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의 디지털도서관 연구 및 디지털도서관 용어 사용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논의가 기술중심적 혹은 기술결정론적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도서관은 다양한 이종의 구성요소들이 사회적 상호작용 과정을 통하여 구성되는 사회기술망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회기술망으로서의 디지털도서관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정보학과 STIN 모델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Through analyzing papers on digital libraries and the contexts of usage of the term, ‘digital library’,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professional discourses about digital libraries regard them digital technologies. But digital libraries need to be recognized as socio-technical networks which are constructed by social interaction between heterogeneous elements. The study suggested that Social Informatics and a STIN(Socio-Technical Interaction Network) model should be applied to understand and analyze digital libraries as socio-technical networks.
이 연구는 1959∼2002년간의 문헌정보학분야 석ㆍ박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1959∼2002년간의 연평균 발표량을 38.5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도별로는 2002년이 가장 많고, 영역별 연평균 발표량은 순위는 도서관경영, 정보학, 공공봉사, 자료조직, 서지학, 장서개발(관리), 도서 및 도서관사, 문헌정보학기초 순으로, 각 영역의 주제별로는 문헌정보학교육, 도서관경영론 전반, 분류법, 장서개발(관리) 일반, 참고 정보봉사, 분석서지학, 도서관사, 정보검색분야가 각 영역의 타 주제보다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the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1959 through 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yearly dissertations: 38.5 pieces; the year published the largest number of dissertations: 2002; the order of the number of dissertations by the domain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science, public service, organizing library materials, bibliography, collection development (management), history of books & libraries, foundation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오늘날 많은 학술도서관이 장서개발에 접근패러다임을 적극적으로 대입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전자잡지의 수용이며, 그것의 가장 큰 이점은 최신의 연구논문이 인터넷에 산재하는 플랫폼을 통하여 데스크탑으로 전달된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전자잡지가 구독(라이센스)가격, 인쇄잡지의 지속적인 생존력, 아카이빙, 접근 및 이용이 편의성 등의 난제로 인하여 학술커뮤니케이션의 주류매체로 공인 받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곡해마저 양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술지의 구매력 저하, 선택(평가)기준의 부재, 영향계수의 가외성과 남용, 디지털 접근패러다임과 후광효과, 전자잡지 수급의 부 정합, 주제 게이트웨이 기능의 부실 등의 측면에서 디지털 아킬레스건의 개연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Nowadays many academic libraries have considered and some have implemented the just-in-time(access) approach to collection development especially of scholarly journals. The adaption of the scholarly electronic journal based on access paradigm has brought a number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o academic libraries. Electronic journals have promised rapid delivery of the latest research to the desktop through the ubiquitous platform of the Internet. But the promise of the e-journal is not yet a reality, and there are many misconceptions about what is actually available toda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probabilities of digital achilles tendon of scholarly journals resulting from a decline of purchase power, absence of selection(evaluation) criteria, superfluities and abuses of impact factor, access paradigm and halo effects, mismatching of demand-supply, md insufficiency in subject gateway functions.
우리나라는 절대적인 정보량의 부족, 지방대 정보 격차 등의 문제 뿐 아니라, 외국 정보원에 대한 절대적 의존 현상을 보이고 있어, 대학간 원활한 학술정보 공유가 절실한 상황이다. 정보 공유에 대한 의식을 제고하고 대학의 자발적 노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학술정보 공유 기여도에 대한 평가 체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학술정보 공유 현황을 분석하곤 공유 사업 내용을 기반으로 한 기여도 평가 항목 및 배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술정보 공유 기여도를 기존 대학 평가 체제에 편입시키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Korea is in the state of insufficient supply of research information, a gap of inform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absolute depends on foreign information resource. So it is necessary to activate inter-libray research information resource sharing. To encourage consciousness and spontaneous effort to inter-libray research information resource sharing, university libray evaluation system of contribution toward resource sharing is required. This study intends to survey present condition of inter-libray research information research information in Korea, and develope evaluation system about inter-libray research information resource sharing. And propose operating methods of evaluation system about insert established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or execute independently.
