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도태현(동의대학교) pp.1-18
초록보기
초록

일제시대 세 차례에 걸쳐서 출간된 <TEX>$\ulcorner$</TEX>조선도서해제<TEX>$\lrcorner$</TEX>는 다음과 같은 현대적 목록의 특성을 갖추고 있다. 첫째, 각각의 저록에는 서명, 권책수, 편저자, 판본을 기입하고 저술의 시기, 저자, 동기, 구성 및 내용, 편저자의 전기 등을 포괄하여 해당 문헌을 해제하였다. 둘째, 이 목록은 시부분류체계에 의한 주제검색, 오십음순색인에 의한 서명검색, 왕호표, 편저자성별표에 의한 인명검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각각의 저록에는 규장각도서번호를 첨부함으로써 해당 도서의 배열위치를 알 수 있게 하였다.

Abstract

Chosundoseohaeje, a book type catalog was published three time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catalog has several characteristics of modem catalog as fellows : First, each record of this catalog includes title, volume no., statements of responsibility, printing type, annotated bibliography containing date, author, background, structure, contents of the book, and biographies. Second, this catalog has a subject retrieval system by the four-part classification(Kyung, Sa, Ja, Jib), title retrieval system by Japanese alphabetical index, and authorㆍeditor retrieval system by their family name index or king's name index. Third, this catalog has a system indicating the location of described books by Gyujanggak book numbers.

유양근(강남대학교) pp.19-42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확산이 학교도서관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보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인식도 정도를 분석하였다. 인식도 정도 분석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으며, 학교도서관의 정보시스템 구축의 근본적인 대안을 찾는데 있다. 분석된 자료는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교육프로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학교도서관의 본질적 기능을 회복하는데 기인 할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way of development of school library and construction of information system for school library. In order to identify the way, the school librarian recognition level of school library information system was analyzed, since the recognition level about the information system can affect the school library development. Data i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can be used to develope a school library instruction program for teachers and a base material for recovering the school library fundamental function.

박정길(경성대학교) pp.43-77
초록보기
초록

한국인은 독서를 잘 하지 않기로 정평이 나 있다. 그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ulcorner 독서부진의 요인은 무엇일까\ulcorner 한국인 독서부진 요인을 구조적, 다면적으로 진단하고 조사하여 그 요인을 명확히 추출하고 정리하면 독서부진을 개선할 방안이 마련된다. 한국인 독서부진 요인의 진단, 분석을 역사적 측면, 사회적ㆍ교육적 측면, 정신적ㆍ심리적 측면에서 고찰하여 그 주된 원인을 밝혀내고 그에 대한 해소책과 독서문제 해결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인 독서부진 원인을 찾아내고, 독서 저해요인을 해소할 뿐아니라, 독서조장 요인을 제시하므로서 한국인들의 독서수준과 독서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itical factors that have made Koreans such poor readers. What is the factors in make poor progress in reading of the Korean. The emphasis was put on identifying some indigenous barriers against buiding ‘good’ reading habits. Especially investigated are the following three aspects: historical, socio-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his study suggested the policies and strategies for correcting and improving the poor reading of Korean.

배순자(전주대학교) pp.79-9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행정서비스의 민간위탁과 관련하여 공공도서관의 민간위탁에 대한 당위성을 찾으려는 의도에서 시작된 것이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국내 특정 지방정부에서 실시한 행정사무의 민간위탁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결과와 민간위탁으로 운영중인 지방공공도서관에 대한 경영평가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기 시행중인 행정서비스의 주민만족도 저하를 비롯하여 도서관서비스의 특성상 공공도서관에 대한 민간위탁 계획은 그 시행에서 많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is study is attempt to find out the justification of the contracting-out for public library considering by the results from estimation about public service governed through contacting-out. For this study I made use of both integrated estimation of public services and evaluation of library service, which have beeing managed by contracting-out. Finally, I realized that attempting the contracting-out for public library may has many limitation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service and the failure to achieve the satisfaction of hon in public service.

