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공공도서관 인문학 향연의 담론

The Discourses on the Humanities Banquet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6, v.47 no.1, pp.1-20
https://doi.org/10.16981/kliss.47.1.201603.1
윤희윤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한국에서 인문학은 최대 화두 중의 하나이다. 공공기관, 대학, 평생교육원, 문화센터, 매스컴, 박물관, 도서관 등에서 인문학 프로그램이 무차별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 가운데 공공도서관은 인문학 확산 및 대중화를 위한 베이스캠프임에도 불구하고 비판적 시각이 적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인문학 향연에 대한 담론을 이론적 및 실천적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전자는 학문적 본령, 지구촌의 거시적 및 미시적 담론, 사회경제적 파장, 정신문화적 진화의 측면에서 전개하였다. 후자는 정체성 측면에서 도서관 및 인문학의 공리와 본령, 사유적 관점에서 인문학 향연의 함정과 한계, 연계성 측면에서 각종 프로그램 및 인문학 향연의 역설과 딜레마, 대상적 측면에서 인문학 프로그램의 불편한 진실, 내용적 측면에서 인문학 향연의 약점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keywords
Public library, Humanities discourse, Humanities banquet, Humanities lecture, 공공도서관, 인문학 담론, 인문학 향연, 인문학 강좌

Abstract

Humanities is one of the largest buzzword in Korea. Humanities programs are being provided indiscriminately in public authorities, universitie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cultural centers, the media, museums, libraries etc. Among them, the public library is the base camp for spreading and popularizing the humanities. Nevertheless, there is also a critical views for the humanities program of public libr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iscourse of the humanities banquet in theoretical positions and practical aspects. The former discussed the humanities banquet in terms of academic axioms, global macro and micro discourse, social and economic wave, the spirit cultural evolution. The latter discussed the humanities banquet at the axiom and identity of the library and humanities, pitfalls and limitations in terms of reason, paradox and the dilemma on the linkage side, inconvenient truth at the destination aspect, weaknesses and challenges in the content aspect.

keywords
Public library, Humanities discourse, Humanities banquet, Humanities lecture, 공공도서관, 인문학 담론, 인문학 향연, 인문학 강좌

참고문헌

1.

김경집. 2015. 도서관은 지금 우리에게 무엇인가. 『오늘의 도서관』, 237: 2-3.

2.

김정화. 2015. 왜 인문학인가. 『남해타임즈』. 11월 11일. <http://www.nh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840> [인용 2015. 11. 5].

3.

문화체육관광부. 2014. 『2014 문화향수실태조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4.

박찬욱. 2013. 『인문학 융합의 현상진단 및 정책방향 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5.

보건복지부. 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6.

신승환. 2008. 서평: 인문학의 현재와 새로움을 위하여. 『신학과 철학』, 13: 285-292.

7.

신호주. 2014. 왜 인문학인가. 『파이낸셜 뉴스』. 10월 24일. <http://www.fnnews.com/news/201407291658510738> [인용 2015. 11. 5].

8.

우기동. 2013. 후마니타스칼리지 운영사례를 통한 평생학습 신모델 정책제안. 『서울시 평생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워크숍』. 5월 1일.

9.

유선미. 2010. 인간에 대한 근본적 이해 … 인문학에서‘길’찾다. Wealth Management. <http://www.wealthm.co.kr/wm_view/wmview.asp?idx=2636> [인용 2015. 11. 5].

10.

윤희윤. 2015.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1-20.

11.

이순녀. 2013. 인문학을 경제활성화 도구로 전락시켜 위기 심화. 『서울신문』. 9월 23일.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912022007> [인용 2015. 11. 5].

12.

이우환. 2014. 인문학, 너 누구니?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기조 강연』. 4월 30일. < http://www.sp ace-epy.kr/?mid=Photo_Gallary&document_srl=3141&listStyle=viewer> [인용2015. 11. 8].

13.

조운찬. 2015. 왜 사회가 인문학을 원하는가? <http://sidolkhan.tistory.com/m/post/163#>.[인용 2015. 11. 10].

14.

한국도서관협회. 2014. 『2014년 공공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운영 결과보고서』. 서울: 동협회.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