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조선시대 長興의 邑誌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epji(town chronicles)of Jangheung in the Chosun Dynast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3, v.44 no.3, pp.429-446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429
안현주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조선시대 전남지방의 읍지편찬활동을 파악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長興의 읍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전남의 다른 지역의 읍지편찬 연구를 체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존하는 장흥의 읍지를 조사하여 체계화하였으며, 개별 읍지의 내용과 체재를 살펴서 장흥에서 편찬된 읍지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영조조부터 1910년까지 10종의 읍지가 현존하였고, 고종조에서 편찬한 읍지가 4종이었다. 읍지의 체제는 "新增東國輿地勝覽"의 항목을 기본으로 하고 추가항목을 더하여 기술하고 있다. 장흥읍지의 특성은 1) 각 坊중심으로 기술한 읍지가 3종 있는데, 人物항목에서 그들의 공동체 의식과 성리학적 교화사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2) 軍事항목 중심의 읍지가 2종이 있는데, 당시 水軍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장흥의 군사적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3) 官撰邑誌가 4종 있는데, 읍지의 내용과 체재가 영조조와 고종조의 시대상을 반영하였다. 또한 "함주지", "김해읍지"와 비교한 결과 "장흥읍지"는 지리적 요건 상 국방의 요충지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다.

keywords
읍지, 장흥, 함주지, 김해읍지, Uepji, Jangheung, Hamju-Chi, Kimhae-Uepji

Abstract

As a pioneer study to figure out the compilation of Uepji(town chronicles) of Chunnam region in the Chosun Dynasty, it is analyzed the Uepji of Jangheung. It could help systemize the study of the compilation of Uepji about other town in Chunnam reg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exisisting Uepji of Jangheung and actual reviewing of books,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explored systematically. As the result, there were 10 kinds of Uepji which were compiled from the period of King Youngjo to 1910. The system of Uepji was based upon “the new version of Dongkukyeochiseungram" and was added up new items. Characteristics of Uepji of Jangheung are : 1) There were 3 titles of Uepji which were described by focusing on each county(坊), specially ‘Inmul(personage)' shows their strong community spirit and enlightening by neo-Confucianism. 2) There were 2 titles of Uepji which were described by focusing on the military, we can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ilitary and circumstantial intelligence. 3) There were 4 titles of Uepji which were compiled by government, they reflect the spirit of age. Also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other town chronicles like "Hamju-Chi", "Kimhae-Uepji", it shows Jangheung was the one of major military town.

keywords
읍지, 장흥, 함주지, 김해읍지, Uepji, Jangheung, Hamju-Chi, Kimhae-Uepji

참고문헌

1.

『朝鮮王朝實錄』

2.

『寒岡集』

3.

여지도서 전라도 Ⅲ. 변주승 역주. 전주: 디자인흐름, 2009.

4.

이상구. 장흥 지리지ㆍ읍지모음. 광주: 장흥문화원, 1992.

5.

이해준. 조선시기 촌락사회사. 민족문화사, 1996.

6.

한국인문과학원. 韓國近代邑誌. 권14. 서울: 한국인문과학원, 1991.

7.

김전배. “朝鮮王朝의 邑誌硏究.” 한국비블리아, 제2집(1974), pp.211-308.

8.

안현주. “조선후기 전남지역의 출판문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지, 제43집, 제3호 (2012, 9), pp.407-432.

9.

양보경. “조선시대 읍지의 체재와 특징.” 강남대학교 인문대학논집, 제4집(1997. 12), p.203-225.

10.

양보경. 朝鮮時代 邑誌의 性格과 地理的 認識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11.

임지환. “전북지방사 자료의 연구(1) ; 전북지역 읍지에 관한 연구.” 全羅文化論叢, 3호(1989), pp.112-135.

12.

정대영. “1899년 全國邑誌上送令과 읍지편찬 연구.” 書誌學報, 제38호(2011), pp.77-113.

13.

조원래. “순천부사 이수광의 『昇平志』.” 남도문화연구, 제5호(1997), pp.307-323.

14.

최윤진. “16, 17세기에 편찬된 慶尙道의 私撰 邑誌.” 전북사학, 17호(1994), pp.19-5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