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식 분류의 기호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지식 분류의 기호학적 구조가 고전이나 정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이러한 영향의 흐름이 기호학적 체계의 구조적 측면에서 연유한다는 것을 통하여 인터넷 등 전자매체와 금서의 동일성을 사회 문화적 구조주의 시각에서 논의한다. 또한 기호적 해석이 가능한 구조주의 이론 틀을 빌어 대중매체를 포함한 영상 매체 등의 텍스트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방향으로 기호 체계의 이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unpackes semiotic character of knowledge classification and wants to know how sign structure of classification effects on canon and banned book etc, and by this impact stems from the semoitic structure structurally, discusses coidentity between banned book and internet in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 aspect. and proposes way for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text like mass media using structuralism theory.
구가 가쓰토시. 지식의 분류사. 김성민 역. 서울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7
김수행 편저. 청년을 위한 경제학 강의. 서울 : 한겨레 신문사, 1998.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및 학교 미디어 교육의 방향. 서울 : 다홀미디어, 2005.
김정은. 대중문화 읽기와 비평적 글쓰기. 서울 : 민미디어, 2003.
김정탁, 염성원. 기호의 광고학. 서울 :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0.
김주환.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서울 : 생각의 나무, 2008.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서울 : 한울 아카데미, 2002.
남태우. “분류 기호법에서의 조기성 연구.” 도서관학, 제22집(1992), pp.179-217.
박명진 등저. 문화, 일상, 대중 ; 문화에 관한 8개의 탐구. 서울 : 한나래, 1996.
박재혁. “DDC 20판의 특징과 소개." 국립대학도서관보, 제8집(1990), pp.66-94.
박정희. “‘책의 탄생’을 둘러싼 암투와 지략-동독의 검열 제도와 그 영향-." 브레희트와 현대연극,제18권(2008), p.134.
손예희. “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매체 언어 교사의 존재상." 새국어교육, 제82호(2009), pp.193-218.
양호영.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실체와 하나." 철학논구, 제28집(2000), pp.175-191.
오영훈. “기호작용과 기호관계." 영상문화, 2009, pp.148-174.
원용진.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서울 : 한나래, 1996.
육영수. “책과 독서는 역사를 움직이는가 : ‘단턴 테제’와 ‘단턴 논쟁’을 중심으로." 서양사론, 제79집(2003), pp.155-181.
이기훈. “독서의 근대, 근대의 독서-1920년대의 책읽기." 역사문제연구, 제7호(2001. 12), pp.11-71.
이동성. “기호와 사물 그리고 존재 ; 기호의 존재론적 의미." 동서언론, 12집(2009), pp.91-118.
이동성. “후기 구조주의에서의 의미의 문제 ; 들뢰즈의 사건을 중심으로." 동서언론, 10집(2006.12), pp.263-289.
이병기.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매체와 교수매체론. 고양시 : 조은글터, 2006.
이승민. “서지레코드와의 연계를 통한 폭소노미 태그 프레임워크 구축.”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5집(2011. 2), pp.185-207.
이영음. 영상학.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7.
이은애. 문화로 만나는 역사와 문학-책과 독서의 역사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12집(2008), pp.417-438.
이중연. ‘책’의 운명 ; 조선~일제 강점기 금서의 사회․사상사. 서울 : 혜안, 2001
이채연. “매체 환경의 변화와 국어 교육의 방향; 매체 언어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국어교육학 연구,제28집(2007. 4), pp.103-141.
정동열, 김성진. 이론정보학.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3.
정영미. 지식구조론.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1997.
주명철. 지옥에 간 작가들. 서울 : 소나무, 1998.
주명철. 프랑스 혁명 이전의 사회 병리 이상-금서의 유통을 중심으로(1774-1789)-. 역사학보, 제102집(1984), pp.109-133.
최연희, 정준영. 문화비평과 미학.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출판부, 2007.
한국정보관리학회 편. 정보학의 실제.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1995.
Alberto Manguel. 독서의 역사. 정명진 옮김. 서울 : 세종서적, 2006.
Alex Wright. 2010. 분류의 역사. 김익현, 김지연 공역. 서울 : 디지털 미디어리서치, 2010.
Bernard Toussaint.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윤학로 옮김. 서울 : 청하, 1989.
Mark Poster. 뉴미디어 철학. 김성기 옮김. 서울 : 민음사, 1994.
Marshall McLuhan. 미디어의 이해. 서울 : 삼성출판사, 1992.
McKusick, James C. Coleridges philosophy of langue. New Haven & London : Yale up, 1989.
Rebecca Knuth. 책을 학살하다. 김창래 옮김. 서울 : 알마, 2010.
Robert Darnton. 책과 혁명. 주명철 옮김. 서울 : 길, 2004.
Roger Chartier, Guglielmo Cavallo. 읽는다는 것의 역사. 이종삼 옮김. 서울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2006.
Steven Cohan, Linda M. Shires. 이야기하기의 이론 ; 소설과 영화의 문화 기호학. 임병권, 이호옮김. 서울 : 항나래, 1998.
Wynar, B. Introduction to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6th ed. Littleton : Libraries Unlimited,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