 주제 영역은 문헌정보학 분야 주요 학술지 3종(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정보관리학회지)의 논문투고 기준을 바탕으로 논문 투고 시 저자가 선택하게 되는 주제 구분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이 된 학술지는 북한의 대표적인 도서관 및 도서관학 분야 잡지인 『김일성종합대학학보(어문학)』(2008~2018)와 『도서관일군 참고자료』(2016~2017) 2종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북한의 전문용어와 최근 도서관 및 도서관학 분야 연구동향은 향후 남북 도서관 및 관련분야 연구자 간 학술교류 시 의제 선정의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rends in research topics and related terms in the field of library science in North Korea. To this end, subject fiel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in South Korea, which corresponds to that of the North, were divided into seven subject categories and 25 detailed subject areas. In addition, 136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wo North Korean journals were re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South Korea's detailed subject areas. The detailed topic area in the field of LIS is based on the criteria for posting papers of three major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LIS in South Korea. The two academic journals in North Korea that we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Kim Il-Seong University Journal (Language Literature)" (2008-2018) and "Reference Materials for Librarians" (2016-2017). This study not only informs South Korean researchers the trends of interest in North Korea's recent library and library science, but can also be the starting point for academic exchanges between researchers in South and North Korean libraries and related field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소속 직원들을 대상으로 업무 형태별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특성 차이와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3개 도시의 20개 공공도서관에 근무하는 직원 3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설문 내용은 SPSS 2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타당성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서직이 사서직 이외의 직원들보다 감정노동을 더 많이 겪고 있고, 민원응대 업무 포함 여부에 따라 감정노동의 빈도가 높아지고, 직무만족 전체와 직무만족의 업무조건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의 심리반응 만족의 경우, 도서실 자료 업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사서들의 업무에서 발생하는 감정노동은 사서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감정노동의 빈도와 감정부조화는 낮추고, 감정노동의 다양성은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이 이용자 응대 매뉴얼과 향후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job type, and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public library employees. Using SPSS 27.0, the survey contents were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ibrarianship experienced more emotional labor than non-librarians, and the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increas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civil service was included,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job condition satisfaction. However, in the case of psychological response to job satisfaction, library data work was found to be high. In terms of user service, emotional labor that occurs in librarians' work has two sides, which can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the librarian'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practical measures to reduce the frequency and emotional dissonance of emotional labor and increase the diversity of emotional labor should be included in the user response manual and future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서 수여하는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및 교과 운영 현황과 국내외 정보대학의 데이터사이언스 교과 운영 현황을 이해함으로써, 국내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사이언스 교과 운영에 대한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데이터 수집의 대상은 2022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공개한 국내 439개 학교의 데이터사이언스 학위였다. 분석의 대상은 데이터사이언스 학위를 운영하는 국내의 대학교, 단과대학, 학부, 학과, 세부 전공, 연계전공, 융합전공, 마이크로 학위, 나노 학위, 트랙, 모듈, 산학협동 과정 등이었다. 교과 분석을 위해서 국내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과정에 개설된 1,148개의 교과 명을 분석했다. 국내 문헌정보학과 학사 과정의 1,325개의 교과 명을 분석해서 국내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사이언스 교과 운영 현황을 확인했다. 국내의 데이터사이언스 학위는 개론, 기술, 실습, 응용, 심화 교과 등 데이터사이언스 교과를 골고루 개설하고 있었다. 국내 문헌정보학과는 데이터사이언스와 관련된 교과 개설에 적극적이지 않았으나, 개설한 경우에는 데이터사이언스 개론,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시각화, 데이터큐레이션, 메타데이터, 빅데이터, 정보 기술 교과가 개설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과정, 세부 전공, 연계전공, 융합전공, 마이크로 학위, 나노 학위, 연계 트랙, 모듈, 산학협동과정 등의 교과의 개발 및 개정에 필요한 논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data science degree programs and courses offered by universities, and those offered by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degree programs, to understand its implications for the LIS programs in Korea. This research assessed the status of data science degrees from 439 schools using the list releas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22. To be specific, this study analyzed universities, colleges, majors, sub-majors, interdisciplinary majors, convergence majors, micro-degrees, nanodegrees, tracks, modules,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ve programs within the data science field. This research examined 1,148 courses offered by data science degree programs and 1,325 courses offered by LIS degree programs. Data science degrees in Korea offer courses such as introductory, technical, practical, applied, and in-depth subjects related to data science. Although the LIS programs in Korea do not always offer data science, the courses included topics such as the introduction to data science, database, data visualization, data curation, metadata, big data, and information technology, when courses were offered. The researchers ho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a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and revisions of LIS curriculum on data science in Korea.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의 주요 토픽과 사서교사 역량 강화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사서교사가 적절한 요소를 통해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22년 5월까지 문헌정보학 분야 4대 학술지에서 출판된 정보활용교육 관련 논문들을 수집하여 LDA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토픽모델링 결과 20개의 토픽 중 정보활용교육(T10)이 12.0%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서관 활용수업(T2) 10.4%, 이용자 서비스(T3) 8.8%가 그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서토론(T7) 3.3%, 독서교육(T19) 2.9%, 인력 관리(T13) 2.1%, 사서교사 직무 만족도(T17) 2.1% 등은 정보활용교육 토픽모델링에서 저조한 토픽들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수업모형개발(T1)과 교육과정 개발(T20)은 사서교사가 협업수업과 정보활용교육을 진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에는 고유한 평가지표로 반영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교육 및 수업 지원' 요소에 '수업모형 및 교육과정 개발'을 추가 평가지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librarian teacher evaluation index from evaluation of teachers' competency development with the the topics of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To this end, LDA topic modeling was conducted by collecting papers related to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published in four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information from 1995 to May 2022.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it can be seen that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T10) was the most actively discussed at 12.0% of the 20 topics, followed by library utilization classes (T2) 10.4% and user service (T3) 8.8%.On the other hand, 3.3% of reading discussion (T7), 2.9% of reading education (T19), 2.1% of manpower management (T13), and 2.1% of librarian teacher job satisfaction (T17) showed the lowest distributions 3.3%, 2.9%, 2.1%, and 2.1%, respectively. In addition, although librarian teacher's class model development (T1) and curriculum development (T20) are essential processes for collaborative classes and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they were not reflected in the current teacher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index.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at 'instructional model and curriculum development' indicator should be added on 'training and support classes' factors in the Librarian Teacher Evaluation Index in Teachers' Competency Development Evaluation for further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