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CollectiveAccess를 활용한 지역예술단체 디지털 아트 아카이브 구축 - J미술협회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Digital Art Archives Using CollectiveAccess for Local Arts Organization : A Case of J Art Associati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3, pp.303-331
https://doi.org/10.16981/kliss.48.3.201709.303
박준영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박지원 (전북대학교)
한희영 (전북대학교)
정지나 (전주대학교)
김용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지역예술단체는 공연, 전시, 공모전, 축제 등 지역 내 다양한 행사를 주관하고 지역예술가의 정보 공유의 장, 신진예술가 발굴 및 지원 등 지역의 문화예술활동을 주도하며 오랫동안 지역 사회의 예술문화 발전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 지역예술단체 기록은 과거와 현재의 지역문화예술의 수준과 가치를 보여주는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기록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산된 지역예술단체의 기록은 이용자의 관심과 요구가 높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전시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개소프트웨어인 CollectiveAccess를 기반으로 지역예술단체 디지털 아트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지역예술단체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전시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공개소프트웨어, 오픈소스소프트웨어, CollectiveAccess, 지역예술단체, 디지털아트아카이브, Open software, Open-source software, CollectiveAccess, Local arts organization, Digital arts archive

Abstract

Local Arts Organization has performed various events in the provinces such as performances, exhibitions, competitions, and festivals, has been a place where local artists share information of arts, and has contributed greately to the development of art culture in the provinces for a long time. Records of Local Arts Organization are historical records showing the level and value of past and present local cultural arts, so systematic management and preservation is necessary. Also, since the records of Local Arts Organization are high in interest and demand of users, exhibition services are needed to show them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shows how to construct a Local Arts Organization based on CollectiveAccess, which is open software, to manage Local Arts Organization and provide exhibition services.

keywords
공개소프트웨어, 오픈소스소프트웨어, CollectiveAccess, 지역예술단체, 디지털아트아카이브, Open software, Open-source software, CollectiveAccess, Local arts organization, Digital arts archive

참고문헌

1.

김달진. 2012. 한국 미술아카이브의 분포 상황 및 수집 여건과 과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 24: 241-282.

2.

김이경. 2011. 예술기록관리 현황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

뮤움 현대미술아카이브. <http://www.mu-um.com/> [인용 2017. 7. 6].

4.

박상애, 김기영. 2016. 디지털 아트 아카이브 품질평가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2016년 8월 25일, 서울: 연세대학교, 63-66.

5.

박태연, 신동희. 2016.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평가.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16(1): 121-150.

6.

방기영, 김건, 황창주, 김용. 2016. 축제기록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공개용 소프트웨어 비교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33(3): 31-61.

7.

설문원. 2011. 예술기록의 분류와 정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11(2): 217-247.

8.

설문원, 최이랑, 김슬기. 2014. 오픈소스를 활용한 사건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14(4): 7-36.

9.

송정숙, 허정숙, 이린. 2014. 오픈소스를 이용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14(3): 127-151.

10.

오동욱. 2013. 지역 문화예술 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공연 분야를 중심으로. 대구경북연구 , 12(1): 99-112.

11.

이보람, 황진현, 박민영, 김형희, 최동운, 최윤진, 임진희. 2014. 공개 소트웨어를 이용한 기록시스템 구축가능성 연구. 기록학연구 , 39: 193-228.

12.

양효석. 2004. 지역문화예술인 육성과 충북의 대응. 충북학 , 6: 31-52.

13.

정공주, 박주석. 2014. 시각예술 작가 기록물 수집전략 및 기록정보 관리 연구. 기록학연구 , 40: 61-93.

14.

정명주. 2006. 아트아카이브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15.

정선기. 2010. 지역예술단체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 지원 방안 . 대전: 대전발전연구원.

16.

정지훈. 2014. 기록관리 대중화를 위한 오픈소스소프트웨어. 한국기록관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14년 10월 17-18일, 대전: 한남대학교, 147-152.

17.

정혜린, 김익한. 2009. 미술 아카이브의 미술기록관리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 20: 151-212.

18.

정혜지. 2016. 미국 9·11 메모리얼의 재난기록물 수집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과.

19.

최윤진, 최동운, 김형희, 임진희. 2014. 공개 소트웨어 OMEKA를 이용한 기록 웹 전시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 42: 135-183.

20.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http://www.daarts.or.kr/> [인용 2017. 7. 6].

21.

황동열. 2012. 문화·예술아카이브의 효율적 운영방안, 기록인 , 18: 22-27.

22.

AtoM. <https://www.accesstomemory.org/ko/> [인용 2017. 7. 6].

23.

CollectiveAccess. <collectiveaccess.org> [인용 2017. 7. 6].

24.

New Museum Digital Archive. <http://archive.newmuseum.org/> [인용 2017. 7. 6].

25.

OMEKA. <omeka.org> [인용 2017. 7. 6].

26.

The BAM Hamm Archives. <http://levyarchive.bam.org/> [인용 2017. 7. 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