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출판 플랫폼으로서의 도서관 - 독립출판을 통해 바라본 출판과 도서관의 상생 -

A Library As a Publishing Platform - on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libraries and publisher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4, pp.21-51
https://doi.org/10.16981/kliss.49.4.201812.21
정준민 (전남대학교)

초록

출판 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그 활로로 도서관을 상정하였다. 그러나 도서관이 단순히 독서문화진흥의 촉매로서 출판 산업을 부흥시킬 수 없음을 전제하였다. 차라리 독자가 중심이 되고 도서관을 생산기지로 하는 독자들의 적극적인 생산과 수요를 출판이 수용함으로써 출판콘텐츠의 확대 재생산 체제를 출판 진흥의 모델로 제시하였다. 그 과정에 도서관/출판 협업 (협동조합) 형태의 독립출판 플랫폼을 설계하였고 그 유통과 재생산 모형을 제안하였다.

keywords
Independent publishing, Cooperative union, Publishing platform, Reading culture, 독립출판, 협동조합, 출판 플랫폼, 독서문화

Abstract

In the midst of the crisis in the publishing industry, the library was brought up as a facilitator. However, the premise is that libraries cannot revive the publishing industry simply as a catalyst for promoting reading culture. Rather, the publishing industry presented an expanded and regenerative system of publishing contents as a model for the promotion of publishing by embracing the active production and demand of readers based on libraries. In that process, we designed an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in the form of library/publishing collaboration (cooperation) and proposed a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model.

keywords
Independent publishing, Cooperative union, Publishing platform, Reading culture, 독립출판, 협동조합, 출판 플랫폼, 독서문화

참고문헌

1.

(사)한국협동조합연구소. 2012. 신규협동조합유형의운영모델에관한연구 . 기획재정부연구용역, 262p.

2.

2018 책의해조직위원회, 편. 2018. 읽는사람, 읽지않는사람 . <책생태계비전포럼(제7차)> 72p.

3.

곽미란, 임춘성. 2016.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평가체계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2016.11: 1093-1132.

4.

구모니카. 2011. 읽기/쓰기 문화의 변천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의 부상(浮上).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 12(3): 371-382.

5.

김기태. 2010.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을 위한 . , 36(1): ‘출판’의재개념화연구 한국출판학연구 217-262.

6.

김선남, 강혜영. 2007. 대학생의 독서태도와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 36:217-240.

7.

김선남. 2012. 독서문화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전문가 집단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 51 : 417-444.

8.

김수경. 2006. 독서의 본질과 독서 프로그램 운영.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7(3): 235-263.

9.

김숙. 2015. 플랫폼 과잉의 시대, EBS 콘텐츠 유통 전략에 대한 소고. 미디어와 교육 , 5(1):37-43.

10.

김앵아, 강현주. 2010. 디자이너의 스몰 퍼블리싱 문화 소비 패턴에 미치는 영향.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23(4): 105-114.

11.

김영빈. 2015. 사회적 협동조합 [용어풀이]. 국토(Planning & Policy; [국토연구원]) 2015. 11: 47.

12.

김주엽. 2018. [인터뷰]독립출판 작가되기 프로젝트. 경인일보 2018.11.16.

13.

나윤빈, 권혁인, 이승아. 2014. 전자책 발달에 따른 수용자와 독서행위의 개념적 변화 연구. 인문콘텐츠 , 35: 75-93.

14.

미래출판전략연구소, 편. 2015. 독자의 도서발견 채널과 국내외 책의 발견성 강화 동향 연구 조사보고서 . 서울: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327p.

15.

백원근. 2011. 출판계와 도서관의 공생을 위한 자료구입. 국회도서관보 , 48(5): 17-23.

16.

송원찬, 이건웅. 2012. 출판콘텐츠 개념 연구. 전자출판연구 , 1 : 65-77.

17.

오선경. 2015. 독서문화생태계조성의주요거점으로서, 지역서점활성화방안연구– 국내・국외성공 사례에 기초하여. 문화콘텐츠연구 , 5: 101-133.

18.

우치루마 산타로 저, 문희연 역. 2016. 책의 역습 – 책의 미래는 밝다. 동경: 하루.

19.

윤희윤. 2005. 도서관계와 출판계의 전략적 제휴방안 모색.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9(4):139-161.

20.

이건웅, 고민정. 2018. 독립출판의 개념과 사례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 44(3): 101-135.

21.

이권우. 2004. 불황과 시장 논리, 그러나 출판 생태계는 쉽게 깨지지 않으리라. 월간 문화예술 ,2004.12: 74-77.

22.

이만수. 2003.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4(4):105-125.

23.

이문학. 2013. 출판사와 도서관의 상생을 위한 협력방안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 39(2):105-137.

24.

이승주, 임주하. 2015. 독립출판서점, 오디너리북샵_나도책한번내볼까?. 월간샘터 2015.10:18-29.

25.

이정옥. 2003. 대중문학과 독자. 대중서사연구 , 9(2): 7-33.

26.

이정춘. 2000. ‘정보사회와 출판 패러다임의 변화’ 디지털시대, 한국출판변해야산다. In 제22회 출판포럼 대한출판문화협회․대한출판연구소.

27.

이종문. 2016.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운영 실태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7(2):81-94.

28.

임경용. 2011. 독립출판을 위한 소심한 변명. 월간 도미노 창간호

29.

정선아. 2010. 한국 자주출판에 대한 연구 – 2008-2010 년의 디자이너-제작 출판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 (2010.10.22.-23): 2 p.