윤희윤(대구대학교) pp.95-117
초록보기
초록

지식기반의 경제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그것은 모든 중요한 과학기술정보를 수집ㆍ배포ㆍ보존하는 인프라, 즉 국가정보시스템의 성능이 그 국가의 존망과 생존을 결정하는 인자로 부상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구심체로서의 역할이 KISTI에 부여된 이상, 국내외 과학기술정보에 대한 최초의 관문과 최후의 보루로서의 위상을 확보하고 제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과학기술정보의 체계적 수집, 완벽한 보존, 그리고 적시적 제공이 국가의 정보경쟁력을 확보하고 궁극적으로 KISTI의 존재이유와 정체성을 결정하는 요체라는 전제 하에 현주소를 SWOT 분석하여 수집규모의 최적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In the context of the emerging knowledged-based economy, innovations and capacity of the national information system to collect disseminate, and preserve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resources are becoming increasingly fundamental determinants of national prosperity and survival. It is essential that the scholarly or scientific communication system provides cost-effectiveness access to information in suppor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orea. The KISTI is the first instance and last resort for access and preservation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Korea.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timize an acquisition size of STM information resources for the KISTI, based on its SWOT analysis.

김영귀(신라대학교) pp.119-141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일본의 공공도서관에서 일어나고 있는 도서관의 관리운영의 민간위탁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1970년대 국가적인 행ㆍ재정개혁이라는 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된 효율적 운영과 지방재정의 위기가 맞물리면서 일어난 민간위탁에 대해서 그 이유와 배경, 역사를 살펴보고,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대응 및 대비책을 찾아내고자 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이런 일련의 민간위탁이 진행됨에 따라 감량경영, 효율적 관리에 의한 사서의 감소, 사서직종의 폐지, 그리고 도서관의 얼굴인 대민봉사업무의 민간업자에 의한 위탁에 따른 비정규직이 증가함으로써 파생되는 사서직의 위기를 분석하고, 앞으로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son, background, history, and present status of outsourcing of the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the change of librarianship in Japan. Under the name of the difficulty of finance and the effective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 from the beginning of 1970's, the outsourcing of public library is going to the present. And especially with the progress of outsourcing, there were decreasing of the number of librarian, increasing of part time librarian, and abolition of librarianship. So this study try to find good resolutions about these problems in end.

이명규(전남대학교) ; 김정현(전남대학교) pp.143-16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DDC의 발전과정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DDC 초판부터 최신판인 제21판까지 농학분야의 변천과정에 대해 판별 전개내용과 세목들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1876년 DDC 초판이 발행된 이후 농학분야의 분류항목은 많은 변화와 함께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특히 1900년대 초기인 제8판, 제10판, 제12판 등에서 항목의 신설과 대폭적인 하위항목의 세분이 이루어져 이때 농학분야의 분류체계가 완성되어 졌다고 볼 수 있다. 그후 농학의 기술적 진보와 함께 새로운 분류항목들이 개정판마다 지속적으로 반영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DDC 초판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가장 큰 변화는 유를 달리하여 항목이 이치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농업경제학은 제17판부터 631.1에서 경제학의 하위요목인 338.1로 이치되어 갔으며, 수의학은 제15판부터 의학의 하위요목인 619에서 636.089로 이치되어 왔다. 특히 농업경제학은 오늘날 농학계에서 중요한 하위 분과학의 하나로 다루고 있는 점에 비춰보면, 농학에서 경제학으로 이치된 것이 지금도 논란이 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library classification of agriculture in DDC, from the Int edition to the 21th edition. Sinc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DDC) was the first published in 1876, number of total items increased significantly a newly-organized and subdivision of them in the 8th, 10th and 12th edition. According as the discipline developed and was specialized, the agricultural division in DDC was fractionized, and new subjects were continuously added to it. After that time the first edition, the major changes arranged an class and order in the 15th and 17th edition. That is to say, ‘Farm economics’ in 631.1 was relocated to 338.1 in the 17th and ‘Veterinary sciences’ in 619 was relocated to 636.089 in the 15th. Especially, up to now ‘Farm Economics’ deals with an important branch in the science of agriculture. Here the matter of argue heatedly arranges it from economics to agriculture.

