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독서활성화 방안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y Reading Through Special Qualit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7, v.38 no.1, pp.315-339
https://doi.org/10.16981/kliss.38.1.200703.315
박미영 (노원정보어린이도서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독서 활성화를 위해서 기존의 독서 교육이나 독서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자관만의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공공도서관의 기능에서 확대된 특화서비스 프로그램의 필요성, 프로그램 개발과 구축에 관하여 살펴본 후, 현재 국내 공공도서관의 독서 관련 활동, 한 도서관 한 책읽기 행사 현황과 미국 공공도서관의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또한, 독서 관련 특화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구축 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의 독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Public Library, Reading, Reading Activity, Specialized Quality Service, Specialized Quality Program, 공공도서관, 독서, 독서활동, 특화 서비스, 특화 프로그램, Public Library, Reading, Reading Activity, Specialized Quality Service, Specialized Quality Program

Abstract

For the public library reading revitalization in this study it is to review program development examples which is differentiated by own library from the existing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specialized program examples it intended suggesting a method of reading revitalization, after reviewing enlarged specialized function in the existing public library function, and analyzing related the reading activity status concerning with Seoul city public library, ‘One Library One Book Reading' activity and U. S. A public library. Also, this study suggested future public library reading revitalization through the specialized qualit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related reading.

keywords
Public Library, Reading, Reading Activity, Specialized Quality Service, Specialized Quality Program, 공공도서관, 독서, 독서활동, 특화 서비스, 특화 프로그램, Public Library, Reading, Reading Activity, Specialized Quality Service, Specialized Quality Program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