30.

정일권, 조윤경, 채영길. 2014. 국내외독서진흥정책에대한평가와개선에관한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5(3): 169-190.

31.

장은수. 2016. 출판의 미래 서울: 오르트.

32.

정준민. 2014. 출판기능이 부여된 디지털도서관 Ⅱ - 하이브리드 디지털도서관의 모형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5: 109-128.

33.

조미아, 허정희. 2017. 지역독서문화센터로서학교도서관역할에관한지역주민과사서의인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8(2): 79-97.

34.

조부근. 2007. [칼럼] 출판과 도서관의 윈윈전략. 도서관문화 , 48(6): 2-3.

35.

조찬식. 2013.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성북구의 '원 북, 성북' 독서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7(2): 201-221.

36.

최창옥, 조영진, 강판상. 2013. 플랫폼의경제– 비즈니스를넘어사회전반으로확산. 이슈&진단 , 103 : 1-25.

37.

최하경. 2018. 독립출판의현재- <죽고싶지만떡볶이는먹고싶어>를보면서. 브런치<https://brunch.co.kr/@chran71/14>.

38.

콘텐츠비즈니스연구소. 2000. 콘텐츠비즈니스 아는 만큼 돈이 보인다 . 서울: 조선일보사.

39.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편. 2018. 2017년도하반기KPIPA 출판산업동향: 통계및심층분석 . 서울: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40.

한수진, 김상헌. 2017. 독립서점사례분석을토대로한복합문화공간으로써의지역서점활성화방안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하계학술대회 , 2017.6: 231-234.

41.

한주리. 2012. 미디어로서의 출판 산업의 변화와 미래 – 출판 산업에 대한 한중일 학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전자출판연구 , 1: 37-47.

42.

함창모. 2016. 공유경제의 이해와 대응. 충북 Issue & Trend , 24: 7-11.

43.

『협동조합 기본법』 법률 제 14053호[일부 개정] 공포일 2016. 03. 02 시행일 2016. 09. 03 (2012. 12. 1 제정).

44.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 27455호[일부 개정] 공포일 2016. 08. 29 시행일 2016. 09. 03.

45.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규칙』 기획재정부령 제 528호[일부 개정] 공포일 2015. 12. 30 시행일 2015. 12. 30.

46.

황금숙, 이수영, 김수경. 2014. 근로자독서문화프로그램 활성화방안에관한연구- 시흥스마트 허브단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5(2): 147-164.

47.

황금숙 외. 2016. 독서문화진흥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7(3): 289-314.

48.

Balas, Janet L. 2009. “Librarians Become Publishers”Computers in Libraries, 29(4): 29.

49.

Berkowitz, Drew Emanuel. 2012. “Framing the Future of Fanfiction”Journal of Media Literacy Education, 4: 198-212.

50.

Cyr, Chris. 2018. “Meet your guide for an Amazon journey: a librarian.” (http://www.oclc.org/blog/main/author/chris-cyr/)

51.

Dempsey, Lorcan and Walter Scott. 2014. “ [editorial] A Platform Publication for a Time of Accelerating Change” Computers in libraries, 75(6): 760-762.

52.

Fox, Armando and Patterson, David. 2015. “Do-It-Yourself Textbook Publishing ” Communication of the ACM, 58(2): 40-43.

53.

Kelly, Michael. 2014. “ Check it Out With Michael Kelley: E-books for Arizona Libraries” Publishers' Weekly 261, 22: 20-21.

54.

Mathews, Brian. 2013. “ Flip the Model Strategies for Creating and Delivering Value ”J. of Academic Librarianship, 40: 16-24.

55.

Milliot, Jim & Michael Goffey. 2010.“ Change in a hurry Self Publishing Comes of Age ” Publishers Weekly Dec, 20: 1-2.

56.

Pack, Thomas. 2001. “ Content Sites Renew Subscription Models ”EContent, 24(4): 9-10.

57.

Patterson, Christina. 2012. “ How the great writers published themselves ”The Independ ent Aug 17 (https://www.independent.co.uk/arts-entertainment/books/features/how-the-great-writers-published-themselves-8053570.html)

58.

Pecoskie, Jen L. and Hill, Heather. 2015. “Beyond traditional publishing models”J. of Documentation, 71(3): 609-626.

59.

Scotch, Allison Winn. 2016. “How to Publish? Let Me Count the Ways”Publishers' Weekly 263, 32: 72.

60.

Selzer, Brian. 2015. “ Thriving Among Giants: Self-Publishing in the Digital Ag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5, 10: 1956.

61.

박송이. 2016. . “대형서점엔 없고 독립서점에 있는 것” 경향신문 2016.9.3. <ht t p: / /news . kha n . c o. kr / kh_ news / kha n _ a r t _ view. h tml?art_id=201609031818001>

62.

유, 아이작. 2018.“최적의퍼블리쉬플랫폼을선택하라”브런치 <https://brunch.co.kr/@isaacyouspace/56>.

63.

이중호. 2015. "출판 경영환경의 이해 (출판아카데미교육과정)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김석. 2015. “김석의 아동출판마케팅” <http://loveis1998.tistory.com/598>] 에서 재인용

64.

장은수. 2018a. “[문화마당] ‘책’이 없다”.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906030007>.

65.

장은수. 2018b. “ [문화마당] 무엇이 출판을 죽이는가 ”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1011030006>.

66.

장은수. 2018c. “[문화마당] 애독자,간헐적독자, 비독자”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111503000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