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이제환(부산대학교) pp.5-29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5
초록보기
초록

이 글의 목적은 2009년 현재 한국 도서관계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사서 주도의 독서치료 활동이 한국 도서관의 새로운 서비스로 자리매김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논의의 중점은 역사적 관점에서 이론적 뿌리를 찾아가는데 두었으며, 이 과정에서 독서치료에 비해 보편적이지만 도서관적 전통과 이론적 기반은 훨씬 튼튼한 독자상담 영역과 비교하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더불어, 한국 도서관계의 상황을 한국보다 앞서 독서치료를 시행해온 미국 도서관계의 상황에 비교하면서 한국 도서관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독서치료 활동의 특이성과 고유성을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적 현상’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발전을 위한 과제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Abstract

This article intends to discuss about the strategies and methods that the Korean library community should follow to make the ongoing experiment of ‘bibliotherapy program' be successful, and eventually, settle up as a regular library service program. The main focus of discussion was on figuring out both theoretical foundations and historical roots that can justify such an experiment in Korean libraries. To the end, a comparative analysis to Readers' Advisory Services was conducted, and also done for comparing the special features in Korean libraries with those of American libraries, especially as related to library services to readers. The final suggestion includes the tasks that Korean LIS scholars should undertake to make the ongoing bibliotherapy experiment become an indigenous Korean model for library services.

남영준(중앙대학교) ; 최성은(중앙대학교) ; 김규환(중앙대학교) pp.31-60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3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리모델링 사례연구로서 학교도서관 리모델링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리모델링을 완료한 학교도서관을 선정하여 리모델링 추진 과정을 조사하였고 리모델링 이후 실제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학교도서관의 리모델링을 통해 학교도서관 기능과 역할인 정보서비스와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도서관의 경우 여전히 도서관 내․외부의 미적 환경과 공간구성의 개선뿐만 아니라 자료 및 기자재의 확충이 우선적인 이용자 요구사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ropriety of remodeling and present improvement as a case study of a school library. For this, we analyzed investigation of the process of it by selecting a school library which has been completed recently and surveyed user satisfaction after remodeling.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is shows that the user satisfaction of information service and education activity that are library's function and role are efficiently increased by remodeling. In case of the school library, on the other hand, it shows that the users still need not only the improvement of the space structure and aesthetic environment of the exterior and interior but also the expansion of the stuff and facility.

최상희(대구가톨릭대학교) pp.61-80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61
초록보기
초록

독서지원서비스(readers' advisory)는 공공 도서관에서 점차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중요한 서비스 영역이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이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독서지원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여 주요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독서지원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 각 지역에 있는 공공도서관 200개의 홈페이지를 분석한 결과 9개의 독서지원 서비스 영역이 도출되었으며 미국 공공도서관이 이용자와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며 이용자 중심적인 서비스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 공공도서관에서도 주목해야만 할 동향이며 이 연구에서 분석된 독서지원 서비스 9개의 영역은 향후 국내 공공도서관 독서지원서비스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Readers' advisory service has become more important for public libraries as one of the critical service areas in terms of supporting libraries patrons' reading. This study aims to discover major types of readers' advisory services provided through public libraries' web sites. Contents of 200 public libraries' home pages in U. S. were analyzed and nine areas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readers' advisory areas. This study also proves that American public libraries are diversly communicating with their patrons and providing user-oriented advisory services. The identified key factors of readers' advisory services will help for Korean public libraries to develope their own services.

서진원(전북대학교) pp.81-92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81
초록보기
초록

학교교육에서 구성주의는 학습자에게 지식이 전달 될 때 학습자의 경험과 능력이 전달된 지식에 응용되어 새로운 주관적 지식이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객관적 지식의 존재는 부정된다. 인지적 구성주의는 개인의 인지적 능력에 의한 주관적 지식의 구성을 말하며, 사회적 구성주의는 학교사회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지식의 구성을 말한다. 즉 전자는 지식구성의 주체가 개인이며, 후자는 사회이다. 구조주의는 지식정보자료의 text에서 기존지식의 구조를 분석 파악한다. 구조주의는 text에서 지식을 전제하며 객관적 구조(지식)을 분석 파악하는 것으로 구성주의의 주관적 지식의 응용과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후기구조주의에서는 text를 완결된 것이 아닌 열린 체계로 보고 지식의 구조를 파악하기 때문에 구성주의와 상통하게 된다. 교육을 지식의 기억(이해)과 지식의 응용이라고 할 때 구성주의는 지식의 응용에 해당하고 구조주의는 지식의 기억(이해)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구조주의와 구성주의의 특성을 비교하고 학교도서관의 역할이 구성주의 교육방법에 필수적임을 규명하였다.

