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서비스 확대를 위한 독서치료의 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도서관계에서 차지하는 독서치료의 위치를 살펴보고, 2000년 이후 한국의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독서치료의 성과와 한계를 점검하여 도서관 서비스로서 독서치료의 확대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방안으로는 네 가지 문제, 즉 독서치료 용어의 문제, 독서치료에 대한 사서의 인식과 수용, 독서치료 교육과 훈련 과제와 도서관의 독서치료 서비스 확대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explores the task of bibliotherapy for expansion of library service. There are three subjects for a study. First, I consider the position of bibliotherapy in library community. Second, I examine the outcomes and the critical point of an experimental bibliotherapy program conducted in Korean Library since 2000's. Third, I find out the tasks of bibliotherapy for expansion of library service. It is four tasks that have the problem of bibliotherapy terminology, the librarian's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bout bibliotherapy, education and training for bibliotherapy in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and plans for the expansion of bibliotherapy service.
1) “독서치료가 뜬다 - 책 읽으며 내 아픔 스스로 깨닫고 치유해 가요 : 공공도서관 프로그램․모임 ‘인기’,” 부산일보(2010. 9. 1), 12면
2) 김정근, “독서치료의 현단계,” 도서관문화, 제46권, 제2호(2005. 2), p.46.
3) 김정근,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운영: 사서와 도서관 기반의 접근을 생각하며,” 경기도사서연구회지(2004. 12).
4)조나리,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7), pp.30-32).
5) 이제환, “한국 도서관계에서 독자상담과 독서치료의 의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4호(2009. 12)
6) Rhea Joyce Rubin, Using Bibliotherapy: A Guide to Theory and Practice(Phoenix : Oryx Press, 1978)
7) Ya-Ling Lu, “Helping Children Cope: What is Bibliotherapy,” Children and Libraries(Spring 2008)
8) 박온자, “독자자문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2004. 6), p.262.
Connie Van Fleet, “Education for Reader's advisory Servic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s Challengers and Opportunities,” Reference & User Service Quarterly, Vol.47, No.3(2007), pp.224-229.
최상희, “성인 이용자를 위한 온라인 독서지원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4호(2009. 12)
Liz Brewer, “Medicine for the Soul: Bibliotherapy,” Aplis, Vol.21, No.3(September 2008)
Liz Brewer, “The Reading Remedy: Bibliotherapy in Practice,” Aplis, Vol.21, No.4(December 2008)
Liz Brewer, “Reader Development and Mental Wellbeing: The Accidental Bibliotherapy,” Aplis, Vol.22, No.1 (March 2009)
D. Chamberlain, D. Heals, and I. Robert, “Bibliotherapy and information prescriptions: a summary of the published evidencebase and recommendations from past and ongoing Books on Prescription Project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15(2008), pp.24-36.).
14) Bernice McSwain, “Bringing it all together: Salisbury Reads,” Aplis, Vol.21, No.2(june 2008), p.64.
15) 이승은, 지역사회 협력기반의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pp.40-41.
신헌재 등편, 독서교육의 이론과 방법(서울 : 박이정, 1993), pp.8-9.).
김현희 등, 독서치료(서울 : 학지사, 2001), pp.20-22.
김정근, “제3의 독서영역,” 교수신문(2002. 4. 29
김정근 등, 독서치료 사례연구(서울 : 한울, 2007).
김정근 등, (정신건강과 자아발달을 돕는) 체험적 독서치료(서울 : 학지사, 2007).
김정근 등, 독서치료가 마음의 병을 치유한다(서울 : 한울, 2009)
안인자 등, 직무분석을 통한 전문사서제도 개발 연구(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7), pp.55-56.).
노동조,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 (2009. 12), pp.452-468.
김순화, 공공도서관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울산남부도서관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김수경, 주부의 마음상함과 독서치료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박금희,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김정근 등, “독서치료에서 ‘체험’의 요소,” 독서치료 사례연구(서울 : 한울, 2007), pp.27-30.
박현영,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공공도서관과 사서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국도서관협회,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 성인편(서울 : 동협회, 2004).
한국도서관협회,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 청소년․어린이편(서울 : 동협회, 2005).
한국도서관협회, 자아성장을 위한 체험형 독서치료: 2006년도 독서대학 자료집(서울 : 동협회, 2006).
한국도서관협회, 자아성장을 위한 체험형 독서치료: 2007년도 독서대학 자료집(서울 : 동협회 2007).
한국도서관협회, 책읽기를 통한 마음의 상처 치유하기: 2008년도 독서대학 자료집(서울 : 동협회 2008).
한국도서관협회, 책읽기를 통한 마음의 상처 치유하기: 2009년도 독서대학 자료집(서울 : 동협회 2009).
국회도서관 전자도서관 홈페이지, <http://u-lib.nanet.go.kr/dl/Simple View/> [인용 2010. 10. 25].
울산광역시교육청․책읽기를 통한 정신치료연구팀, 초등학생 정신건강과 자아발달을 돕는 체험형 독서치료(울산광역시교육청, 2008). <http://after.use.go.kr/> [인용2010. 11. 20]
장윤미, “학교로 찾아가는 독서치료 프로그램,” 도서관문화, 제51권, 제9호(2010. 9), pp.49-58.
김수경, “문제청소년 교정활동으로서 독서치료 프로그램 적용 사례,” 한국․독일 도서관 컨퍼런스(서울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8), pp.116-129 참조.
이영식, 독서치료 어떻게 할까(서울 : 학지사, 2006), p.44.)
Jami L. Jones, “A Closer Look at Bibliotherapy,” Young Adult Library Services(Fall 2006)
39) 김정근, “독서치료의 동력,” 도서관문화, 제51권, 제4호(2010. 4), pp.59-62.
40) 황금숙, “도서관 서비스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남산도서관 직무연수 강의자료(2010).
42) Brian Sturm, “Reader's Advisory and Bibliotherapy: Helping or Healing?”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 Library Science, Vol.41, No.2(December 2003), pp.191-197.
(사)공공도서관 협의회 홈페이지, <http://www.kpla.kr/> [인용 2010. 11. 20]
캐롤 쿨사우, 정보탐색과정론, 김효정, 이병기 공역(서울 : 한국디지틀포럼도서관, 2002).
Jacqueline Stanley, Reading to Heal: How to Use Bibliotherapy to Improve Your Life(London : Vega, 2002).
John T. Pardeck, Using Books in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A Guide to Bibliotherapy(New York : The Haworth Press, 1998).
John T. Pardeck and Jean A. Pardeck, Bibliotherapy: A Clinical Approach for Helping Children(S.A. :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1993).
Beth Doll and Carol Doll, Bibliotherapy with Young People: Librarians and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Together(Colorado : Libraries Unlimited, Inc., 1997), pp.44-47.
이명희, “독서교육 교과목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문헌정보학과에서 제공되는 독서교육 과목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8권, 제1호(2007. 6)
이연옥, “북미 공공도서관계 정신건강 지원서비스의 경향과 특성,”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10. 3), pp.54-61.
변우열, “독서교육 지도자의 자질과 양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3호(2008. 9), p.211.
63) Havinghurst, R. J., 발달과업과 교육, 김재은 역(서울 : 박영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