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정체성의 혼란과 극복방안

Confusion and Overcoming Plans of the Public Library Identity in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3, pp.1-20
https://doi.org/10.16981/kliss.48.3.201709.1
윤희윤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모든 공공도서관의 본질적 정체성은 당대 및 후대의 통시적 접근·이용을 보장하는 지식정보센터이다. 그럼에도 최근에 평생학습 산실, 문화활동 거점, 정보게이트웨이, 커뮤니티센터, 지방공공재, 정보공통체, 민주주의 요람, 제2의 거실 등으로 회자되면서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이 요동치고 있다. 이에 각종 관계법령, 지방행정기구, 정부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정체성 혼란의 실상과 증거를 제시한 후에 공공도서관 정체성 혼란의 극복방안을 제안하였다. 차제에 공공도서관이 지식정보센터를 기반으로 지역문화 향유·확산을 위한 베이스캠프로 정립되려면 집단주의, 귀속주의, 편의주의를 경계해야 한다.

keywords
공공도서관, 정체성 혼란, 문화기반시설, 평생학습시설, Public library, Library identity, Identity confusion, Cultural infrastructure facility, Lifelong learning facility

Abstract

The essential identity of public library is a lo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center that guarantees access and use of present generation and descendant. However recently the public library is being called with core space for lifelong learning, hub of cultural activities, information gateway, community center, local public goods, information commons, democracy cradle, the second living room, etc. The spectrum for the identity of the public library in Korea is not only very wide, but also is confused. The researcher who paid attention to such a reality analyzed laws and regulations, lo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national and official statistics related public library, and suggested evidences of the identity confusion. Based on this result, researcher proposed the principles and plans to get over the identity confusion of the public library.

keywords
공공도서관, 정체성 혼란, 문화기반시설, 평생학습시설, Public library, Library identity, Identity confusion, Cultural infrastructure facility, Lifelong learning facility

참고문헌

1.

교육부, 국가평생교육원. 2016. 평생교육통계자료집 . 서울: 교육부.

2.

김진화. 2011. 평생교육기관 분류체계 수립 연구 . 서울: 평생교육진흥원.

3.

김홍렬,조 현양. 2014.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행정조직의 분석적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5(3): 349-369.

4.

문화체육관광부. 2015. 공공도서관 행·재정체계 일원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서울 : 문화체육관광부.

5.

문화체육관광부. 2016a. 문화향수실태조사보고서 .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6.

문화체육관광부. 2016b.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7.

小比木 啓吾 訳. 1973. 自我同一性 . 東京: 誠信書房.

8.

鈴木 良雄. 2006. 公立図書館とアイデンティティ. 情報の科学と技術 , 56(2): 46-51.

9.

윤희윤. 2015.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6(4):1-20.

10.

周志宏政. 2府01與2公. 共事務碩士在職專班.我國縣(市)及鄉鎮(市)區公共圖書館隸屬, 輔導與營運之分析:中地理論之啟示 . 碩士學位 論文. 國立臺灣大學政治學系.

11.

최갑수. 2010. 서울대 정체성,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 한국사회과학 . 32: 115-153.

12.

한성일. 2015. 본질과 정체성. 철학 , 124: 73-96.

13.

Erikson, E.H. 1959. Psychological Issues: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4.

Erikson, E.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15.

Erikson, E.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16.

Erikson, E.H. 1959. Psychological Issues: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7.

Hansson, Joacim. 2010. Libraries and Identity: The Role of Institutional Self-image and Identity in the Emergence of New Types of Library. Oxford: Chandos Publishi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