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김상호(대구대학교) pp.1-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구술서평 전문가의 양성을 위한 방법론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구술서평의 형식과 조건, 학습 상의 문제점을 고찰한 것이다. 체계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경험이 있는 강사와 관련 기자재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다양한 발표 경험과 자체 평가를 통해 자신감을 갖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원론적으로 구술서평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평을 통해 전달할 내용을 체크하고, 발표 시 참고하기 위한 원고 또는 요지를 준비하며, 자연스럽고 정확한 의사전달이 되도록 반복 연습을 해야 한다. 특히 방송매체를 통한 구술서평에서는 방송언어의 일반적 요건을 유의한다. 문제가 되는 언어 표현을 삼가며, 표정, 시선, 자세, 몸짓, 의상 등 비언어적 표현 또한 시간과 장소, 책의 성격에 맞게 고려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the pattern of oral book reviewing in order to prepare the methodological basis of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oral book reviewer. Students should have opportunities to exercise themselves in oral book reviewing. We need experienced teachers, space, facilities, and supplies to train them to be a member of reviewer group at modern intellectual society. And there are so many prerequisites like good copy, delivery technique, understanding the specialty of broadcasting language and the distinctions of the oral review from the written review for successful performance as reviewer.

송일기(중앙대학교) ; 안현주(전남대학교) pp.13-3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되었던 四書의 하나인 한문본 大學 제판본에 관한 형태서지적 분석이다. 국내 여러 기관 및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한문본 大學 판본을 조사하여, 그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문본 大學 판본 중에서 가장 많이 간행되었던 大學章句大全의 계통별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한문본 大學은 한성지역의 중앙관서와 경상감영에서 주로 간행하였고, 시기적으로는 17~19세기에 가장 많이 간행되었던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大學章句大全의 경우 명나라 호광(胡廣) 등이 편찬한 四書五經大全을 저본으로 하여 이를 복각한 ‘명본복각계열’과 조선에서 주조한 활자로 간행한 ‘활자본계열’로 판본의 계통이 형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Abstract

This paper is a morphologic-bibliographic analysis on every printed books of Hanmunbon Great Learn(大學), one of FourBooks(四書) in Chosun Dynasty. Through examin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ooks in many institutes and private collections, Daehakjanggudaejun(大學章句大全) was systematically explored, which was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Great Learn (大學) in Chosun Dynasty. The Hanmunbon Great Learn (大學) was published mainly in Central Publishing Office in Hansung Area and Kyungsang provinces, and in the period of 17C to 19C. There are two streams of Daehakjanggudaejun. One is the reprinted edition of Myungbon(明本覆刻), originated from Saseookyungdaejun(四書五經大全), compiled by Hokwang(胡廣) and colleagues in Myung(明). The second is movable type books of Chosun(朝鮮活字本), the contents of which being the same as the other stream.

박준식(계명대학교) ; 이순영(김천시청) pp.31-48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해방 이후부터 2003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차 관련 석·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학위 종류별, 논문의 발표연도별, 차문화의 영역별로 출판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차문화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결과, 지금까지 모두 276편이 출판되었으며, 이중 석사학위 논문이 232편으로 전체의 84%를 차지했다. 출판시기별로는 1990년대 중반부터 크게 증가하다가 2000년에 이르러 급격히 증가하였다. 분야별로는 차의 효능 및 효과에 관한 논문이 178편(64.4%)으로 절대 다수를 점하였고, 이 중에서 의약학적 관점의 논문이 148편으로 83%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은 다구, 제다, 차문화 일반의 순이었다. 차를 문화적 관점에서 보는 다도, 다례는 합쳐 6.9%에 불과했다. 최근에는 다도교육이나 마케팅 분야의 논문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the Master's and Doctor's theses printed from the Korean liberation day to 2003. It has been carried out to research the trends of tea culture in Korea, by analyzing the current printing situations on the kinds of degrees, the chronicles of theses and tea culture. It has found out that the total number of the theses was 276, which of them were for a master's degree, up to 232(84%). As for the printing time, it increased in the mids of 1990s and soared up sharply in 2003. For the fields, the theses on the efficacy of tea printed 178, which reached 64.4%, 148 of them were on the medical and pharmacological view and reached 83%. For the cultural view, the theses on reached only 6.9%. Recently, the theses on the marketing or the education of Da-do haven been increasing sharply.

