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운영되는 방학독서교실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방학 중 독서교실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100개의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로부터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1)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지의 여부, 2) 독서교실 운영의 목적, 3) 독서교실 참여 대상, 4) 독서교실 운영을 위해 참여하는 사람, 5) 독서교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 등이다. 분석 결과,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운영하였고, 운영 목적은 학생들의 독서흥미를 고취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근거하여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다섯 가지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학교도서관의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determine a systematic operating method for analyzing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s in school library systems and, thereby, suggesting ways of operating a reading guidance program both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nalyses of questionnaires going out to hundred of school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e will be performed for this purpose. Specifically, the study will analyze the following 1) the current operation status of each program, 2) their initial purposes and focus, 3) targeted children groups, 4) program instructors, and 5) the actual content design of the programs. As a result, the vast majority of the school libraries operation of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 and purpose of inspire of reading interest.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5 directions to support operation of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 in School Libr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likely suggest the need to re-align or shift current vacation reading guidance programs to be more inclusive for all participants.
경기도교육청. 2014. 2013년 학교도서관 통계자료. 수원: 경기도교육청.
곽선희. 2010. 초등학교 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교육부. 2014. 2013 교육통계연보. 세종: 교육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4. 2013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연차보고서.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3. 2013년 독서교실현황보고자료.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2006. 국립중앙도서관 60년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김성준. 2013.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1): 73-97.
김수경. 2007.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방안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1): 61-93.
김윤주. 2011. 학교 도서관 활용을 통한 독서지도 방안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정은. 2012. ‘독서교실’이 학생의 읽기 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도유미. 2005. 독서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학교도서관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화체육관광부. 2014. 2013년 국민독서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박윤정. 2010. 방학 중 독서교실 운영실태 및 저해요인 연구 : 안양․과천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을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법제처 <http://www.moleg.go.kr> [인용 2014. 12. 10].
서울특별시교육청. 2001. 학교도서관 길라잡이.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염보영. 2013.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통합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윤은혜. 2009. 독서실태분석을 통한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지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임성관. 2003. 방학 중 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계획 및 효과 분석 연구 : 2002학년도 고천초등학교 사그내도서실의 독서교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독서문화연구, 2: 81-96.
정진수. 2014. 애독 장려를 위한 공공도서관 방학독서교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4개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195-214.
최영주. 2010. 교과과정과 연계한 학교도서관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독서학회. 2003. 21세기 사회와 독서지도. 서울: 박이정.
황금숙. 2001.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2): 75-92.
IFLA/UNESCO. 2002. School Library Guide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