남태우(중앙대학교) ; 정재영(서강대학교) pp.163-185
초록보기
초록

주제별조직 형태로 운영되는 대학도서관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충분한 사전 작업과 현실적 고려 그리고 효과적인 주제별 운영에 대한 연구 없이 자료의 주제 구분만을 시도한 결과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주제별조직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37개 대학도서관을 조사한 결과 효율적인 주제별조직을 위해서는 건물의 구조 및 형태ㆍ각각의 주제별 이용자 수ㆍ장서구성 등을 고려한 합리적 주제구분과 함께 주제별조직을 담당할 인력 즉, 주제사서의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주제별조직 체제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국내 대학도서관 현실에 적합한 주제별조직 모형이 개발되어질 필요성이 있으며 대학도서관 현장에서의 노력 즉, 충분한 지원의 확보와 주제사서의 양성ㆍ확보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lthough university libraries run by the subject-oriented serviec systems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many problems are emerging as a result of tying out the subject classification of the sources without an enough advance knowledge, consideration of reality, and the study about effective management of subject-oriented sum system. Through the research of 37 university libraries run by the system of subject-oriented service, it was proved that for the effective subject-oriented service system, the reasonable classification of the subjects, considering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 number of users on each subject and the organization of the collection, and the subject librarians, who would take charge of subject-oriented service systems are indispensable. Therefore, the subject-oriented service system to be rooted strongly, the role model of the subject-oriented service system adequate to the reality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efforts of the people on the spot such as acquiring enough supports and training of the subject librarians should be arranged.

조윤희(중앙대학교) pp.187-207
초록보기
초록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진화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디지털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저장, 검색, 변경,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반 저장관리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분산 네트워크 환경하에 이 기종 시스템의 데이터 통합관리, 저장 장치의 효과적인 활용, 데이터 전송 한계 등의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SAN이 대두되었다. SAN은 개별적으로 서버에 연결되던 저장장치들을 광 채널과 같은 고속네트워크에 직접 연결시켜 대용량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는 저장관리시스템의 기술과 표준화 및 시장동향 조사와 다중 시스템 저장장치의 통합과 저장장치의 가상화를 이루기 위한 구조와 구성장치 및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Abstract

With the rapidly evolving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 Internet, a network-based storage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that can efficiently save, search, modify, and manage digital contents which are increasing by geometric progression. Recently, the SAN became highlighted as a solution to such issues as the integrated data management for heterogeneous systems,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storage systems, and the limitation of data transfer. SAN allows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sharing of bulk data by directly connecting the storage systems, which used to be independently connected to servers, to the high-speed networks such as optical channels. In this study, I researched on the technologies, standardization and market trends of storage management systems, and performed comparative analyses of the structures, components, and performances for achieving the integration of diverse system storage systems as well as the virtualization of storage systems.

한종엽(한국해양연구원) pp.209-231
초록보기
초록

해양과학기술 R&D 결과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를 위해 국내외 관련 연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해양 R&D 연구보고서에서 해양조사자료까지를 범위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성과정보의 효율적인 정보검색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보고서의 메타데이터 기술요소 분석, 분류체계, 정보서비스 등과 함께 해양조사자료의 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의 사례로써 시스템 구성, 웹정보서비스 프로세스, 자료 입출력 프로세스, 검색 가시화 프로세스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Abstract

A literature analysis for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system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ceanographic R&D results, the first in Korea. The study targeted from scientific & technical report and to oceanographic survey data. The focus of the analysis lies in the providing practical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 for oceanographic R&D results based on the framework of effective Dublin Core metadata. The analyses included information system organization, web information service process, data input-output process, web visualization process, and retrieval for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oceanographic survey data and scientific & technical report.

김영기(부산대학교) ; 이원희(부산대학교) ; 권혁철(부산대학교) pp.233-253
초록보기
초록

인간은 지식의 조직을 통해 세계를 이해한다. 정보검색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정보의 조직화에는 분류와 클러스터링이라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분류는 미리 정의된 범주에 각 항목을 배정하는 행위인 반면, 클러스터링은 유사하거나 관련된 항목을 집단화함으로써 정보를 조직한다. 인터넷 정보자원의 조직은 웹 문서에 출현하는 단어들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역파일을 작성함으로써 검색에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키워드의 출현 위치나 단어빈도를 통한 문서유사도 기법은 사용된 언어가 다르거나 대부분이 앵커텍스트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문페이지처럼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계량정보학적 분석 기법 중에서 동시인용 기법을 웹 문서의 하이퍼링크에 적용하여, 웹 문서의 클러스터링 가능성을 실험한다.

