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공도서관이 설치․운영하는 일반열람실은 문화선진국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 한국적 특수성을 대변하는 공간이다. 그것이 지역주민을 위한 필수공간이라면 모든 공공도서관이 설치․운영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기존 공공도서관은 일반열람실의 축소 내지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신축도서관은 설치여부를 전략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열람실 운영현황 및 주요 쟁점을 분석한 후에 직원(사서)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일반열람실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비교하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지방공공재 논의의 중심적 테마인 일반열람실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에 단초를 제공하고 바람직한 대안을 강구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general or separate reading room in domestic public libraries is a space that represents Korea's unique characteristics that are rarely found in advanced cultural countries. If it is an indispensable space for residents of the community, all public libraries should install and operate it. Otherwise, the general reading room of existing public libraries should be reduced or improved and the new library needs strategic thinking about its install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sed the operation status and major issues of the general reading room, and then suggested the direction based on the survey and comparison of the recognition of the general reading room for the staff (librarian) and the users. The results can contribute not only to the ongoing debate on the general reading room, which is the central theme of discussion of local public goods, but also to find desirable alternatives.
고재민, 조현양, 고흥권. 2015. 도서관 소요공간에 따른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346-379.
김태승, 김은자. 2008. 도서관 이용자 행태에 따른 공공도서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311-328.
노명수. 2010. 공공도서관 일반열람실에 대한 고찰. 『디지틀 도서관』, 60: 17-35.
문화체육관광부. 2013.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2016. 『2016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윤희윤. 2014. 국내 공공도서관의 보편성과 특수성 담론.『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5-25.
임준범, 정사희. 2009. 지역공공도서관 이용자 요구에 따른 공간구성 방향에 관한 연구.『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8: 85-92.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