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를 규명하고, 가치실현을 위한 과제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은 국민 대다수가 경험하는 초․중․고 학생을 이용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문헌정보학과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되며, 문헌정보학의 지속적 연구분야로서 그리고 양질의 사서직 진출분야로서 높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교도서관의 가치실현을 위해서는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전담인력 배치에 대한 도서관계의 협력과 법제화 노력이 필요하며, 전문성 높은 사서교사의 양성과 더불어 학교도서관 현장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연구인력을 확대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lue of school libraries and to find ways to realize the value after examining school libraries and teacher librarians in Korea. According to this study, school libraries can be useful resource to promote Koreans' social perception in all types of libraries and the LIS because school libraries are accessible to those who experience public education. As a major area of research and the field in the LIS, school libraries have strong possibilities to produce qualified librarians. The cooperation among librarians and legislative proceeding to staff full-time teacher librarians, and the expansion of school library researchers to activate field researches are needed in order to maximize the value.
권은경.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개정과 사서교사제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2004. 6), pp.95-128.
김종성. “사서교사의 직무적응 저해요인과 극복방안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6권, 제1호(2005. 3), pp.237-268.
김종성. 한국 학교도서관 운동사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0.
김성준.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3호(2009. 9), pp.249-270.
김성준.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제2호(2012. 6), pp.203-225.
김성준, 서진원. “우리나라 사서교사의 양성현황과 수급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3호(2008. 9), pp.161-186.
교육통계서비스 <http://cesi.kedi.re.kr> [인용 2012. 6. 14].
노영희, 홍강표.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추진 현황 분석 및 평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07. 3), pp.243-271.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10.
송기호. “사서교사의 허약한 직업적 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2010. 5), pp.317-337.
송정숙. “한국문헌정보학의 연구현황 분석 - 2001년~2010년 발행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2010. 12), pp.333-353.
이병기. “한국과 미국의 사서교사 임용 및 자격시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2호(2011. 6), pp.127-149.
윤희윤.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2007. 6), pp.31-54.
정동열. “사서자격제도 개선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2007. 6), pp.5-29.
정재영, 박진희.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장연구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2호 (2011. 6), pp.171-19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 <http://www.kice.re.kr> [인용 2012. 10. 11].
한국도서관협회. 2011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11.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 특별위원회. (2003년판)한국도서관 기준.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편.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교육과정 기준.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7.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홈페이지. <http://www.ksla.net> [인용 2012. 10. 11].
全国学校図書館協議会 Homepage. <http://www.j-sla.or.jp> [cited 2012. 10. 11].
AASL Homepage.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2007. <http://www.ala.org/aasl/guidelinesandstandards/learningstandards/standards> [cited 2012. 10. 11].
AASL & AECT,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nd London: ALA, 1998.
ASLA Homepage. <http://www.asla.org.au> [cited 2012. 10. 11].
IASL Homepage. <http://www.iasl-online.org/about/handbook/policysl.html> [cited 2012. 9. 14].
Knuth, Rebbecca.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School Libraries in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A Comparative Study.” The International Information & Library Review, Vol.27, No.3(Jun. 1995), pp.265-282.
SLA Homepage. <http://www.sla.org.uk> [cited 2012. 10. 11].
Stripling, Barbara K. “Quality in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Focus on Learning.” Library Trends, Vol.44, No.3(Winter 1996), pp.633-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