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독서를 생활화하는 것이다. 독서의 생활화는 독서습관을 형성하여 독서가 일상생활의 일부분으로 정착되는 것을 발한다. 독서가 생활의 일부분으로 정착된다는 것은 모든 행위가 하루아침에 단 한번의 시도로 습관화될 수 없는 것과 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니다. 독서 생활화는 모든 학습과 마찬가지로 독서에 대한 즐거움과 흥미, 동기부여, 연습과 강화, 충분한 보상등이 주어져야 독서생활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독서의 특성을 살펴 본 다음에 학교교육에서 독서교육이 성공을 거두기 위한 여러 가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final purpose of reading education is to have the students get habitation of reading.'Habitation of Reading' means that students acquire a habit of reading and the habit has formed as a part of their daily lives. A habit of reading can not be formed as a part of life by only one day's reading as all kinds of actions can not be formed as habits by only one try. We can expect that students will acquire 'habitation of reading' only when they have Joy and interests in reading, motivation to read, practice and reinforcement of reading and satisfactory reward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were investigated and some ways to encourage successful reading education in schools w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우선 우리나라 정신보건의 현실을 살펴본다. 이어서 그것의 배경이 되는 마음의 상처와 장애문제를 논의한다. 그 다음은 이와같은 현실과 문제에 대한 하나의 대처방안으로서 독서치료에 대해 알아본다. 끝으로 독서치료를 매개로 한 공공도서관의 개입과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writers, from librarians' standpoint, look at community mental health issues, including emotional wounds and disorders. They then look into bibliotherapy as a remedial device. They conclude by offering some suggestions as to bibliotherapeutic practices as applied in public library operation.
도서관은 오랫동안 분류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정리하여 왔다. 그 궁극적 목적은 자료의 체계적 배가와 접근(브라우징)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데 있으며, 동일한 자료가 동일한 분류번호에 배정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십진분류법을 표준도구로 사용하고 있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경우, 소위 분류오류가 적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그 원인이 무엇이며 어느 정도로 심각한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류오류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 즉 분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학부의 분류교육의 충실화, 사서직 실무교육의 강화. CIP 제도의 정착과 내실화, 분류표의 체계성 및 하위항목의 개선, 재분류(분류수정)팀의 구성과 가동, 분류사이트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Libraries have long experience of applying classification schemes to resources - chiefly books. The ultimate goals of classification are systematic shelving of books and ease of user's acces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books about a particular field of knowledge should be shelved together and near each other. If not so, it is classification error.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refore, on analysing the classification error in Korea public libraries and suggesting some alternatives.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 제7차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학교도서관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시범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범 운영중인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도에 설치된 96개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초.중등학교의 도서관정보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마련하고자 한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propelling the establishment's project of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under recognizing school library is essential facility that it is to educate students to become autonomous and creative person, to embodies a 7th curriculum in the knowledge base society. There is a necessity which it will analyze demonstrative operating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for maximize to educational effect and to establish efficiently. Thus, this study is prepares a foundation of school library informationization as analyzes an operational status and an educational effect with 96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which are established in tool year.
최근 전자도서관 구축과 관련된 주요 이슈는 상호운용이 가능한 개방형 전자도서관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한 여러 가지 개념, 기반기술, 프로토콜 둥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이슈의 핵심 논점을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메타데이터(metadata interoperability)'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5가지의 핵심 요소기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 응용 프로파일, 모델링, 구현, 자원탐색, 포탈 서비스. 본 논문은 이 5가지 핵심 요소기술에 대한 개념, 특성, 사례, 표준화 및 기술적 동향 등을 심도있게 분석하였다.
One of the main issues in developing a digital library is how to implement an open digital library which can be interoperable, and diverse concepts, technology and protocols have been introduced to deal with this issue. In this study, it is analysed in terms of 'metadata interoperability', and based on the analysis, 5 basic component technologies are defined as follows: application profiles, modeling, implementation, resource discovery, portal service. Therefore it explains concepts of those core features, characteristics, cases in point, standardization and technical trends.
도서관은 다양하고 이질적인 고객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체제가 필요한 시점이다 시장세분화를 통하여 고객요구와 이용행태를 파악하고, 목표시장을 선정하여 그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 수립이 효율적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 마케팅의 필요성과 인터넷 마케팅의 도입과 활용방안을 고찰하고, 시장세분화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These days, libraries are faced with necessity f3r the systems to solve various and heterogeneous customers' needs. It is efficient through market segmentation to understand customers' needs and the use behaviors, to select the target markets, and to establish the proper marketing strategy for them. This study examines the necessity for library marketing, the importation for Internet marketing and the plans for the application, and suggests for plans of strategy for market segmentation In libraries.
