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정필모(중앙대학교) pp.1-14
초록보기
초록

이 글에서는 새로이 설계된 국제백진분류법의 주류와 9개 보조표를 포함한 일반적인 개요와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Abstract

This article introduces the gener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CC(International Centesimal Classification) including main classes and auxiliary tables - form divisions; chronological divisions; geographical divisions; language divisions; racial, ethnic, national groups; divisions of individual religion; divisions of individual language; subdivisions for individual literatures; and groups of persons.

김현희(명지대학교) ; 정경희(중앙대학교) pp.15-34
초록보기
초록

저작권법은 저작자의 권리와 그 권리에 대한 제한을 통하여 문화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교육 목적을 위한 경우와 도서관에서의 이용에 대하여 저작권자의 일부 권리를 제한시키는 규정은 저작재산권 제한의 대표적인 예이다. 본 논문은 원격교육을 지원하는 도서관정보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작권 문제를 고찰하고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원격교육과정에 참여하는 교육자와 피교육자에 의한 저작물 사용시 저작권 문제가 기존의 면대면 교육상황과 어떻게 다른지 고찰하였다. 또한 원격교육을 지원하는 도서관서비스 중 전자지정도서제 운영, 전자적 도서관상호대차 및 전자적 문헌전달서비스 과정에 있어서 저작권 문제를 고찰하고, 현행 저작권법에서 해당 법조항의 문제점과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pyright problems in the course of distance teaming. The Copyright Act of Korea is built to protect the rights of authors and the rights neighboring on them and to promote fair use of work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culture. However, for efficient use of library's materials for distance education, some articles in the Copyright Act of Korea is needed to be changed. We suggested the revision in the article 23 “Reproduction for the Purpose of School Education” and the article 28 “Reproduction in Libraries, etc”.

유소영(건국대학교) pp.35-56
초록보기
초록

초등학교 도서관 교육이 학교교육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창의성 함양에 초점을 둔 교육방법을 사용할 것이 요청된다. 그러한 교육방법은 The Big Six와 같은 학습모형의 이용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모형을 이용하여 학습하도록 하려면 도서실의 설치, 자료확보, 사서교사 채용, 학습모델을 이용한 정보기술교육의 교안개발 보급, 등 여러 가지 교육에 필요한 선결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Abstract

The author reviewed the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 instruction. In order to fit the goal that is the enhancement of student's creativity, the instruction the author introduced is based on the learning model such as The big Six. She insisted that students can be creative, if they solve their classroom tasks by using such learning model for their entire school days because the learning models are structured similar to human brain's thinking process and it can help the function of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The author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the conditions of school library media centers for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 instruction to meet the goal of school, that is the creativity of students.

장덕현(부산대학교) pp.57-76
초록보기
초록

대학도서관 이용교육 분야는 오랜 기간 동안 매우 관심 있게 다루어져 왔으며, 그 변화의 양상 또한 괄목할 만하다. 특히 최근에는 관련연구의 생산도 증가하고 있다. 이 글은 최근에 생산된 대학도서관 이용교육 분야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관련연구의 경향과 논지의 방향성을 재고하고자 하였다. 관련연구들을 중심으로 대학교육의 본질과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의 내용과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대학도서관 봉사의 본질로서의 독서교육에 대한 관심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대학교육의 비판적 기능, 도서관 이용교육과 독서 및 도서관 이용문제, 그리고 대학도서관 교육의 정치적 측면에 대한 제안이 결론적으로 제시되었다.

Abstract

User education in academic libraries can be traced back to the beginning of the education for librarianship in late 19th century. Since then, perspectives in library user education and the perceptions of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changed due to new technologies. Recent literature in this field illustrates wide variety of concerns and issues of user education in academic libraries. This paper attempts to highlight such issues and perceptions regrading the subject. It suggests that some fundamental features of LIS education require attention. Suggestions are outlined along with the strong recommendations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and reading, user education as a tool of library promotion, and the politics of academic library user education.