Abstract

Knowledge organization is the way we humans understand the world. There are two type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mechanisms studied in information retrieval: namely classification md clustering. Classification organizes entities by pigeonholing them into predefined categories, whereas clustering organizes information by grouping similar or related entities together. The system of the Internet information resources extracts a keyword from the words which appear in the web document and draws up a reverse file. Term clustering based on grouping related terms, however, did not prove overly successful and was mostly abandoned in cases of documents used different languages each other or door-way-pages composed of only an anchor text. This study examines infometric analysis and clustering possibility of web documents based on co-link topology of web pages.

오동근(계명대학교) pp.255-27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DDC의 종교류(200)를 일관성 있게 전개하기 위한 새로운 보조표를 고안하기 위해, 291.1-291.9에 전개되어 있는 기존의 종교공통구분의 문제점과 DDC의 각 종교간의 세분전개상의 비통일성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고, 기존의 다른 분류표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되거나 제안된 종교공통구분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DDC를 위한 새로운 종교공통구분을 제안하였다.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에 이 종교공통구분을 통일적으로 일관성 있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DDC 기독교류의 재전개방안과 함께 이 종교공통구분의 사용방안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실례를 통한 검증과 분석을 통해 이 종교공통구분이 실제자료를 분류하는 데 있어 충분한 적응력을 가지며, 기존의 분류기호를 재전개하는 데도 무리 없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new table for religion of DDC. It analyzes the classes in 291.1-291.9 in DDC 21 and investigates the inconsistencies and other problems in the classes included in other religions in DDC 21. Comparing with each classes in various religions in DDC 21 and other tables suggested in other classificatory systems and former research, it recommends a new table of religion for DDC with the expansions and relocations of related classes including Christianity and examines its applicability to DDC using some examples.

정해성(대구가톨릭대학교) pp.273-296
초록보기
초록

미래의 분류체계가 모든 주제를 분류의 대상으로 할 때 열거식 분류체계는 조합식 분류체계로 변화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그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학류에 대한 새로운 분류체계를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제안된 분류체계는 기호의 조합방법이 간단하며, 패싯에 따라 기호를 다르게 표현하기 때문에 패싯의 의미는 분명하지만 혼합기호를 사용하여 분류기호가 복잡하다.

Abstract

Because all the subjects may become the targets of classific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numerated into the faceted scheme.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possibility of change and to proposed the new faceted structure scheme(faceted classific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The proposed schemes are : 1) facet structure is simple, 2) meaning of facet is clearness, 3) because using mixed notation, it is complicated.

김용근(대구가톨릭대학교) pp.297-315
초록보기
초록

국립 및 사립의 두 대학도서관협의회에서 발행하는 매체를 통하여 보고되는 현장 사서들의 연구논문과 이들 기관에서 주최하는 세미나 또는 워크숍에서 발표되는 문헌은 대학도서관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와 사서들의 관심사항을 가장 정확하게 제시하는 메시지라고 볼 수 있다. 이 문헌들의 내용을 분석하여 대학도서관은 어떤 부문의 업무에 얼마나 많은 관심과 문제를 가지고 있는가를 주제영역별로 알아보는 것이다.

Abstract

The papers written by university librarians in the publications of university library association and the presentations at the seminars and workshops organized by the university library association will reveal the real problems and interests of the university libraries. This paper intends to find out in that areas the university libraries have most interests and problems md how serious they ar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papers and presentations.

이경호(대구대학교) ; 김상진(대구대학교) pp.317-34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이다. 정체성 확립의 방안으로 문헌정보학의 기업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문헌정보학의 정체성이 훼손되고 있는 사례를 조사하고, 정체성 훼손의 사례가 왜 발생하고 있으며, 이것이 문헌정보학의 기업환경 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또한 문헌정보학의 기업환경 조성으로 사서의 전문성과 일자리 창출 등 정체성 확립의 가능성에 대해 진단한다.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ntity establish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t suggests, as a way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the necessity of promoting of business environm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s Korean cases that have damaged the identity, and analyzes why such damage has been done and how it affects the fostering of business environm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It also diagnoses the possibility of identity establishment such as, for example, professionalism of the librarian and creation of jobs through the fostering of business environm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