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진흥활동

The Reading Promotion Campaigns for Children of Libraries in Other Count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7, v.38 no.2, pp.165-184
https://doi.org/10.16981/kliss.38.2.200706.165
윤정옥 (청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주로 지난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사이에 다른 나라에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시작된 어린이를 위한 독서운동 가운데 몇 가지 흥미로운 사례들을 살펴보고, 이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새로운 독서패러다임으로서의 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귀로 읽기’ 캠페인, 영국의 ‘채터북스’, 싱가포르의 ‘Born to Read, Read to Bond’ 및 미국의 ‘조부모와 책 읽기(GAB)’의 사례들에서 나타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른과 어린이가 함께 책을 읽는 것이 강조된다. 둘째, 도서관 외부의 후원 및 지역사회 구성원의 역할이 중요하다. 셋째, 책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 프로그램 및 활동을 통해 독서에 대한 흥미를 고양시킨다. 넷째, 독서와 더불어 토론을 중시한다. 다섯째, 독서운동의 지역반경이 확대될 수 있다.

keywords
Public Library, Reading Promotion Campaigns, Reading for Children, Public Library, Reading Promotion Campaigns, Reading for Children, 공공도서관, 독서진흥활동, 어린이독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reading promotion campaigns for children carried out by public libraries in other countries. “Listen Out! - The Stuttgart Reading Project” in Germany, “Chatterbooks” in the U.K., “Born to Read, Read to Bond” in Singapore and “Grandparents and Books(GAB)” in the U.S.A. are examined. While the first three campaigns started in the 2000s, GAB has been carried out by Los Angeles Public Library since 1989.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ampaigns are as follows: First, reading books with adults is emphasized. Second, it is important to get some support and sponsor from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in the community. Third, various media, program and activities related to books are used to promote interests in reading. Fourth, discussion and reading are equally emphasized. Fifth, the geographical boundaries of reading campaigns can be extended in the global community.

keywords
Public Library, Reading Promotion Campaigns, Reading for Children, Public Library, Reading Promotion Campaigns, Reading for Children, 공공도서관, 독서진흥활동, 어린이독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