권은경(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77-97
초록보기
초록

전자출판이 확대되면서 학술커뮤니케이션의 근복적인 개혁이 논의되고 있다. 학술잡지의 가격인상으로 정보수급의 불균형에 직면한 미국의 대학도서관은 이 문제의 핵심이 상업출판사에 의한 지적 소유권의 점유에 있다고 인식하였다. 본 논문은 미국의 대학도서관, 대학행정가, 교수, 학회 등이 현재 상업 출판사가 장악하고 있는 학술잡지 출판의 문제점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술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향후의 가능성과 그 영향을 고찰하였다.

Abstract

Research libraries have been facing serials crisis, that is the difficulties in providing information which caused by high and rapidly increasing cost of scientific journal subscriptions. This economic problem resulted in the imbalance between scholarly Publication and library resources. University libraries recognized that the commercialization of research information is at the core of the economic problem. This paper analyzes the trials and suggestions of faculty, universities, and professional societies in the United States to reforming scholarly communication system to take back intellectual property from commercial publishers and to improve scientific information exchange.

송승섭(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겸임교수) pp.99-1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먼저, 북한의 통신망,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정보화 기반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정보화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를 중심으로 한 북한의 학술정보 유통체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북한의 대표적인 과학기술통보기관인 중앙과학기술통보사 현황과 이 기관이 개발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는 검색프로그램인 ‘광명시스템’을 통해 북한의 과학기술정보시스템을 분석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firstly investigate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 North Korea such as communication network, hardware, software and etc, and then, based on it,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libraries there. Also, it is to analyze the information system of science technology in order to research the circulation system of science information with focusing on the Central Science Technology Intelligence (CSTI), a representative intelligence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in North Korea, and on the retrieval program of “KWANGMYOUNG System”developed by CSTI and used broadly.

문경화(하나은행 전략기획팀) ; 남태우(중앙대 문헌정보학과) pp.121-1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멀티미디어 정보환경에서 자원관리 패러다임 변화와 함께 도서관의 장서관리가 지식컨텐츠관리로 변화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효율적인 웹 컨텐츠관리는 개인별 맞춤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이용자 만족을 최대화 할 수 있다. 특히, 메타브라우징 방식을 이용한 컨텐츠 맞춤화 서비스는 이용자 개인이 일하는 핵심컨텐츠만을 집중 서비스함으로서 이용자 만족의 극대화에 기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이 이용자의 만족을 강화하기 위한 웹 기반 멀티미디어 지식컨텐트 관리방안에 대해서 관리요소와 서비스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Abstract

In this paper, I presented that transformation of library from the collection management to knowledge contents management along with paradigm shift under the web-based multimedia information environment is required. Effective web contents management call maximize users'satisfaction with personal customizing services for library users. Especially, contents customizing service using the metabrowsing service contributes to maximize the user'satisfaction by supplying core contents that the user seeks. In this paper, I studied the scheme of knowledge contents management to increase of user'satisfaction, concentrating on the management factors of web-based multimedia knowledge contents and service strategy.

이창수(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p.143-16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외국의 문헌분류법이 중국의 문헌분류법에 끼친 영향을 DDC, ББK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 도서관을 국책 수행 상 중요 기관으로 인식하는 중국의 도서관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중국의 현대 3대 문헌분류법인 중국인민대학도서관도서분류법, 중국과학원도서관도서분류법, 중국 도서관분류법에 대하여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oreign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s on the Chinese classification systems in the library. And the study is to analyze development process of three modem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s, the <TEX>$\ulcorner$</TEX>Renmin University of China's Library Books Classifications<TEX>$\lrcorner$</TEX>, <TEX>$\ulcorner$</TEX>Chinese Academy of Sciences's Library Books Classifications<TEX>$\lrcorner$</TEX>and <TEX>$\ulcorner$</TEX>Chinese Library Classification<TEX>$\lrcorner$</TEX>which are being used in many libraries in China where the library is regarded an important organization for performing the national policies.