전자책이 우리 주변에서 점차 소개되면서 읽기 습관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전자책의 내용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개인용 컴퓨터나 전자책 가독기를 통하여 언제나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 등 긍정적인 면이 있다. 이와 같은 상당한 기대와 관심에도 불구하고 전자책 등장 당시 우리가 기대한 것만큼은 활성화되기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어떠한 비즈니스 모델이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표준이 전자책 시장을 활성화하고 도서관 서비스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전자책 시장을 둘러싼 현재의 환경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자책이 좀 더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선진국에서의 전자책 시장과 기술 그리고 도서관에서의 경험적 사례와 논점 등은 우리나라 도서관계와 출판계에 귀중한 교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Electronic books offer various possibilities for expanding access as well as changing reading behavior in our life. However despite the considerable promise of e-book, e-book market was not vitalized than re expec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e-book environment and suggest some guidelines for making e-books a viable part of libraries' collections and our reading life. Findings and issues about the status of the current e-book market and technologies, and some experience of libraries in the advanced countries give us a lesson for the Korean library societies.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운동,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하여 연구하고, 누가, 어떻게 할 것인지를 조사하여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운동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공도서관의 독서운동은 도서관장을 중심으로 담당사서가 이용자를 위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전개해야 한다.
This study is on the reading movement of public libr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who and how to campaign reading for library users. In conclusion, I'd like to claim that the dean of public library have to make efforts first and the librarians also have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library users continually.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24개 공공도서관의 문화 프로그램과 독서 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된 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문화 프로그램 및 독서 활동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서울시 24개 공공도서관의 문화 프로그램과 독서 활동의 실태를 조사 분석한다. 또한 새로운 문화 패러다임의 모델로 노원어린이도서관 독서활동 특성화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activation model of the culture program and reading activity at public libraries in Seoul City. For this purpose it is to review theoretical basis on public library culture program and reading activity, and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them and then to introduce the case of Nowon Children's Library Culture Program and Reading Activity as a form of the characteristic program of public library supporting the culture and reading activities in Seoul City.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서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지역의 핵심적인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을 활용하여 실시할 경우 그 성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 하에 공공도서관에 문헌조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설문조사로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교육연계에 따른 현행 공공도서관의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였다.
In order for public education to iud its balance, stronger arts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Successful delivery of arts education program is expected when it is implemented in cooperation with public library, which is at the heart of community culture and education. Under these assumptions, this study determined current status of arts education programs by investigating public library documents. The research also verified the prospect of facilitating the programs with public library support with survey. Based on the findings, problems in current public library were identified and alternatives for seamless collaboration with schools were recommended.
독서는 가장 전형적인 지식활동, 정보활동이다. 독서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생활의 일부이며 그 자체이다. 이러한 생활의 일부로서 독서활동은 새로운 정신세계를 창출하는 인지적이며 사회적인 활동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많은 독서교육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독서능력 신장을 위한 독서활동방안과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독서활동방안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독서활동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존의 독서학습활동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독서학습활동을 탐색하여 활성화에 대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것은 독서학습 모형을 기반으로 한 지식창조형 독서활동 모형으로서 독서콘텐츠 관리이다.
Reading is a typical representative knowledge and information activities. It is a put of the presents man and by itself Read-learning is the cognitive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creating platonic world. However, in the education training of students become a visible problems of read-learning too many. To solve the problems have to pull off a systematical plan in read activities. This aims to purpose the model of the union reading contents management as the method for the read activity based on the problems analysis of read-learning activity. It is reading contents management as the model knowledge cresting processes.
이 연구에서는 KDC 제4판의 언어류 관련부문에 있어서 제반 문제점을 지적한 다음, 그 개선책을 제시함으로써 KDC의 제5판 개정에 일조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공통구분(보조표)을 상세하게 전개하였는데, 언어류(700) 내에 <TEX>$\ulcorner$</TEX>내부 보조표<TEX>$\lrcorner$</TEX>로 위치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둘째, 불합리하고 비논리적인 기호계층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셋째, 주기설정 미흡으로 분류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므로 꼭 필요한 다양한 분류주기를 설정하였다. 넷째, 불합리한 언어구분 전개를 수정ㆍ보완하였는데 국어구분표(보조표) 및 문학류(800)에도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ssibl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System in 21th century through the analysis of language field as the subject of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some problems(for example, irrational classification number system, very simplicity of <TEX>$\ulcorner$</TEX>Subdivisions of Individual languages md languages families<TEX>$\lrcorner$</TEX>, improper languages development insufficiency of note etc.) were found out.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the future revision of KDC4 because a revolutionary improvement were provided.
