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개발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 특성을 조사하여 향후 독서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어, 수학, 영어, 통합과학, 통합사회 주요 교과를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였고, 읽기자료의 분석 기준은 주제 유형, 목적, 학생 활동이었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교과서에는 인간, 자유, 문화, 환경, 지구 등 다양한 주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개념과 연관되어 제시되고 있었다. 특히 국어교과는 한단원에만 ‘한 학기에 한권의 책 읽기’라는 단원이 신설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읽기자료가 효과적인 독서 전략이나 독서 방향에 대한 안내가 없으며, 읽기자료의 양이 부족하고 확장적 독서를 위한 자료나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학습 내용을 단순하게 보충하거나 개념 이해를 위한 단편적인 단서로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의 읽기자료 제시가 나열식으로 단순하게 전개되어 있으며, 읽기자료가 학생들의 독서 흥미, 독서의 내면화 그리고 독서 확장을 위한 도구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교과서의 확장을 위한 읽기자료의 보조 자료를 제안하고, 교과서 구성 측면과 수업 방법 측면에 대한 제안을 통해 교과서와 독서교육의 발전적 관계를 모색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reading educa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materials within the high school textbook developed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reading materials of high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in 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integrated science,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The analysis criteria of reading materials were subject type, purpose, and student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reading materials on various themes such as humanity, liberty, culture, environment, and district were presented in the integrated society and integrated science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composed of a unit called "reading one book in one semester" . However, most reading materials have no guidance on reading effective or reading direction, and lack of read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for extended reading. The reader's reading of the textbook was found to be simply supplementing the learning content of each unit or presenting fragmentary cues for conceptual purpose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students' interest in reading, internalization of reading, and extension of reading. In this paper, we suggest supplementary materials of reading materials for expanding the high school textbooks, and explore the developmental relationship between textbooks and reading education through suggestions on aspects of textbook composition and teaching methods.
고성은 외 6. 2017. 수학 . 서울: 좋은책신사고.
교육부. 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시안) . 세종시: 교육부.
교육부.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 [교육부 고시 제2015-71호 [별책 1]].
김창원 외 28. 2015a.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초안 검토를 위한 공청회 자료집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 자료 ORM 2015-56-2.
민찬규 외 7. 2017. 영어 . 서울: 지학사.
박병기 외 11. 2017. 통합사회 . 서울: 비상교육.
박창언. 2015. 교육과정 결정에서 정부와 교육과정 관련 기구의 역할에 대한 문제와 개선 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 33(4): 145-172.
소경희.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교육과정연구 , 33(1).
송진웅. 2014. 문‧이과 통합형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 세종시: 교육부.
이근호, 이병천, 가은아, 이주연, 김현숙. 2015. 국제비교를 통한 국가 교육과정 적용 체제 개선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5-6.
정대홍 외 11. 2017. 통합과학 . 서울: 금성출판사.
정민 외 28. 2017. 국어 . 서울: 해냄에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국어과 교육과정 .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창의재단.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Ⅱ-국어과 과정 .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