김희섭(경북대학교) ; 정영미(동의대학교) pp.49-6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검색 분야에서의 언어모델의 적용에 관한 연구동향을 개관하고 이 분야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은 (1)전통적인 모델 기반 정보검색과 언어모델링 정보검색의 성능 비교 실험에 초점을 두고 있는 1세대 언어모델링 정보검색(LMIR)과 (2)기본적인 언어모델링 정보검색과 확장된 언어모델링 정보검색의 성능 비교를 통해 보다 우수한 언어모델링 확장기법을 찾아내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는 2세대 LMIR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의 실험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첫째, 언어모델링 정보검색은 확률모델, 벡터모델 정보검색보다 그 성능이 뛰어나고, 둘째 확장된 언어모델들은 기본적인 언어모델 정보검색보다 그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nd their experiment results on the applications of the language models for information retrieval. We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with the following categories: (1) the first generation of language modeling information retrieval (LMIR) experiments which are mainly focused on comparing the language modeling information retrieval with the traditional retrieval models in their retrieval performance, and (2) the second generation of LMIR experiments which are focused on comparing the expanded language modeling information retrieval with the basic language models in their retrieval performan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experiments results, we found that (1) language models are outperformed the probabilistic model or vector space model approaches, and (2) the expended language models demonstrated better results than the basic language models in their retrieval performance.

곽동철(청주대학교) pp.69-91
초록보기
초록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사회의 전개와 함께 정보기술의 진보, 매스커뮤니티의 발달, 여가생활의 증대 등으로 인한 주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여 나가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부나 지역사회는 공공도서관이 평생교육적 역할까지도 함께 담당하여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지금도 많은 공공도서관들이 주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다양한 기능과 함께 평생학습관으로서의 역할까지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도서관의 주변 여건은 평생교육적 역할을 능동적으로 수행하기에 그리 좋지 않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공공도서관들이 평생교육적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도서관 수, 전문인력, 예산 등의 면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평생교육의 개념 및 방향성을 살펴보고, 둘째,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적 역할을 조명하며, 셋째,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프로그램의 범주를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Public libraries have been well adapted for the changes in lifestyle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s brought by the rapid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development of mass communities, and the increase in leisure activities.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ies demand public libraries to take in charge of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blic. Many public libraries have worked as a center for life-long education, while carrying out various functions and services in close relation with the life of community members. Public libraries are in a very poor condition, lacking the facilities, professional workforce, budgets, and so on, which are sufficient to strengthen their role as a center for life-long education. In this study,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developing life-long education are examin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s and directions of life-long education are discussed; second,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facilitating life-long education are examined; and third, the categorie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are suggested.

홍현진(전남대학교) pp.93-1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연구한 문헌들을 중심으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최근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주요 이슈들과 향후 연구과제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품질 연구를 서비스 품질의 개념 및 특성, 서비스 품질 특성 모델, 서비스 품질의 결과변수, 이용자만족, e-서비스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도서관 분야의 정보서비스 품질 관련 논문들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이슈별로 해외 주요 연구들도 소개하여 서비스 품질 연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아울러 향후 연구되어야 할 이슈들을 분야별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literature of library service quality, including recent studies on the same theme, and to suggest what types of major issues there were and what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 Specificall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 quality, service quality models, service determinants(outcome variable), user satisfaction and e-service were discussed. Articles on the quality of information service, like library-related LibQual, were examined, and it's attempted to make a comprehensive review of studies on service quality and to introduce major international studies on same issues. Finally, what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focus on in each field was presented.

윤희윤(대구대학교) pp.121-14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영미 양국과 국내의 공직 및 사서직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적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미의 사례는 직제의 선진성과 시사점을, 그리고 국내의 직제분석은 그 후진성과 현주소를 파악하는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후속 연구과제인 사서직제 개선방안의 핵심논거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의 사서직제가 문화선진국의 그것을 준용하는 방향으로 개편되기 위해서는 도서관 및 사서직에 내재된 이론적, 현실적 취약성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논리를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직제개선은 유연한 사고와 주체적 행위가 정합되어야 그 가능성도 높아진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ublic servant and librarian position in USA, UK, and Korea and to give suggestions to improve the position classification of librarianship in Korea. Professional librarian positions in USA and UK are very useful to understand the excellency of position classific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librarian positions in Korea is useful to catch the present situation of librarianship and its backwardness. This paper can use for the grounds of an improvement of the librarian position in Korea. In order to improve current position classification of librarianship, we have to overcome a theoretical and actual weakness of the libraries and librarians and to act as the main stream for position reform.