Abstract

I studied in this paper on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constructivism and the structuralism as the educational methods. On the constructivism in educational methods they say that knowledge is constructed subjectively by person individually(cognitive constructivism) or by persons reciprocally in the society(social constructivism). On the structuralism in educational methods they say that knowledge(structure) is in the closed-end text objectively and person pursue and identify this objective knowledge in the closed-end text. But on the post-structuralism(neostructuralism) they say that the text is not closed-ended but open-ended. So constructivism is consistent with post-structuralism. Education include application of knowledge and awareness of knowledge on my opinion. Education on application of knowledge is more important in this knowledge based society. Constructivism connote the application of knowledge in the education.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nd media specialist(teather-librarian) are essential elements of this application of knowledge in the education.

박지혜(국민대학교) ; 최희준(홍익대학교) pp.93-111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9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2009년에 개발되어 현재 선도학교를 통해 활용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사서교사 평가지표 및 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평가지표 및 문항의 중요도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이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각 문항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평가지표 및 문항에서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현재의 평가문항에 다양한 독서교육활동 실시여부에 대한 항목 추가, 자료조직 및 관리 관련 평가문항 수정의 필요성, 학생지도 평가영역 명칭에 대한 제고 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활용되고 있는 사서교사 평가지표와 문항이 대체로 타당하기는 하지만 일부분에서 수정․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equency of their roles inherent in the indicators and items for teacher evaluation and to determine their appropriate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indicators and items are appropriate for evaluating teacher librarians' job performance, but some items need to be revised to properly reflect teacher librarians' job tasks.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their improvement were discussed.

이용재(부산대학교) ; 이수상(부산대학교) ; 조용완(대구가톨릭대학교) ; 장임숙(부산대학교) pp.113-137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11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거주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실태를 파악하고 그들의 정보리터러시를 증진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부산과 경남지역의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수준은 기초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었고, 특히 정보이용, 정보생산, 정보윤리, 정보통신기술 등의 분야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 정보활용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효과적인 방안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ormation literacy of immigrants in Korea and to suggest some ways to improve their information literacy. In conducting this study, a survey was given to 415 migrant workers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rea. The survey shows that the information literacy of immigrants in Korea is on basic level and the fields of information use, information production, information ethic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on relatively low level. To reinforce the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of immigrants, some effective ways need to be developed in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programs and Korean language programs.

이수상(부산대학교) ; 위성광(부산대학교) pp.139-158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139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검색로그 데이터의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해 검색자들의 검색행위에 나타난 다양한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검색자들은 검색어의 유사성에 따라 네트워크라는 연결구조를 나타내었다. 둘째, 특정한 검색자 네트워크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검색자들이 존재하였다. 셋째, 중심 검색자들은 다른 검색자들과 검색 키워드를 공유하고 있었다. 넷째, 전체 검색자들은 다수의 하위 집단으로 군집되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네트워크 분석 방법에 의한 연관된 검색자와 검색어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This paper used the network analysis method to analyse a variety of attributes of searcher's search behaviors which was appeared on search access log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of network represented depending on the similarity of the query that user had inputed. Second, we can find out the particular searchers who occupied in the central position in the network. Third, it showed that some query were shared with ego-searcher and alter searchers. Fourth, the total number of searchers can be divided into some sub-groups through the clustering analysis. The study reveals a new recommendation algorithm of associated searchers and search query through the social network analysis, and it will be capable of utilization.

