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인터넷 환경과 대학참고사서의 새로운 역할모델

The New Role Models of the Reference Librarians in the University under the Internet Environment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3, v.34 no.1, pp.379-397
박준식 (계명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인터넷 환경 하에서 대학도서관 참고사서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해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오늘날 참고사서의 역할이 바뀌어야 될 여러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역할모델 설정의 당위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역할모델 설정의 전제로서 미래 대학도서관의 모습을 가상도서관체제와 학습자원센터의 두 가지 형태로 가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설정한 참고사서의 역할모델은 다음과 같이 일곱 가지이다. 1) 내용분석가, 2) 컨텐츠관리자, 3) 학습자원제공자. 4) 정보중재자, 5) 원격교육운영자, 6) 교육전문가, 7) 참고정보원 개발자

keywords
참고사서, 정보서비스, 대학도서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o the reference librarians In the university that how they should perform their roles under the internet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first,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the roles of the reference librarians should be changed are examined. Second, such two aspects of the future university library as virtual library and learning resource center are Presupposed. The seven role models for reference librarians based on these are as follows. 1) Contents Analyst, 2) Contents Manager, 3) Learning Resource Supplier, 4) Information Mediators, 5) Virtual Lecture Manager, 6) Instructor for Information Literacy, 7) Reference Resource Developer.

keywords
참고사서, 정보서비스, 대학도서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