김홍렬(전주대학교) pp.141-163
초록보기
초록

최근에 들어와서 참고문헌이 정보원으로서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각 학술지에서 제시하는 참고문헌의 기술규정이 서로 다르고, 연구자들마다 참고문헌의 기술규정을 올바르게 인지하지 못한 채로 참고문헌을 다양한 형식으로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참고문헌 데이터베이스의 효과적인 구축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고문헌 기술규정의 상이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서지기술상의 문제점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참고문헌 기술규정 통일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Today, the value of the references comes to be high and the reference database construction is increasing. But, the descriptive regulations of the reference which it presents from scholarly journals different with each other. Also, the researchers probably does not recognize a descriptive regulations of reference. It is likely that the effective construction of reference database is very difficul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of a descriptive regulations for reference and presents the plan for standardization of a descriptive regulations.

이종문(경성대학교) pp.165-17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단행본에 대한 분류검색 환경을 조사분석함으로써, 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내용은 분류검색 제공여부, 접근방법, 검색수준 등에 중점을 두었다. 데이터 수집은 계통추출법에 의해 표집 된 100개 도서관 중, 조사기간 동안 URL 연결이 가능한 97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97개 도서관 중, 92.8%가 분류검색을 제공하고 있었으나, 이중 52.2%가 분류기호만을 통해, 47.8%가 분류기호와 분류 디렉터리를 통해 접근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류검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분류기호만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 도서관에 대한 검색환경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classification retrieval operat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retrieval related to the books in the university libraries. The investigation concentrated on whether the classification retrieval service is provided, Access Method and classification retrieval level. The data was collected from 97 libraries where URL access was available during the period of survey in 100 libraries selected by the systematic sampling. As a result, while 92.8% of 97 libraries provided the classification retrieval service, 52.2% of it enabled the access to classification retrieval service only by the classification number and 47.8% by classification number and classification directory.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retrieval environment in the libraries where the access was enabled only by classification number should be urgently improved for the activation of classification retrieval.

이유정(영남대학교) pp.179-19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편목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편목시스템이 발전되어 온 과정을 추적해보고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과 더불어 편목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편목사서들과 시스템 개발자들은 편목시스템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밝혀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현장 편목사서들의 요구와 견해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편목시스템 개발에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automated cataloging systems in academic libraries. For the purpose, the developing process and problems of automated cataloging systems were examined. The focus was on investigation of recognition of cataloging librarians and system develop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analyze needs of cataloging librarians and overcome gaps with users and developers.

정현욱(원광대학교) ; 강혜영(전북대학교) ; 김선남(원광대학교) pp.197-22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인터넷 서점 이용자의 신념, 가치, 태도 등의 주관성(Subjectivity) 구조의 특성을 Q 방법론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36개 Q 표본과 28명 P 표본을 구성하여 2005년 4월 15일에서 22일까지 8일간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같다. 첫째, 인터넷 서점 이용자 구조는 3가지 유형이었다. 제1유형은 “경제적 이익추구형”이다. 이들의 인터넷 서점 이용은 경제성을 추구하는 목적지향적인 행위이다. 이들은 인터넷 서점이 제공하는 컨텐츠보다는 저렴한 책값에 관심을 두었다 이 유형은 주로 대학생 계층에서 두드러졌다. 제2유형은 “정보추구형”이다. 이들은 새로운 정보나 전문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인터넷 서점을 방문한다. 이들은 여성계층에서 뚜렷하였다. 제3유형은 “편의추구형”이다. 이들은 인터넷 서점이 보유하고 있는 접근가능성, 편리함 등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현실적인 문제(예, 배송, 책값, 활용가능성, 경품권제공, 결제 등)에 관심을 두었다. 이들은 직장인 계층에서 두드러졌다. 인터넷 서점은 향후 다양한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분히 파악하여 세분화되고 차별화된 이용자 지향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structure of internet bookstore users' subjectivity by focusing on their beliefs, values and attitudes. Q methodology was utilized for the study. After constituting 36 Q sample and 28 P sample, data were collect from April 15, 2005 to April 22 2005. The analyses showed 3 types of subjectivity structures. The first one was “the economic benefit-seeking type." Those in this type were motivated to use internet bookstores to achieve economic benefits. They paid more attention to the prices discounted than the web site contents provided by internet bookstores. This type was conspicuously found among college students. The second one was the “information-seeking type." People in this category made visits to internet bookstores in order to obtain new information or professional materials. This type was dominantly found among women. The third one was the “convenience-seeking type." Those in this type were concerned not only with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but also with such practical issues as delivery, price, applicability, payment, and bonus. This type was conspicuously observed among white collar workers. These findings suggests that in order to make internet bookstores more attractive to users, it is demanded to understand various needs held by users and map out sophisticated marketing strategies on the basis of such a knowledge.