정영미(동의대학교) pp.159-176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엘리먼트 기반의 구조화된 XML 검색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이용자의 정보 탐색 행태를 조사하여 XML 검색에 대한 이용자 기반의 효과적인 접근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 절차 및 방법은 INEX 2006의 iTrack(Interactive Track)을 따랐고 실험을 위해 인문계열과 이공계열의 대학생 총 16명이 참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는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전과 실험후의 서베이와 검색전과 검색후의 서베이를 통해 수집되었고 검색 수행의 전 과정은 시스템 로그로 자동 저장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Excel과 SPSS 1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rs' behaviour when interacting with elements based on XML documents retrieval system and develop approaches for XML retrieval which are effective in user-based environment. We followed the experimental guidelines from the INEX 2006 iTrack organizers. For the research goals, 16 responses from the questionnaires per subject and system log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Excel and SPSS 17.0.

이경민(숭의여자대학) pp.177-198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177
초록보기
초록

국내 도서관은 정보화 시대에 적응하기 위하여 이용자에게 컴퓨터 사용환경을 일찍부터 제공하였다. 하지만 오늘날은 컴퓨터 사용환경이 일반화되어 전자정보실에 대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문헌정보학과 학생 78명으로 하여금 직접 전자정보실을 이용해 보게 하여 이용에 편리한 점과 불편했던 점을 기술하게 하였다. 이용사례 결과를 분석하여 전자정보실의 바람직한 변화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서비스에서 불만이 가장 많았고, 그 이외에 시설과 장비 그리고 공간 순으로 많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도서관에서 전자정보실의 기능을 명확히 하는 미션과 서비스 방향을 정확히 제시하여야 하고, 사서는 전자정보실이 디지털 자료와 아날로그 자료 그리고 정보통신 기술지원이 동시에 제공되는 현대화된 레퍼런스 룸으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domestic libraries offered users computer environment early to adapt in information age. However, the computer environment is generalized today, so it is needed to change about the role of electronic information room in this point. The author investigated use experience by 78 students who are stud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y experienced electronic information room and wrote their experience. As a result, they felt most inconvenience in information service of librarians,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space. To improve the service of electronic information room, it is needed to develop the mission and service policy of electronic information room. And also the librarian must think the room as modern reference room that has digital and analog materials and information technology.

박미성(경북대학교) pp.199-225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1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XML 검색 추진체인 INEX의 실험트랙 중에서 Book Search 트랙의 실험을 소개하고 실험방법을 분석함으로 XML기반의 디지털화된 도서 검색에 대한 관심과 더 많은 연구를 이끌어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INEX 실험트랙, 실험트랙 참여방법, 절차 및 참여기관을 상세히 소개한다. 둘째, INEX의 다양한 실험트랙 중, 디지털화된 도서검색을 위한 Book Search 트랙을 소개하기 위해, 이 트랙의 테스트컬렉션과 실험태스크, 실험결과 제출방법 및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셋째, 2007년에 시작된 INEX Book Search 트랙의 연구 논문들을 분석해봄으로 향후 연구과제들을 밝혀본다. 본 연구가 INEX 실험트랙에 대한 관심과 디지털화된 도서검색에 대한 관심을 국내에서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ow more interest and to forster research in full-texts retrieval of digitized books area through the review of Book Search Track and the analysis of research methods. First, this paper introduces the INEX tracks, the registration of INEX, the task process and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Second, to introduce the Book Search Track of all INEX track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test collection, the tasks, the task and submission guidelines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 Book Search Track's. Third, through paper review of the Book Search track that was lunched in 2007 as part of the INEX initiative, this paper presents the future research subject. This study expects that the readers are attracted by INEX tracks and full-texts retrieval of digitized books in korea.

최흥식(전주대학교) ; 서진순(전주완주군도서관) pp.227-242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2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고유의 정체성에 부합하고 이를 활성화하는 방안으로 자료를 기반으로 한 교육문화프로그램을 모색해 보자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의 이론적 내용을 살펴보고, 전라북도 지자체하에서 운영하는 공공도서관과 평생학습운영기관의 교육문화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여 공공도서관 본래의 특성을 살린 교육문화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주시립도서관산하의 5개관을 비롯한 각 시단위의 공공도서관 10개관과 각 시의 지자체 직영의 평생학습센터, 문화의집, 주민자치센터, 여성회관, 여성문화회관, 여성문화센터 등의 명칭으로 운영하는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work out a data-based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 that can best identify the original role of library in a measure to activate it. To achieve this goal and introduce an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 that would faithfully meet the desired characters of library, a research was made to examine the theoretical aspects of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compare and analyze those conducted at the public libraries and life-long educational centers of the local autonomous bodies in Jeonbuk Province. Included in the research as subjects were 10 public libraries in the cities of the province including 5 branches of JeonJu Municipal Library and various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operated directly by each municipal self-governing body under such title names as life-long educational centers, cultural houses, residential autonomy centers, women's halls, women's culture halls and women culture centers.