북미, 중국, 일본 및 한국의 의학사서 교육제도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선행 연구의 내용을 문헌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시행가능한 의학사서를 위한 교육 모델을 고안하였다. 교육모델은 의학사서의 정규양성과정, 의학사서의 계속 교육과 의학사서 자격프로그램을 포함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few approaches to education for medical librarianship - those of North America,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apan and Korea and the various opinions i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education fe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it suggests the educational system for medical librarianship practicable in Korea, including formal degree programs, continuing education and medical librarian certificate program.
본 논문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학교도서관활성화에 있어서 일반교사들의 역할과 중요성에 관하여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간단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본 논문의 중심내용으로 대구광역시 중등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도서관의 실태와 함께 도서관의 기능, 운영의 문제점, 개선방안 등에 관한 그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학교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사서교사가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현 체제하에서는 도서관담당교사의 업무경감, 도서관 연수교육 강화, 교내 도서관 지원부서 설치. 교육청의 강력한 학교도서관 지원정책과 전담부서 설치 등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clarifi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in activating the school library. In the second pan, the major of this paper, the state of the art of school libraries a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managing school libraries without librarian certificate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as planed to survey the functions, the management problems, and the improvement of school library. The followings were analyzed in more detail ;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y teacher,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ibrary, the recognition on school library of teachers and principals, the promotion plans fer library use, and the solution for management problems.
본 연구는 지금까지 만화자료를 도외시한 우리나라 도서관들이 만화의 진정한 모습을 바르게 인식하여 도서관에 좋은 만화집서를 구축. 이를 이용시키도록 권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자료로서의 만화의 의미, 특징, 만화의 예술적 가치, 만화에 대한 사회에서의 대접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만화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도서관이 수용해야 하는 문화산물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에 필자는 도서관들이 만화를 정중하게 다루어 좋은 만화집서를 구축, 이를 이용시켜서 독자들이 취할 수 있는 유익함을 취하도록 길을 열어 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understanding among librarians of the importance of caricatures, cartoons and comics in the library collection. To do so, the writ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meaning, artistic value, and benefits of this realm. The writer also examines traditional as well as changing attitudes of the public toward caricatures cartoons and comics. As this study progresses. it will prove that caricatures. cartoons and comics are very important cultural products of our time, to which all libraries should pay more attention. Thus the writer urges that the library should make a good collection in this are and make it available to the public.
This study is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Nam-Chungjanggong-sigo(남충장공시고), a wooden block printed book. On the view of physical bibliography, a table of contents on the Nam-Chungjanggong-sigo is compiled by a preface, a Chungjanggong's poetical works, an extra appendixes and an epilogue; and its wooden printing block has made of 52 plates. On the row of textual bibliography, text of Chungjanggong's poetical works is revised second times, such as each title or text, also title and text; and shorten for verses. And some of verses are prepared for revised the same case of compilation, but omitted in the process of last compilation.
이 연구에서는 Shakespeare에 관련된 문헌의 분류에 있어서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당주제의 확장전개를 위해 DDC, LCC, CC 등의 주요분류표와 관련분야의 전개표 등을 참고하여, 새로운 분석합성 식 분류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전개방식은 기본적으로 Shakespeare라는 주제아래에서 4개의 패싯을 “일반적 특성(generalities) + 문학형식(form) + 개별작품(works) + 언어(language)”순으로 전개하도록 하고, 각 패싯에 대해 별도의 구체적인 배열구조(away)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neral problems in classifying materials by and related to Shakespeare in the university libraries and suggests a new analytico-synthetic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related classes on the major classification systems including DDC, LCC, CC, etc. and other studies and hompages In the area or Shakespeare study. New system consists of four facets, and Its facet formula is “generalities + form + works + language,” each of which includes Its own foci.