조재인(인천대학교) pp.221-239
초록보기
초록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은 개체-관계형 모델을 기반으로한 서지 정보의 새로운 개념 모델로 향후 개정될 AACR 3의 기본 개념으로 자리잡고 있다. JSC(Joint Steering Committee for Revision of AACR)는 FRBR 개념을 수용하기 위한 다각도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표현형 계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일 표제의 전면적인 용도 변경과 GMD(General Material Designation)의 개선을 건의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FRBR의 발전 과정과 표현형 계층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FRBR 개념 수용을 위한 AACR3의 개정 방향을 고찰한다. 또한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따른 우리 목록 규칙과 목록 레코드의 실제 작성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본다.

Abstract

FRBR, as is new conceptual model of bibliography based on entity-relation model, direct to revision of AACR 3. JSC has progressed work to adopt FRBR conceptual model into cataloging rule, especially for solving the problem of expression level, propose to overall change of uniform title & GMD. This study considers the matters about expression level of FRBR model. And examine possibility of adoption FRBR model to domestic cataloging rule and making out practice.

김달식(한신대학교) pp.241-26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4년제 대학 도서관 중 접속 가능한 236곳의 도서관 홈페이지 분석을 통하여 디지털참고봉사의 제공 및 접근성과 이용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진정한 의미의 디지털 참고봉사 즉, 참고질의 응답을 제공하는 대학도서관은 236개 대학 도서관 중 36.9%인 87개 기관으로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인 참고봉사의 부진이 디지털 환경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디지털 참고봉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전통적인 참고봉사의 부진을 씻고 참고 봉사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 디지털 참고봉사 시스템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발전방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current state of digital reference service on the homepage of university library in Korea. Among 236 university libraries, only 36.9%(87) provide digital reference services. Digital reference services was weak as face-to-face reference services in Korea.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 revealed current state and related problems, and a few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digital reference service system.

홍기선(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 pp.263-2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의 이론적 배경과 국내외의 이에 대한 현황을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국내 병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에서의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 제공실태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소비자의 보건정보요구에 대한 도서관의 역할을 제고하여, 그 요구에 대응하도록 도서관 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이 소비자보건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 병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으며,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를 실시하게 될 경우에는 소비자의 예방적인 보건의료와 환자의 알 권리 존중이라는 영역까지 도서관의 기능확대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병원도서관내에 환자도서관 설치를 하여 적극적으로 소비자 보건정보서비스를 실시해 나가야하며 병원도서관이 환자 및 가족을 위한 의학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소비자용 보건정보자료의 적극적인 수집과 이에 대한 서지류도 같이 개발해야 할 것이다. 공공도서관도 적극적으로 보건정보자료를 수집하고 유지관리하며 참고실에 별도의 장서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MEDLIS(Medical Library Information System)의 subsystem으로 미국의 CHIN이나 CHIPS와 같은 협력망을 구축하고 소비자용 보건정보자료의 종합목록데이터베이스 제작과 상호대차시스템, 참고봉사시스템의 구축으로 병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망을 구성한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realities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from a review of the literature, to manifest the actual conditions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by domestic hospita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and then to activate library services at least to meet the needs of the services by enhancing their role for consumer demand for health information. This paper propose to activate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as follows: First, librarians both in hospital and in public libraries cognize that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really are needed. Furthermore, they expect that when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are implemented, the function of the library would be expanded even to the realm of preventive health medical care for consumers and as well as to the patients' right to know. Second, it is recommended that hospital libraries should actively perform their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along with the active collection of health information and materials and develop related bibliographies for hospital libraries to provid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ith medical information. Public libraries also are required to actively collect, maintain and manage health information and to equip themselves with special books in their reference rooms. Third, it is recommended to launch such a cooperation network with a subsystem of MEDLIS as CHIN or CHIP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o construct an integrated database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and materials, an interlibrary system, a reference room service system as well as a cooperation network among hospital and public libraries.

채균식(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이응봉(충남대학교) pp.283-305
초록보기
초록