조병주(아주대학교) ; 최정희(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동근(계명대학교) pp.243-259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24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경력개발의 핵심주제로 개인강점이론을 소개하면서 강점의 구성요인, 강점의 개성화, 그리고 취업력을 논한다. 개인강점은 취업력에 관건자원이며 단기적 취업과 장기적 경력개발의 핵심적 능력이다. 취업력은 한 개인의 능력상의 강점과 개성에 대한 체계적으로 조직된 정보로서 개인의 직업적 문제해결을 위한 능력의 결정체이며, 이를 적극적으로 인식할 때, 지식기반사회의 전략적 자원이 된다. 이 연구는 취업력을 한 개인이 검증된 자기의 강점으로 일 기회를 찾거나 창조하여 스스로를 고용시키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경력개발과 취업은 취업력 개념을 통해서 가능할 것인데, 사서를 포함한 대학의 모든 학생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 취업력 제고의 과정이 대부분 개인에 내재적 자료와 외부 상황적 자료를 정보화, 지식화하는 것이므로 문헌정보학, 특히 개인정보경영(PIM)과 개인지식경영(PKM)의 측면의, 기여와 지원이 기대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s strengths theory, a core subject of career development and job-getting, and discusses about the factors of strengths(namely talents, knowledge and skills), the processes of strengths personalization, and generating employability. It searches for opportunities to apply the concept of employability to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w thrown under hard pressure from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mployability is defined here as competence to make oneself employable as needed by discovering or creating work opportunities using one's own tested personalized strengths. Employability is a package of systematically organized information about the essential abilities and productive personalities of a person, and it is essential to be duly cognitive of one's employability if one seriously intends to succeed in jobs and career. Since generation of employability heavily involves complex processes of information and knowledge-making, expertise from LIS, particularly from areas of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PIM) and personal knowledge management(PKM), is expected to help for process facilitation.

노영희(건국대학교) pp.261-286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261
초록보기
초록

경력개발이나 경력이동에 관한 연구가 최근 들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사서직계에서만은 경력개발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의 한 분야로 공공도서관 관장의 경력이동 및 개발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현직 공공도서관 관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공공도서관 관장의 경력개발부분에서는 입직시 연령, 경력출발유형, 최초로 관장이 된 시기, 경력이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직장이동경로 및 경력단계별 근무년수, 관장이 되기까지 바꾼 부서의 횟수, 교육훈련의 기회 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응답자가 도서관 관장이 되기까지 어떠한 노력을 하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설문에 응한 현직 관장은 도서관 관장이 되기 위해 45.1%가 지식과 능력개발을 위하여 노력하였다고 응답하였고, 23.6%가 정직과 성실성 향상 등 인성관련 노력을 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도서관에 대한 적성과 자기관리 노력을 하였다는 응답자도 12.8%나 되었다. 공공도서관 관장의 경력개발 과정 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 관장이 되기 위한 경력개발과정을 발견하고 이상적인 경력개발 경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Despite much recent researches on career development or career movement, research on domestic librarians' career development are rarely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areer movement of directors of public libraries as one aspect of research for librarian workforce. This study surveyed directors of public libraries and analyzed the following points; age of first job, initial type of career, age when they became the director, Factors affecting career move, career paths, working years by career steps, the number of changing department before director, training opportunities for manager, and so on. This study also analyzed what kinds of efforts they exerted to become a director. The result showed 45.1% of respondents made an effort to increase knowledge and skills, 23.6% undertook an effort to improve their honesty and gain their integrity, 12.8% underwent an effort to increase competence and self-management efforts in about the library. Through analyzing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public library directors, we can find the ideal path for career development to become a director of public libraries.