이 연구는 농학분야의 정보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문헌분류표의 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농학분야의 학문적 정의와 범위, 체계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KDC, DDC, UDC, NDC 등의 문헌분류법에서 농학분야 주제를 전개하고 있는 강목표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NAL의 AGRICOLA SCC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농학분야의 새로운 문헌분류표의 강목을 설정하여 전개하였다. 새로운 강목분류표의 전개는 농업과 관련한 인문사회학, 식물관련 농업, 동물관련 농업, 인간과의 관계성, 농업관련 보조분야 순으로 전개하였고, 강목표는 23개의 항목으로 설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classification scheme to arrange the agricultural information efficiently. In the first part it defines the agricultural science and studies the content and system of the agricultural science. It compares current KDC with DDC, UDC and NDC used to agriculture parts, and it studies AGRICOLA SCC. On the basis of it, this study is displayed the new classification for the agricultural science. The new classification scheme Is classified by the basic theories related to agriculture, agriculture of plants, animal agriculture, food products, and auxiliary disciplines in turn. The number of main divisions are set up 23 items.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매체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어린이들에게 독서는 어떤 의미이며, 그들의 특성과 독서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고 나아가 독서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행해져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일고있는 어린이 독서운동의 국내외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우리나라의 어린이 독서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어린이와 책을 연결해주는 매개자로서의 소임을 다해야 하며, 공동체 문화의 형성과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한 방법으로 공공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세대를 이어주는 이야기문화를 부활시켜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열악한 어린이 독서환경 개선을 위해서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어린이도서관'을 설치하는 데 힘써야 하며. 학계와 도서관협회 및 도서관 현장에서는 어린이 독서운동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끌어갈 주체인 어린이 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해 교육적,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 한다.
This paper is to emphasize on important of reading books and leading instruction at the age of multi-media. And this paper observes the promotion of reading books fer children in all the world. Especially the role of public library is important for the promotion of reading books fur children. According]y this paper present plans for the promotion of reading books for children successfully. The role of public library is a mediator for book and children. We have to restore storytelling culture for forming cooperative culture and healing heart pain in the public library. And We have to found a children's library around the children's life, especially in the local government. We have to train children's librarian Immediately In educational institution. We have to enhance the specialization of children's room librarian in the public library.
본 연구는 KDC 4판, DDC 21판, LCC 3판의 종교류의 강목, 종교공통구분, 표준구분 및 기독교에 관한 전개항목을 KDC 4판의 요목 순에 의하여 비교 고찰하였다. 따라서 기독교 분야는 \circled1 기독교신학, 교의학(조직신학), \circled2 예수 그리스도, \circled3 성서, \circled4 신앙록, 명상록, 신앙생활, \circled5 전도, 교육, 교화활동, 목회학, \circled6 교회론, \circled7 예배, 전례, 성례, \circled8 교파에 관한 전개항목을 학문연구과정, 세 분류표의 전개항목 및 특성 둥을 비교 고찰하여 보다 나은 기독교 분야의 분류표 작성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한 것이다.
This comparative study is on divisions of religion, subdivisions of religion, standard subdivisions, and divisions of Christianity in the KDC 4th ed., DDC 21h ed., & LCC 3th ed. It selects the subjects as \circled1 Christianity theology, \circled2 Jesus Christ, \circled3 The Bible, \circled4 Devotional literature & life, \circled5 Evangelism, education; pastoral theology, \circled6 Ecclesiastical theology, \circled7 Worship, sacrament, \circled8 Denominations which are the divisions of Christianity in KDC 4th ed. It wants to be devoted fer the development of the schedules for Christianity.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공공도서관의 건립 및 운영과 관련한 타당성 분석의 일환으로 대구광역시 북구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그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비용-편익분석과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지역의 공공도서관 건립 및 운영의 예상결과는 충분한 경제적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construction of a new public library based on the case of a plan in Buk-ku, Daegu Metropolitan City. It includes cost-benefit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struction of a new public library in this area would be feasible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이 연구는 한국 대학도서관의 서비스를 향상하고 조직문화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대학도서관 조직개발 전략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적 연구를 통하여 조직개발 이론과 대학도서관 조직 관련 연구들을 간략히 살펴보고, 대학도서관에서의 조직개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조직개발 전략으로 팀제의 안착, 지식경영과 학습조직문화의 개발, 전략적 계획의 수립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what kinds of strategies are appropriate for the academic libraries to upgrade their services and vitalize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The sources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eory and the organization of the academic libraries are gathered and examined for this study. And this study suggests the realization of team system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management and teaming organization culture,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c plan as the strategies for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of the academic libraries in Korea.
본 연구는 학문으로서의 특성과 가치에 대하여, 정보의 이용자와 관련된 측면에서 정보서비스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정보학은 정보자체의 속성을 연구하고 그것이 최종이용자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가, 그리고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와 같은 기관의 정보 환경 안에서 어떻게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개발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론적인 연구가 실제적인 정보서비스와 정보시스템 개발에 반영된 결과를 다음 5개 주요영역에서 살펴보았다: (1) 정보요구와 정보이용 (2) 정보저장과 검색 (3) 정보의 특성과 가치 (4) 계량서지학과 인용분석 (5) 관리와 경영.