과학기술데이터는 엄격한 평가기준에 의해 신뢰성과 정확성이 보장된 참조표준(standard reference data) 값을 지닐 수 있어야 한다. 참조표준은 측정표준을 바탕으로 구하여진 결과 값을 표준화시키는 작업으로서 데이터의 생산조건, 실험환경, 측정방법, 데이터 처리 등이 검토되어 참조데이터(reference data)와 구분된다. 참조표준은 “공인된 수치데이터”로 표현되고 이는 측정결과의 신뢰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불확도(uncertainty)로 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참조표준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평가되지 않은 과학기술 데이터가 어떤 평가 과정을 거쳐 참조표준으로 분류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소재물성분야를 예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가 참조표준을 본격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참조표준센터, 데이터센터, 위원회의 역할과 임무,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Data produced during scientific and technical activities usually have value as standard reference data (SRD) which is a well-documented numeric value assessed for reliability and accuracy. The main criteria in the evaluation for SRD is how well their production is documented including a sample preparation, measurement method, data processing and so on, other than reference data. SRD is represented as a certified numeric value with uncertainty. In this study, the SRD in the area of material properties was introduced to provide understanding of SRD and its evaluation method. Also the national SRD system was studied. The national SRD system is composed of the center for the SRD, the data centers, and the committee. The role and task of those components were studied. The legislational and systematic supports for the system were proposed in this study.

김성희(중앙대학교) ; 정은애(중앙대학교) pp.307-3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총체적 질 관리의 이론 고찰을 토대로 추출된 핵심요인들에 대해 의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여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 방법은 의학도서관에서의 총체적 질 관리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Likert Type 5단계 척도에 따라 1점에서 5점까지 부여하였고, 통계방법은 T-Test와 ANOVA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관, 조직,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TQM의 필요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서의 과업수행에 있어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보상체제 요인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나 이 점은 앞으로 많이 개선해야 될 부분으로 나타났다. 결국 의학도서관 사서는 최고 경영자의 양질의 지도력 하에 고객만족중심의 과업을 수행성취하고자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 전문직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는 것이 총체적 질 관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The paper examined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QM in Medical libraries.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collecting data and the ANOVA and T-TEST were used for analyzing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librarians positively recognize the need of TQM in Medical libraries.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library system needs to improve the reward system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work. Finally, this study showed that librarians need to be well-qualified person as a professional with the CEO of strong leadership for successful TQM.

박미성(경북대학교) pp.327-34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서지정보검색시스템의 색인 정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최적 색인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지마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색인 태그 정의 및 정규화를 통한 색인어추출이론에 대해 고찰하고, 이론에 따라 생성된 색인어의 검색 활용도를 분석하였다. 실험은 서지 2,200,488건에서 생성된 색인어 29,219,853건을 텍스트형 색인과 코드형 색인으로 나누어 이용자 웹 검색 로그에 나타난 색인 항목과 비교하여 어떤 색인 정의가 얼마나 활용되는가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서명, 저자, 출판사, 주제와 같은 텍스트형 색인어는 높은 검색 활용도를 보인 반면에 코드형 색인어는 검색 활용도가 낮아 검색에 활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색인 정의들은 과감하게 제거하여 색인 정의를 최적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index definition and to prepare the basis of optimal index in bibliographic retrieval syste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 studied a index extraction theory on index tag definition and index normalization from the bibliographic marc database and analyzed a retrieval utilization rate of extracted index. In this experiment, we divided index between text-type and code-type about the generated 29,219,853 indexes from 2,200,488 bibliographic records and analyzed utilization rate by the comparison of index-type and index term of web log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text-type indexes such as title, author, publication, subject are showed high utilization rate while the code-type indexes were showed low utilization rate. S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nused index is removed from index definition to optimize index.

윤정옥(청주대학교) pp.349-36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미국국회도서관의 CIP (Cataloging in Publicatio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지 유틸리티를 통한 CIP 데이터 접근, 배포, 개선 및 활용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LC CIP 프로그램은 많은 출판사의 참여와 지속적 성장, CIP 서지정보의 품질에 대한 신뢰와 즉각적 접근을 위한 서지 유틸리티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출판 후 서지정보의 완전성과 정확성 개선을 위한 품질제어 노력 등의 특성을 갖는다. LC와 OCLC와 같은 서지 유틸리티 사이의 협력은 국립중앙도서관의 ‘출판시 도서목록’ 프로그램의 제한점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의 대표 서지기관으로서 출판예정 단행본에 제한된 CIP 데이터 뿐 아니라 모든 유형의 국내간행 신구간 자료에 대한 정확하고 완전한 서지 및 전거 레코드에 대한 국내 도서관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CIP program of the Library of Congress distributes, provides an access to, and helps upgrade CIP data through bibliographic utilities. LC CIP program can be characterized by the participation of many U.S. mainstream publishers, a continuing increase in the number of CIP data assigned annually, and an effort to immediately upgrade the completeness and accuracy of CIP data in cooperation with bibliographic utilities. Cooperation between LC and bibliographic utilities in performing quality control is worth noting, when compared with the limitation of CIP program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t is suggested th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hould provide complete and accurate bibliographic and authority records for other types of new and old library materials published in Korea as well as CIP data for new monographic material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