배창섭(마포구립 서강도서관) ; 김영석(명지대학교) pp.287-309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287
초록보기
초록

21세기 다원화된 사회에서 도서관의 발전을 위해서는 도서관인 스스로가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 발전을 위해 많은 도서관인들이 함께 참여 할 수 있는 영역으로 도서관 관련 위원회 활동을 제안한다. 도서관전문가들이 도서관 관련 위원회에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다른 위원들을 대상으로 도서관과 사서 배치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이해시키고 도서관 정책제언을 한다면, 이러한 활동이 개별 도서관과 더 나아가 국가 전체의 도서관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도서관전문가들의 공공 및 대학도서관 운영위원회 그리고 학교도서관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운영위원회 활동을 통한 도서관 발전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Abstract

Library professionals should do their best themselves to develop libraries in the diversified society of 21st century. This study suggests library professionals' participation on library related committees and advocacy to develop libraries. If library professionals participating on library related committees bring understanding of other committee members to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libraries and librarians, this effort results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library and the all libraries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how to develop libraries by the library professionals' participation on the committees of public and academic libraries and school committees and advocacy.

안영희(백석대학교 학술정보관) ; 박옥화(충남대학교) pp.311-326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3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정보자원의 발전에 따른 보존, 아카이빙, 디지털 큐레이션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 디지털 큐레이션의 국내․외 사례와 디지털 정보자원의 생명주기 정보처리를 기반으로 대학 도서관에서의 디지털 큐레이션의 역할 및 전략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생명주기를 기반으로 한 생산자, 큐레이터, 이용자의 디지털 큐레이션 관계 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기관 레포지터리인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자원에 대한 보존 및 큐레이션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 결과, 대학 간 협력체제와 자원공유에 기초가 되는 디지털 큐레이션 체제를 수립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 of the digital curation, archiving and preservation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and is to suggest the roles and strategies of the digital curation in university library based on the lifecycle information process of the digital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examples of the digital curation from domestic and aborad. I have designed a curation model and the preservation of the digital resources in university library by using creators, curators, and users who stand on the basis of the lifecycle. As a result, I have built up a system that is to be a basis to share resources and cooperation among universities.

구중억(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pp.327-351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3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8년 대학정보공시 대상 총 414개교 중 학교의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는 413개교를 대상으로 정보공개제도 및 대학정보공시제의 운영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대학도서관의 정보공개제도 활성화를 위하여 ‘대학도서관용’ 한국 도서관통계 항목과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지표를 자율적인 정보공개 표준으로 활용하고,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학정보공시제의 효율화를 위하여 도서관 지원 현황에 대한 공시항목 및 범위는 대학도서관 재정 확보와 개선도에 초점을 두고 공시될 수 있도록 장서보유 현황과 도서관 예산 현황에 대한 개선방안을 각각 제안하였다. 대학도서관은 대학과 사회적․정책적 관심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보공개제도와 대학정보공시제를 주요 수단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actual condition in operating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413 universities which had their own homepages out of the total 414 universities, which were the targets of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in 2008. To activat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f the academic library, how to use Korea Library Statistics Items and National Libraries Operation Assessment Index as the standard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how to use a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effectively were suggested. In addition, to make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efficient, the amendments about the status of books holdings and library budget were respectively suggested so that the items and contents of disclosure about the status of library support might be disclosed by focusing on the security of finan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academic library. In order to enhance the interest of universities and in society and policy, it is necessary for the academic library to make use of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as a major means.

강숙희(인천대학교) pp.353-379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353
초록보기
초록

「장애인차별금지법」이 2008년 4월부터 시행되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가 의무화되었으나 여전히 우리 나라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는 보편화되지 못하고 크게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2008년을 기준으로 조사된 각종 통계데이터와 관련 법률, 정책자료 등을 근거로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장애인 일반 현황, 장애인의 특성, 관련법 및 정책현황,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실태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Since April last year when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became effective in Korea, public libraries in Korea have been obligated to provide library service to the disabled. But most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do not and are not ready to service them. After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sabled people and investigating current state of services for them in the public libraries of Korea by analyzing related statistics and laws, suggestions for the enhance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 for disabled people in Korea were proposed.