본 논문에서는 목록규칙상에서 참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였다. 참조는 파니찌와 쥬이트의 목록규칙에서는 상호참조라고 하였으며, 카터의 사전체목록에서 처음으로 정의되었다. 파니찌 규칙 이후 보라참조와 도보라참조로 발전하여 AACR2에서 지금까지의 참조에 관한 규정을 망라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하였다. 참조의 대상은 개인명, 단체명, 서명, 주제명 등이고, 참조의 종류는 보라참조, 도보라참조 이름-서명참조 설명참조의 4가지로 구분하였다. 결국 참조는 동일한 저자나 서명의 상이한 형식을 동일한 접근점으로 하여 관련 저작을 집중하는 유일한 장치로써 특히 현재의 온라인목록에서는 그 기능과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references on cataloging rules. References is named cross reference on The Panizzi' and Jewett' Report and defined at Rules for a Dictionary Catalog by Charles A. Cutter. References is developed to “see reference”, “see-also reference”, “name-title reference”, and “explanatory reference” on AACR2. References have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syndetic devices, making it possible to retrieve and connect related works. Conclusionally, it functions as a tool which directly connect all the works related but in different formats of a same author name and a same title name. In online catalogues, it means that the role and function of references have increasingly become extended to be very important.
이 글은 공공도서관 현장이라고 하는 직업 세계를 매개로 하는 일상적 업무 속에서 공공도서관의 최고관리자인 도서관장과 실질적으로 공공도서관 일선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평사서들과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의식, 그리고 업무에서의 인식의 차이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공공도서관의 평사서들의 일상적 의식세계에 나타나는 공공도서관장의 자질과 역할에 대한 기대를 밝혀내고, 실제로 공공도서관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도서관장의 직업세계를 일상사적 관점으로 조사하여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There are speculations toward public libraries in Korea including the destructive crisis in public libraries. As leaders in these organizations, the directors of public libraries need to be interested in the subject of leadership. Leadership is a major component of management of an organization in transition. The subject once was a sub-field prospered especially in 1970's and 1980's. Since then the perceptions of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changed due to new technologies. Recent literature in the field illustrates wide variety of concerns and issues of public library management. This paper attempts to highlight such issues and perceptions of the real world of libraries, portrayed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역사적으로 한국사회의 문자ㆍ도서관이용자를 이해하기 위하여 문화변용이론과 랑가나단의 이론을 적용하고, 이용자의 통계를 수집하여 시계열분석 한 결과 고대에는 혈통이나 상업, 종교, 고려와 조선에서는 사회계층이 문자ㆍ도서관 이용에 영향을 미쳤다. 현대에는 도서관의 장서량과 증가책수, 예산, 국가의 정보정책과 도서관이용자수가 관계가 있다.
To understand the literacy and library users of Korean society, various historical data and statistic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e findings are: 1) lineage, commerce, and religion in ancient Korean society and the social class in Koryo and Lee Dynasty were related to the literacy, and 2) the size of collection, increase of books, library budgets and the policy of national library are also somewhat related to the library hem at present.
이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경기도와 경상북도의 학교도서관 운동을 통해 지역 단위 학교도서관 운동의 의의를 살펴보고 그 성공 요건에 대해 검토해 보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의 학교도서관 운동은 시민 단체가 주도하고 지방행정 당국이 지원하는 민관협력체제로 진행된 학교도서관 운동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경상북도의 경우는 교육행정 당국에서 주도하여 전문 사서교사를 배치함으로써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학교도서관 운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chool library movement of provincial level. For the purpose current school library movement of Gyeonggy-Do and Gyeongsangbuk-Do are analyzed. The writer looks into motivations, strategies, accomplish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at the viewpoint of compari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