윤구호(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69-192
초록보기
초록

지식경영은 1990년대의 중요한 이슈로서 기업사회에서 폭발적으로 나타날 개념이다. 본고에서는 지식경영의 배경 및 정의, 지식경영 분야를 지배하는 주요 지배그룹과 테마 등 주요 개념과 이슈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명시적 지식, 암묵적 지식 및 지식 인프라를 통합하는 도형적 모델을 제사하고, 모델의 중요한 특성을 상세하게 검토하였다. 또한 능률적인 지식경영시스템의 구축방법과 전형적인 사례 및 사서의 역할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Abstract

Knowledge management(KM) is a concept that has emerged explosively in the business community as a major issue of the 1990s. In this paper, the background and definition of KM and some major issues such as central groups and themes dominating the field of KM are outlined In brief. In particular, a descriptive model is proposed integrating explicit knowledge, tacit knowlegde and the infrastructure, and its key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in detail. Also a few methods to build efficient KM systems(KMS) as well as some conventional practices in KMS, and the librarian's role in KMS realization are briefly introduced.

여지숙(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동근(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193-21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전자정보원(electronic resources)을 효율적으로 정리해서 제공하기 위해 웹사이트에서 양질의 인터넷 정보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참고도구로써 실험하고 있는 OCLC의 CORC (Cooperative Outline Resource Catalog)의 역사와 특징, 운영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국내 도서관이 당면한 관련문제를 해결하고 유사한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y, general characteristics, current status of CORC operated by OCLC to catalog electronic resources, especially information resources in internet and suggests some recommendations for Korean libraries in introducing a similar system.

노문자(숭의여자대학) pp.211-246
초록보기
초록

세계2차 대전 후 서독과 동독은 분단이 되면서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국가 체제로 41년 동안 서로 다른 길을 걷게됐다. 동독은 냉전시대에 소련의 영향권에서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새로운 국가건설을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학술도서관 역시 새로운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변모를 해야만 했다. 변화된 국가적 환경에서 도서관 역시 이 변화를 거부할 수는 없었다. 이 변화의 과정에서 학술도서관은 국가 체제유지의 도구로 이용됐다.

Abstract

After division of Germany, East Germany was established as a socialistic nation. The new socialistic nation needed new systems in many different areas such as political, social, educational and cultural. In the new political system based on socialistic ideology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political parties used the academic libraries as a political instrument. Thus the members of the political parties exercised socialistic ideology on the management of the libraries. For example, in the appointment of the library directors, in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ibrarians, in the collecting development policy, in managing the seditious materials etc the influence of socialism can be seen.

이제환(부산대학교) pp.247-264
초록보기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역동적으로 변하고 있는 정보환경에서 대학도서관이 대학의 심장으로 기능하기 위해 어떠한 경영철학과 전략이 필요한지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을 둘러싼 환경변화의 실체를 면밀히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환경변화가 대학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에 어떠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변화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데 있어 우리 대학도서관이 안고있는 내재적 한계는 무엇이며,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대학도서관이 발전하려면 어떠한 경영전략이 필요한지를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both management philosophy and development strategies that Korean university libraries should have and follow for a healthy and steady development in such a rapid and dynamic digital environment. To the end, the substance of the undergoing 'environmental change' was identified, and the needed new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y libraries were also analyzed. Also discussed is the intrinsic limitations of university libraries which might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libraries' active effort to cope with such changes.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that both philosophical and practical strategies and methods in order for the university libraries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and to prosper in the near future.

옥수봉(경남대학교) ; 김경숙(동원대학교) pp.265-29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이 급변하는 경쟁사회에서 조직의 전략적인 경영에서 TQM(Total Quality Management)을 적용시키는데 있어서의 이론적인 배경과 개념,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대학도서관에서의 TQM의 적용은 대학도서관이 급변하는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 방법과 새로운 실제적인 전략을 수행 있도록 인식시키는데 있다. 대학도서관에서 TQM을 가지고 적용 가능한 구조를 도출하고, 대학도서관에서 TQM을 수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대학도서관 조직 경영에서 TQM의 기본적인 요소인 조직 문화, 직무 만족, 이용자 만족의 변수를 가지고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best Total Quality Management(TQM) implementation model for university libraries is focused through the study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the concept, the quality and the development of TQM.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QM to university libraries was started with the recognition that university libraries have to work out a new strategy of a positive and active counter plan to cope with the change of environment. The detailed purpose of this study is (1) the diagnosis of the applicability of TQM to university libraries (2) the suggestion of the TQM implementation models suitable for university libraries (3)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manager's leadership-which is the fundamental factor of TQM-over the organization's culture, the job satisfaction, the consumer satisfaction in the university libraries organization Management.