노지현(부산대학교) pp.381-400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38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폭소노미에 대한 우리 도서관계의 보다 근원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그를 통해 우리 도서관의 실정에 보다 적합한 폭소노미에 대한 접근 및 수용 방법을 강구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관련 문헌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근거하여, (1)폭소노미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그에 내재된 철학적 의미를 도서관목록의 전통적 의미에 견주면서 살펴보고, 이어 (2)폭소노미를 바라보는 북미 문헌정보학계의 관점과 도서관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 더불어 (3)폭소노미의 적용 결과를 둘러싼 북미 도서관 현장에서의 유용성 논의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긍극적으로 (4)폭소노미의 수용에 앞서 우리 도서관계가 고민해야할 과제와 취해야 할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make a comprehensive inquiry into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Folksonomy, and to explore how to make full use of Folksonomy in library cataloging.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as follows : (1)how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Folksonomy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principles of library cataloging, (2)what the viewpoint of LIS scholars toward Folksonomy are, and how North American libraries have customized Folksonomy for their catalogs. In addition, (3)usefulness of Folksonomy in library catalogs is thoroughly discussed. Based on these, (4)the final discussion includes strategies for Korean LIS scholars and library practitioners to consider when applying Folksonomy to Korea library contexts.

김연례(전주교육대학교) pp.401-425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40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건축공학 분야의 학문체계와 KDC, DDC, LCC의 분류체계 및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분야분류표의 건축공학 분야의 분류체계에 대해 비교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KDC 건축공학 분야의 분류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KDC 제5판의 건축공학 분야는 학문발전의 추세를 반영하는 분류항목의 추가, 건축구조공학 분야의 등위류 분류용어의 적절한 전개, 세부 주제의 추가 전개, 적절한 분류용어의 선택, 분류기호, 영문표기의 오류, 분류항목의 상관색인 누락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methods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KDC architecture engineering field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cademic system of architecture engineering, classification system of KDC, DDC, and LCC, and that of the research field classification system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ve revealed that it is required to improve and correct the KDC 5th edition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including the addition of classification items that reflect the trend of academic development, proper development in the rank classification terms of architectural structure engineering, addition of detailed subjects, selection of proper classification terms, errors of classification symbols and English expression, and omission of correlative indexes in the classification items. This study has proposed improved methods to solve those problems.

송일기(중앙대학교) ; 진나영(중앙대학교) pp.427-456 https://doi.org/10.16981/kliss.40.4.200912.427
초록보기
초록

『좌리원종공신녹권(佐理原從功臣錄券)』은 성종이 1571년 성종이 왕위에 오르는 일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좌리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성암고서박물관에 유일하게 현존하는 것으로 조사된 『좌리원종공신녹권』 1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본다. 녹권의 형태와 그 체제를 자세히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직함과 성씨 및 신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좌리원종공신녹권』은 을해자(乙亥字)의 금속활자본으로 크게 권수(卷首)․본문(本文)․권말(卷末)의 3부분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513개의 직함에 모두 1,059명(1등 64명, 2등 272명, 3등 723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직함이 비교적 자세하게 기술되었으며 1등원종공신 직함의 품계가 2등과 3등에 비해 높았다. 그리고 원종공신들의 성명에 기술된 성씨(姓氏)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성씨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이(李)씨가 약 21%와 김(金)씨가 약 15%로, 원종공신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佐理原從功臣錄券) is a book which recorded the titles of position and the names of retainers who made Sung-jong into Chosun dynasty's king.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existing only 1 books of Jua-ik Wonjong Gongsin-Nokgwon, which were to analyze the reasons of grant, structure and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meritorious retainers'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As the result,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 is the metal typologic book which was made up Eul-hae(乙亥) letter type. The structure of the Jwa-lee Wonjong Gongsin-Nokgwon was composed of the beginning(卷首)․the body(本文)․the end(卷末). Jwa-lee Wonjong meritorious retainers formed the total of 1,059 persons(1st grade : 64 persons, 2nd grade : 272 persons, 3rd grade : 723 persons) with 513 official titles. Also an analysis of their family name confirmed that 1,059 persons were “Lee"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21%), “Kim" were second group(1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