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기초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3, v.44 no.2, pp.137-165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137
김보일 (경기대학교)
김종애 (경기대학교)

초록

오늘날과 같이 방대한 정보에의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한 정보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이 다양한 유형의 이용자에게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편성 측면에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적용한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본래의 목적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6개 평가영역, 10개 평가항목, 41개 평가내용으로 구성된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기초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보편성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41개 평가내용에 대해 유니설디자인 적용의 5요소인 ‘보편성, 편의성, 인지성, 안전성, 경제성’ 중 평가지표의 특성에 따라 적용 가능한 요소를 설정하였다.

keywords
공공도서관, 유니버설디자인, 평가지표, Public library, Universal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Abstract

For public libraries to deliver appropriate information to various types of users in information society that allows people to access and use a variety of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ervices applying the universal design principles in terms of univers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which apply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evaluate if public libraries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that meet their original purpose. The final ‘Evaluation Indicators of Univers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consist of six evaluation areas and 41 evaluation contents in 10 evaluation items. Each evaluation content is categorized into a relevant factor among five universal design applicable factors (Universality, Convenience, Recognition, Safety and Economic Feasibility)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keywords
공공도서관, 유니버설디자인, 평가지표, Public library, Universal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참고문헌

1.

강윤호. 공공도서관의 운영 성과 측정을 위한 통계 항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10.

2.

고광필. 유니버설 디자인에 기초한 웹 인터페이스 개인화의 사용자 만족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2009.

3.

고영준. 사용자 중심의 유니버설디자인 방법과 사례. 서울 : 예담, 2011.

4.

김보일, 조현양, 김종애.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 제4호(2011. 12), pp.181-201.

5.

김보일.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1권, 제3호(2010. 9), pp.5-16.

6.

나카가와 사토시. 유니버설디자인. 서울 : 디자인로커스, 2006.

7.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0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결과보고서. 서울 :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1.

8.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법. [인용 2012. 3. 8].

9.

박성우.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지표와 성과의 인과관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11.

10.

박희숙. 전문도서관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8.

11.

법무부 홈페이지. <http://www.moj.go.kr> [인용 2012. 3. 9].

12.

손진희. 건축시설물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주거환경학과, 1997.

13.

우덕숙. 이용자의 관점에서 본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999.

14.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 홈페이지. <http://www.udrc.or.kr/> [인용 2012. 3. 14].

15.

이철수 외. 사회복지학사전. 서울 : 블루피쉬. 2009.

16.

이효창, 하미경. 공공도서관 실내 공용공간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제5호(2007. 10), pp.55-62.

17.

조영행. 대학도서관의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따른 적용성 평가 : 부산지역 국립대학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4권, 제10호(2008. 10), pp.21-29.

18.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고령자와 장애인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규격 개발자 지침(KS AISO/IEC GUIDE 71: 2007), 2007. <http://www.kats.go.kr> [인용 2012. 3. 14].

19.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서비스 표준 개발 - 소비자 이슈 조치 시 권고사항 (KS A ISO/IECGUIDE 76:2009), 2009. <http://www.kats.go.kr> [인용 2012. 3. 14].

20.

최호천. 유니버설 패키지디자인을 위한 조건설정과 디자인 평가지표 개발 : 우유 카톤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공예학과. 2010.

21.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tat.go.kr> [인용 2012. 3. 9].

22.

한국도서관협회a. 도서관편람.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10.

23.

한국도서관협회b. 한국도서관기준개정연구.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10.

24.

한국유니버설디자인센터 홈페이지. <http://www.kudc.or.kr/> [인용 2012. 3. 14].

25.

한승희.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도서관 웹사이트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2권, 제2호(2011. 6), pp.201-220.

26.

홍순영. 공공도서관에 대한 평가지표의 비교 및 발전방향 : 문화관광부와 서울특별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인적자원정책전공, 2009.

27.

Koontz, C. & Gubbin B. 편. (개정판) IFLA 공공도서관 서비스 가이드라인. 장혜란 역.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11.

28.

Rawls John. 정의론. 황경식 역. 서울 : 이학사, 2005.

29.

Yoshihiko Kawauchi. Universal Design. 양성용, 홍철순 역. 서울 : 선인, 2005.

30.

Burgstahler, Sheryl. Equal Access: Universal Design of Libraries, 2008. <http://www.washington.edu/doit/Brochures/Academics/equal_access_lib.html> [cited 2012. 2. 17].

31.

Center for Universal Design Hom Page. <http://www.ncsu.edu/project/design-projects/udi/>[cited 2012. 2. 18].

32.

DO-IT Program을 통해 제작된 도서관 서비스 비디오(Equal Access: Campus Libraries).<mms://media-wm.cac.washington.edu/dwproddpt/1/43/19/199776b0-c46a-4093-ac68-9e87b09ff625.wmv> [cited 2012. 2. 17].

33.

Fujio Shinozuka. “Barrier-free and Universal Desig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Library services for users with disabilities among universities in Japan.” The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sociation, Vol.50, No.3(Mar. 2000), pp.124-131.

34.

IFLA/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1994. <http://archive.ifla.org/VII/s8/unesco/eng.htm> [cited 2012. 3. 8].

35.

Parker, Katie. “Meeting the Learning and Information Needs of All Students: Universal Design for School Libraries.” Educators' Spotlight Digest, Vol.2, No.3(Fall. 2007).

36.

Sekine Chika. “Universal Design at Library Service.” The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sociation, Vol.59, No.8(Aug. 2009), pp.372-37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