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이동도서관의 인력, 차량, 장서 등 서비스 인프라를 중심으로 전반적 운영실태를 조사하여그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8개의 외국 이동도서관 관련 기준 및 지침들을활용하여 이동도서관의 기본 정보, 이동도서관 직원, 이동도서관 차량, 이동도서관 장서, 정보통신기술 등 서비스 인프라에대한 설문조사를 개발하고, 전국 77개의 공공도서관 소속 이동도서관과 새마을 이동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 이동도서관의 인력, 차량, 장서 등 서비스 인프라는 많은 항목에서 각국의 이동도서관 기준과 지침에부합하지 않는 상황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동도서관은 움직이는 또 하나의 분관이라는 인식 하에 인력, 차량, 장서 등 이동도서관의 서비스 인프라를 혁신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이동도서관 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하며, 이동도서관을경제적 관점에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정보복지적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bookmobile services in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human resources, vehicles, and collections. To do this, a questionnaire that contained questions on basic information, human resources, vehicles,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8 standards and guidelines related to bookmobile services and 77 bookmobiles belonging to public libraries and Saemaul bookmobiles were surveyed. As a result, many parts of human resources, vehicles, and collections of bookmobiles in Korea were inadequate to standards and guidelines related to bookmobile services. At the end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improving bookmobile services in Korea. First, the human resources, vehicles, and collections of bookmobiles need to be innovated. Second, national policies for bookmobile services need to be reinforced. Third, perspectives on bookmobile need to be modified from economic approach to information welfare approach.
김영신. 2000. 이동도서관의 이용행태 연구-대전지역의 이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4(3): 5-23.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9-2013) .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5.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2015년도 시행계획 .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이진영. 1995. 서울시 새마을 이동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도서관 , 50(1): 24-37.
임윤철. 1986. 공공도서관의 이동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도서관연구 , 3: 73-87.
전해황. 1994. 지역사회 문화발전을 위한 새마을 이동도서관의 육성방안: 대전직할시 새마을 이동도서관 이용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개발학술지 , 4: 123-159.
조용완. 2012. 이동도서관 서비스 기준 및 지침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6(3):203-231.
조재순. 2004. 이동도서관(book mobile)의 효시. 도서관계 , 14(8): 26-28.
최은주, 박종범. 2005. 이동도서관 이용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인문논총 , 13:29-160.
한국도서관협회. 2011. 한국도서관연감 2011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황인담. 2002. 대구지역 이동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Association of Bookmobile and Outreach Services. 2008. Association of Bookmobile and Outreach Services Guidelines. [online]. [cited 2014. 1. 21]. <http://www.abos outreach.org/2008BookmobileGuidelines.pdf>.
IFLA. 2010. Mobile Library Guidelines. Hague: IFLA Headquarters.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of New Zealand Aotearoa. 2004. Mobile Library Services (in Standard for New Zealand Public Libraries). Wellington: LIANZA.
Library Council of New South Wales. 2011. Mobile Libraries (in Living Learning Libraries: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NSW Public Libraries(3rd ed.)). Sydney: Library Council of New South Wales.
State Library of Queensland. 2009. Mobile libraries standard, Queensland Public Library Standards and Guidelines. [online]. [cited 2014. 1. 15]. < http://www.sl q.qld.gov.au/__data/assets/pdf_file/0003/146262/SLQ_-_Mobile_libraries_standard_June_2009.pdf>.
Subcommittee on Bookmobile Standard, Public Library Association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63. Standards of Quality for Bookmobile Service.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The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Association & the ALIA Public Libraries Advisory Committee. 2011. G.12 Mobile Libraries (in Beyond a Quality Service: Strengthening the Social Fabric.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Australian Public Libraries). Deakin: ALIA.
The State Library of Ohio. 1988. National Bookmobile Guidelines 1988. Columbus:The State Library of Oh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