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의 측면에서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분류원칙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통합분류체계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록물 분류에 관한 선행연구 및 기관 사례분석을 실시하였고, 광주지역 5·18민주화운동 대표 기관 3곳에 소장 중인 자료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에 적합한 출처 기반 통합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이 분류체계는 ‘출처-자료-시기-매체-주제’ 형태의 패싯기반으로 제안하였고, 또한 아키비스트의 역할의 확장과 시대성을 반영한 컬렉션 기반 통합분류체계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lassification principle of archives for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in terms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it and to develop an integra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it. For this purpose, it was carried out by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classification of records and institutional case analysis. Also, we developed an integrated provenance-based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practical analysis on the data held in 3 representative institutions in Gwangju. This classification system was proposed by facets of 'provenance-material-period- media- subject' type. We also proposed the collection-based integrated classification system that reflects on the expansion of archivists’ role and the trend of times.
광주광역시. 2014.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자료정리 매뉴얼 . 광주: 광주광역시.
국가기록원. 2011. 영구기록물 기술규칙 (NAK/S 14:2011(v2.0)) . 대전: 국가기록원.
김솔아. 2013. 사할린 한인 관련 역사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방안 연구 .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김익한 등. 2015. 5·18 민중항쟁 기록물의 협력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 5·18기념재단.
남영준 등. 2012. 대통령기록물 주제별 분류 연구 . 성남: 대통령기록관.
박정옥, 이명규. 2013.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분류표 개발에 관한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 13(2): 5-42.
오재일, 이명규. 2002. 5·18 광주 민중항쟁 자료의 분류 및 활용방안. 민주주의와 인권 , 2(2):249-290.
이해영 등. 2013. 대통령기록물 주제 분류체계 고도화 사업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 세종: 대통령기록관.
전명혁, 김영경. 2001. 기록관(Archives) 건립과정에서 아키비스트의 역할에 관한 연구: 민주화 운동자료관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 3: 65-90.
정광훈, 남영준. 2013. 우리나라 대통령기록물의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7(1): 419-448.
정영란. 2003. 홀로코스트 기념관을 통해 본 주제기록관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조지영. 2010. 노동기록관 설립 방안 연구: 구로지역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기록물관리학전공.
한국기록관리학회 편. 2013. 기록관리론 (3판) . 성남: 아세아문화사.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 사전 . 고양: 역사비평사.
홍설아. 2014. 성적 소수자 아카이브 구축 모형 연구 .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기록관리학과.
Bastian, J. A. 2009. “Flower for Homestead: A Case Study in Archives and Collective Memory.” The American Archivist, 72(1): 113-132.
Wakimoto, D. K., Bruce, C., Partridge, H. 2013. “Archivist as Activist: Lessons from Three Queer Community Archives in California.” Archival Sciences. 13:293-316.
Wallace, D. A., Stuchell, L. 2011. “Understanding the 9/11 Commission Archive - Control, Access, and the Politics of Manipulation.” Archival science, 11:125-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