This study has been examined in information service in related aspect of its user. Also this subject is researching of information itself attribution and relationship with end user And, in information faciliti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it has been studied how to develope satisfaction service for user, along with fur causing both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this object it has been also reviewed theoretically through out 5 fields as below; 1) information need and using 2)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3) information property and value 4) bibliometrics and citation analysis 5)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이 연구는 인터넷 환경 하에서 대학도서관 참고사서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해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참고사서의 역할이 바뀌어야 될 여러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역할모델 설정의 당위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역할모델 설정의 전제로서 미래 대학도서관의 모습을 가상도서관체제와 학습자원센터의 두 가지 형태로 가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설정한 참고사서의 역할모델은 다음과 같이 일곱 가지이다. 1) 내용분석가, 2) 컨텐츠관리자, 3) 학습자원제공자. 4) 정보중재자, 5) 원격교육운영자, 6) 교육전문가, 7) 참고정보원 개발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o the reference librarians In the university that how they should perform their roles under the internet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first,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the roles of the reference librarians should be changed are examined. Second, such two aspects of the future university library as virtual library and learning resource center are Presupposed. The seven role models for reference librarians based on these are as follows. 1) Contents Analyst, 2) Contents Manager, 3) Learning Resource Supplier, 4) Information Mediators, 5) Virtual Lecture Manager, 6) Instructor for Information Literacy, 7) Reference Resource Developer.
정보화 시대에 공공도서관이 필수불가결한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보의 생산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경쟁력 회복과 정보격차의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복지의 핵심기관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공공도서관은 그 수가 절대 부족하고, 장서도 부족하며, 인력활용이 비효율적이고, 제공하는 서비스도 영세하며, 도서관의 건축구조도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이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기업, 시민이 협력하여 공공도서관의 건립운동을 전개하여 절대수를 늘리며, 장서구입비도 대폭 확충하고,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도 개발하며, 사서는 이용자와 자료의 중개자로서의 전문적인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하며, 도서관은 도서관의 이념을 구현할 수 있도록 건축되어야 한다.
The author explored the survival and prosperity strategies for Korean public libraries in the age of information technology. She reviewed that public libraries can perform these strategies or not. On the basis of the review, she identified 5 problems of public libraries : shortage of libraries and collections, staff inefficiency, inadequate services, inefficient design of library facilities. And then she proposed solutions to improve the present state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campaigning for constructing libraries, increasing the materials budget, turning nonprofessional work to professional work of staff, and constructing libraries for safety and preservation.
이용자들이 도서관의 전산화된 정보시스템을 사용하거나 관련 업무종사자들이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채택·운영하는 데 있어 최상의 선택을 내리는 데는 어떤 특정 이용자그룹에 대한 특성과 이용 능력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일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외 대학도서관에서 사용되는 도서관 전산화시스템 중 특히 중요한 온라인열람목록의 이용자들에게 실제 검색을 (저자명, 서명, 주제명 탐색) 실시한 후, 이들의 검색 능력을 측정·평가하여 다양하게 분류된 특정 학생이용자집단의 능력을 발견하여 도서관 행정업무 등에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설문조사는 대구경북지역의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207개의 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였다. 여러 종류의 기술적, 추리적, 다변량적 통계방법을 동원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통한 주요발견 사항은 본 논문의 4장과 5장 부분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 발견사항으로부터 도출된 결론, 새로운 시스템 채용 운용시의 제언이 함께 제시되어 있다.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als have to grasp user's needs and make the best decisions when designing, acquiring, and managing library information systems. However, it is not easy for them to make the decision owing to the lack of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user group in computer-based information systems in librar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of specific user groups such as male & female student groups, undergraduate & graduate ones, Sciences and Humanities majored ones etc. The actual OPAC systems were searched by specific student user groups in selected academic libraries in both Republic of Korea and the States for the purpose(Author, Title, and Subject search). Ouestionnaire was prepared and administered to Korean college students in the city of Taegu, Korea and adjacent area. Two hundred and seven us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These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inferential statistics, and SPSS software. The major findings by data analysi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chapters 4 and 5 of this paper in detail. Also,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findings in this paper, and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when designing, adopting, or managing a new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