송준용(서울대학교) pp.291-322
초록보기
초록

한국의 의학도서관들은 학술잡지 공동이용을 위하여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를 주축으로 1969년부터 상호대차를 활발하게 진행해 왔다. 의학정보에 대한 종합데이터베이스는 서지통정기관이 없는 실정이어서 자료 공동이용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분담수서는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술잡지의 공동이용체계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국내외 의학관련 정보기관의 운영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의학연구자와 현장 의학사서에게 보낸 설문지를 토대로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1년 간의 MEDLIS운영결과 자료를 토대로 학술잡지 중복구독현황, 상호대차 현황, 시스템운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종합적인 데이터에 근거하여 학술잡지 공동이용의 발전 방안을 설계하였다. 학술잡지 공동이용체제 확립을 위해 한국에 의학전문정보센터를 설립하고 산하에 전국의 8개 지역센터를 두고, 지역센터를 중심으로 1차 분담수서를 계획하고, 2차로 전국적인 분담수서를 계획하는 방법으로 설계하였다. 상호대차요구의 집중화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신청되는 요구는 1차로 지역센터에서 처리하고, 해당지역에 소장되지 않은 자료는 2차로 전국지역으로 단계적으로 신청하는 체제로 설계하였다.

Abstract

Korean medical libraries have made interlibrary loan active under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since 1969, the sharing acquisition of journals has not been performed efficiently in the absence of a bibliographic control institute.The medical library of seoul national medical university which is designated to a medical professional information center by korea education academy information developed MEDLIS linking the union catalog and interlibrary loan system and has been operating it in cooperation with the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Two types of questionaries were sent to 350 medical researchers and 160 medical librarians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information institutes, develop sharing systems and find a solution for sharing systems. Also, some analyses for the recent state of duplicate subscriptions, interlibrary loan, demands for system operations on the basis of the statistics of MEDLIS users were made.The result showed that medical researchers and medical librarians are affirmative for MEDLIS, users need a convenient interlibrary loan system and medical librarians agree to activate interlibrary loan. It also showed that sharing acquisition of journals seemed to be realizable for medical librarians, although there was no intention to improve the centralization of interlibrary loan among them.From the findings, a plan for sharing acquisition of journals established by the sharing acquisition committee under korea medical libraries society and national 8 local centers to play a key role in it was made. Also, a proposal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formation center for controlling korean medical bibliographies was suggested. This system will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make users to acquire materials more effectively and save the national budget.

이란주(동덕여자대학교) ; 임지혜(동덕여자대학교) pp.323-3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새 천년과 함께 지식기반사회에서 한국의 서지학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가장 최근자료인 2000년과 2001년도에 서지학회에서 발간한 <TEX>${\ulcorner}서지학연구{\lrcorner}$</TEX> 19.20.21.22집에 재된 51편의 논문과 그 논문에서 인용한 1,321개의 인용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변수는 논문의 주제와 저자관련사항, 참고문헌의 유형과 수, 학술지의 종류, 참고문헌의 발행국과 언어, 인용저자 사항 다섯 개의 분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이전의 관련 연구들과 크게 두트러진 점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많이 다루어진 주제 분야, 인용문헌수, 인용된 문헌의 형태에서 다소 차이점은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아직은 서지학의 인문학적인 성격은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지학의 발전을 위하여 역사학 분야의 연구가 병행되어야 하며 인용분석 방법론 외에도 질적인 연구방법론도 병행되기를 제안한다. 또한 서지학 외의 문헌정보학 분야와의 교류 및 공통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하다고 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bibliography' in Korea. By utilizing citation analysis methods, total 1,321 cited references of the 51 articles published by <TEX>${\ulcorner}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lrcorner}$</TEX> in 2000 and 2001 are analysed. This analysis is focused on an article's subjects and authors'occupations, the numbers and journal categories of its cited references. Also, this study observes the nationalities and languages of cited references and various items related to authors of cited references. The most of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it could find that there are minor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s, in respect to subject areas, the number of cited references and the forms of cited refer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bibliographers's collaborative works with related fields such as history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eed to be strengthened, and that qualitative apaches as well as citation analysis methods might be beneficial for further expansion of academic scope of 'bibliograph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