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서 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acher Libarians’ Efficac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2, pp.149-168
https://doi.org/10.16981/kliss.50.2.201906.149
강봉숙 (대구 다사고등학교)
송기호 (공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 교사가 지닌 효능감 특징을 분석하고, 효능감 강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도 K 대학 1급 사서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전국의 사서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 교사의 효능감은 평균 3.38점이며, 교수법 효능감(3.60점)이 높고, 집단 효능감(3.38점)과 개인 효능감(3.18점)은 낮게 나타났다. 사서 교사는 수업 운영, 불우 학생 지도 의지 및 문제 학생 지도 가능성 판단에 대한 개인 효능감과 동료 교사 및 학부모와의 갈등 관리에 대한 집단 효능감이 높았다. 반면에 문제 학생의 원인 분석과 지도, 어려운 내용 및 과목 지도에 대한 개인 효능감이 낮았다. 또 관리자 및 교육청과의 갈등에 대한 집단 효능감이 낮았다. 사서 교사들은 학생에 대한 교수법 방법 개선 노력에 대한 의지가 강하며, 학생 동기화와 교수 준비에 대해서 높은 효능감을 보였다. 그러나 학습 기술이 부족하고, 다양한 교수법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끼친 변인은 출신 학부, 학력, 근무학교 규모, 경력 등이며, 특히 학력이 높을수록 문제 학생 및 불우 학생 지도에 대한 자신감과 열정이 높고 교수법에 대한 자신감이 강했다. 또한, 동료 및 학부모와의 갈등 해결과 교수법에 대한 신뢰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서 교사 효능감 향상 방안으로 양성에서의 교직 이수 비율 확대, 임용 전 사서 교사 연수 제도 개선, 장학체계 확립 그리고 대학원 진학을 통한 전문성 향상 노력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Efficacy, Teacher librarian, Teacher librarian efficacy, Teacher efficacy, School library, 효능감, 사서 교사, 사서 교사 효능감, 교사 효능감, 학교도서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librarians’ efficacy and to propose some ways to enhance their efficacy. To do this, questionnaires on 30 teacher librarians who participated in the level 1 certification program of K university in 2018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ir average efficacy was 3.38, the efficacy of teaching method was 3.60, the collective efficacy was 3.38, and the personal efficacy was 3.18. They had high personal efficacy on classroom management, the willingness to lead poor students and the possibility of problem student guidance, and collective efficacy on conflict management with fellow teachers and parents. On the other hand, personal efficacy in problem analysis and guidance for problem students, difficult contents and course instruction were low. Also, the collective efficacy of the conflict between the manager and the education office was low. They have a strong willingness to impro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and showed high efficacy about student synchronization and preparation for teaching. However, they were aware of the lack of learning skills and the lack of various teaching methods.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efficacy were graduation, education level, school size, and degree. Especially,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more confident and enthusiastic about teaching problemmatic students and disadvantaged students. In addition, teacher librarians with high academic standards showed high confidence in conflict resolution with peers and parents and teaching methods. The improvement direction to enhance their efficacy in this study are increasing the ratio of teacher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reforming teacher librarians training before appointment, establishing supervision organizations for school libraries and improving their professionalism by going to graduate school.

keywords
Efficacy, Teacher librarian, Teacher librarian efficacy, Teacher efficacy, School library, 효능감, 사서 교사, 사서 교사 효능감, 교사 효능감, 학교도서관

참고문헌

1.

강영심, 황순영. 2005. 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 수준 및 영향 요인 분석. 특수교육학 연구, 40(1): 305-320.

2.

교육부. 2019. 제3차 학교도서관진흥계획. 세종: 교육부.

3.

교육부. 2019. 학교도서관 진흥 및 초·중등 독서·인문교육 내실화에 관한 연구. 공주: 공주대학교.

4.

법제처. [인용 2019. 4. 20.] <http://www.law.go.kr>

5.

김아영. 2012. 교사 전문성 핵심요인으로서의 교사 효능감. 교육심리연구, 26(1): 63-84.

6.

김아영, 김민정. 2002. 초등교사들의 교사 효능감과 학교 조직 풍토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6(3): 5-29.

7.

류윤석. 2008. 유치원 교사의 교사 효능감 수준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2: 43-62.

8.

목계연. 2015. 한국인 교사 효능감 측정 도구의 문항 개발. 44차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5년 10월 24일. 서울: 국민대학교, 81-94.

9.

송기호. 2010. 사서 교사의 허약한 직업적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317-337.

10.

이현주 등. 2011. 중등교사의 배경변인과 사회심리적 변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4): 95-124.

11.

임성택. 2011. 교사 효능감. 서울: 강현출판사.

12.

정은교, 안도희. 2018. 대학생의 진로통제소재 척도 타당화. 진로교육연구, 31(3): 63-82.

13.

주동벌. 2009. 교사 효능감의 개념, 측정, 효과,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동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1(4): 489-498.

14.

Ash-Argyle, Ruth and Snunith Shoham. 2012. “Librarians' Leadership Efficacy, Training, and School Involvement: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in Israel.” School Libraries Worldwide, 18(1), 1-17.

15.

Ash-Argyle, Ruth and Snunith Shoham. 2014. “Professional self-efficacy and role perception of school librarians and their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an evidence-based study.” Journal of Information Literacy, 8(2), 118-140.

16.

Australian School Library Association(ASLA). 2009. Statement on Resource Based Learning and the Curriculum. [cited 2019. 04. 17.] <http://www.asla.org.au/policy/resource-based-learning-curriculum.aspx>.

17.

Bandura, Albert and Nancy E. Adams. 1977. “Analysis of Self-Efficacy Theory of Behavioral Chang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287-310.

18.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hip(IASL). IASL Policy Statement on School Libraries. 2003. [cited 2019. 4. 20]. <http://www.iasl-online.org/about/handbook/policysl.html>

19.

IFLA and UNESCO. 1998. School Library Manifesto. [cited 2019. 4. 20]. <http://www.ifla.org/VII/s11/pubs/schoolmanif.htm>

20.

Klassen, Robert et al. 2011. “Teacher Efficacy Research 1998–2009: Signs of Progress or Unfulfilled Promise?” Educ Psychol Rev, 23, 21–43.

21.

Farwell, Sybil. 1998. “Successful Models for Collaborative Planning.” Knowledge Quest, 26(2), 24-30.

22.

Russell, Shayne. 2002. “Teachers and Librarians: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eacher Librarian, 29(5), 35-38.

23.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ited 2019. 4. 20]. <http://www.law.go.kr>

24.

Kurz, Terri B. and Stephanie L. Knight. 2004.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Goal Consensus.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7, 111–128.

25.

Ministry of Education. 2019. The 3rd School Library Promotion Plan.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6.

Ministry of Education and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9. A Study on Promotion of School Libraries and Improvement of Humanities Education & Reading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Kongju: Kongju National Universit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