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정체성과 역할모형은 역사성과 체계성을 겸비한 장서에서 발원한다. 그렇기 때문에 장서개발은 모든 공공도서관이 가장 중시해야 할 전문직 업무이다. 이에 국내외 공공도서관계가 금과옥조로 삼는 고전적 장서개발의 정론이 직면하는 한계를 분석하고 디지털 오디세이의 신화를 논급한 다음에 미래 장서개발의 노선과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social identities and role models of all public libraries originate from the historical and systematic development of analog collections and the high-quality digital contents. Therefore, collection development in public libraries should be treated the most important professional task. Based on these prerequisites, this paper analyzed the classical agendas of analog collection development and paradoxes of digital odyssey, and suggested the future policies and strategies of public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in Korea.
윤희윤, 장서관리론(대구 : 태일사, 2007), p.220.
BrightPlanet.com LLC, The Deep Web : Surfacing Hidden Value(July 2000), pp.2-4. <http://www.dad.be/library/pdf/BrightPlanet.pdf>.
Bonnie Shucha, “Conquering the Invisible Web," <http://library.law.wisc.edu/wisblawg/conqueringinvweb.ppt>.
윤희윤, “공공도서관 경영형태 변용성 연구,” 한국문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2007. 12), p.12.
Philip Gill et. al., The Public Library Service: IFLA/UNESCO Guidelines for Development(München : Saur, 2001), pp.56-60.
윤희윤, “디지털 장서개발의 방법과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2007, 6), p.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