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책 읽어주기가 초등학생들의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ading Aloud on the Reading Attitude and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5, v.46 no.2, pp.1-27
https://doi.org/10.16981/kliss.46.2.201506.1
박주현 (광주광역시교육청)
이명규 (전남대학교)
박경희 (어린이도서연구회 동화동무씨동무 운영지원팀장)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교 3~5학년 학생의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7개의 시・도, 10개의 초등학교에서 10개의 모둠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고, 참여 학교의 특정학년의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학생에게 주1회, 60분씩, 총13회에 걸쳐 모둠별로 선정한 5권의 책을읽어주었고 그 효과를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 검사 도구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책 읽어주기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독서태도와 독서태도의 하위 영역인 인지, 행동, 정서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책 읽어주기 활동은 초등학생들의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나 사회적 자아존중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책 읽어주기 활동은 초등학생의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등학생들에게 책 읽어주기와 같은 즐거운 독서 경험을 제공하는 독서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독자, 책 읽어주기, 독서태도, 독서태도 검사도구, 자아존중감, Readers, Read aoud, Reading attitude, Reading attitude tools, Self-estee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reading aloud has good influence on students from 3rd to 5th grade to improve their reading attitude and self-esteem. For performing the study, the experiment group consists of children of 10 groups in 10 elementary schools from 7 regions, while the control group is made up the class of certain grade in participation school.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s are respectively read 5 books assigned from each group on total 13 times-for 60 minutes once a week. For measuring the reading attitude and self-esteem of students, we use modified questionnaires. The result in here statistically presents reading aloud activity have a meaningful effect to improve the overall reading attitude which includes subordinate areas such as awareness, behavior, emotional area of elementary students. Also, this activity gives elementary students the positive effect to develop their self-esteem, but it does not mean statistically except self-esteem of social-peers. As a result, the reading aloud activity provides the schoolchild with enjoyable reading experience.

keywords
독자, 책 읽어주기, 독서태도, 독서태도 검사도구, 자아존중감, Readers, Read aoud, Reading attitude, Reading attitude tools, Self-esteem

참고문헌

1.

곽길여. 2011. 지역아동센터에서 교사의 책읽어주기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독서태도에 미치는영향 . 석사학위논문,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

공정자. 2014. 공공도서관에서의 책 읽어주기 활성화 방안. 디지틀 도서관 , 73: 15-28.

3.

김경숙. 2008.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을 통한 독서지도 효과 연구 . 석사학위논문, 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4.

김동숙. 2003. 교사의 동화 읽어주기가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읽기 태도와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5.

김선영. 2006. 책 읽어주기 활동이 독서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순영, 곽재원. 2014. 방과 후 초등학생의 체육활동 참여 동기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력이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 53(1): 105-116.

7.

김연경. 2007. 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8.

김영애. 2009. 책 읽어주기 활동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9.

대한출판문화협회. 2014. 2013년 출판통계. 대한출판문화협회 홈페이지 <http://www.kpa21.or.kr> [인용 2015. 1. 13].

10.

박경묵, 서순영. 2007. 독서지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학연구 , 14(2): 39-57.

11.

변우열. 2012. 독서태도 모형 분석을 통한 독서태도 조사 설문 내용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3(4): 139-159.

12.

보건복지부. 2014. 초보 아빠를 위한 육아 가이드 . 세종: 보건복지부.

13.

신헌재 등. 1993. 독서교육의 이론과 방법 . 서울: 박이정.

14.

안인자. 2009. 국내 어린이 권장도서목록 개발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0(40):31-49.

15.

윤준채. 2007. 독자의 정의적 영역 발달. 독서연구 , 17: 229-259.

16.

이금정. 2010. 책 읽어주기를 활용한 반응 중심 토의 프로그램이 아동의 문학 감상 능력과 독서태도에 미치는 효과 .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17.

이성영. 2009. 읽기 교육에서 태도의 문제 : 읽기 태도의 교육 가능성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 21:285-318.

18.

이연옥. 2011. 초등학교 학생들의 독서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2(3):293-307.

19.

임미성. 2012. 아동독자의 읽기 전략과 태도 발달에 관한 연구 .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

장령령, 홍현진. 2014. 학술지 중요도와 키워드 순서를 고려한 단어동시출현 분석을 이용한 독서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5(1): 295-318.

21.

장지숙. 2004. 어린이도서 서평매체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8(2): 213-238.

22.

정미라. 2014. 교사의 책 읽어주기를 통한 독서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 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3.

정옥년. 2007. 독서의 정의적 영역과 독자 발달. 독서연구 , 17: 139-178.

24.

정혜승. 2006a. 읽기 태도의 개념과 성격. 독서연구 , 16: 383-405.

25.

정혜승. 2006b. 읽기 태도 구인과 검사 도구의 요건. 국어교육연구 , 27: 467-492.

26.

정혜승. 2007. 읽기 태도 평가를 위한 점검표(checklists) 개발 연구: 학생과 교사의 읽기 태도에대한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 33: 271-291.

27.

정혜승, 서수현. 2011.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 , 134: 353-382.

28.

지윤정. 2012. 책 읽어주기 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9.

최보가, 전귀연. 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I). 대한가정학회지 , 31(2): 41-54.

30.

하수진, 정연옥. 2008. 자연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1(3): 223-240.

31.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교육심리학용어사전 . 서울: 학지사.

32.

한국출판연구소. 2013. 2013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 .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33.

한지효. 2006. 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독서 태도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34.

한철우. 2011. 거시적 독서지도 . 서울: 역락.

35.

Allport, G. W. 1954.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odern social Psychology.” In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edited by G. Lindzey. 1st ed. MA Addison-Wesley, 3-55.

36.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14. “Policy Statement: Literacy Promotion: An Essential Component of Primary Care Pediatric Practic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34(2): 1-6.

37.

Bloome, D. 1985. “Reading as Social Process.” Journal of Language Arts, 62(2):134-142.

38.

Cerny. R., P. Markey, and A. Williams. 2006. Outstanding Library Service to Children:Putting the Core Competencies to Work.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39.

Cork City Council Home Page. <http://www.corkcitylibraries.ie/documents/ collections_access.pdf> [cited 2015. 1. 5].

40.

Heathington, B. S. 1975. The Development of Scales to Measure Attitudes toward Reading. Ph. D. diss., Tennessee University, U. S.

41.

Iowa Library Service Districts Home Page. <http://www.ilsa.lib.ia.us/readadvice.htm>[cited 2015. 1. 5].

42.

Maslow, Abraham H.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Journal of Psychological Review, 50: 370-396.

43.

Mathewson, G. C. 1994. “Model of Attitude Influence upon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In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 of Reading. edited by R. B. Ruddell, M. R. Ruddell, H. Singer. 4th ed. Delawar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131-1161.

44.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1984. Becoming a Nation of Readers: The Report of the Commission on Reading. Washington: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45.

OECD PISA Home Page. <http://www.oecd.org/pisa/aboutpisa/> [cited 2015. 11. 2].

46.

Erwin, Phil. 2001. Attitudes and Persuation. New York: Psychology Focus.

47.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s Books.

48.

Scholastic. 2014. Kids & Family Reading Report. 5th ed. New York: Scholastic.

49.

Trelease, Jim. 1982. The Read-Aloud Handbook. New York: Penguin Book.

50.

Tullock-Rhody, R. and Alexander, J. E. 1980. “A Scale for Assessing Attitudes toward Reading i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Reading, 23(7): 609-614.

51.

Vygotsky, L. S. and Michael Cole.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