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공동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Collaborative Research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2, pp.191-214
https://doi.org/10.16981/kliss.50.2.201906.191
이혜경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Yang, Kiduk (경북대학교)
김선욱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공동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6개 대학의 교수업적평가기준 중 공동연구기여도 부분과, 2000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 195명의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5,383편의 서지데이터와 키워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국내 대학의 교수연구업적평가기준에 따르면 저자는 공동연구에서의 역할과 관계없이 단독연구 보다 낮은 연구업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는다. 둘째. 국내외 논문 게재 추이로 현재 공동연구가 단독연구보다 많은 게재양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립대학 소속 저자가 국립대학 소속 저자보다 상대적으로 공동연구 비율이 낮았다. 넷째. 교수직급별 공동연구의 비율의 경우, 부교수가 상대적으로 타 교수 직급에 비해 공동연구 비율이 낮았다. 다섯째. 키워드 분석의 결과로, 국내 공동연구와 국내 연구자가 참여하여 국제학술지에 게재된 국외 공동연구 모두 사회 현상을 반영한 주제 및 신기술을 활용한 정보학관련주제가 두각을 나타냈다.

keywords
공동연구, 계량서지학, 연구업적평가, 네트워크분석, 키워드분석, VOS뷰어, Collaborative research, Bibliometrics, Network analysis, Keyword analysis, VOSviewer

Abstract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s of collabor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bibliometric data and keywords of 5,383 Journal papers by 195 Korean LIS professors from 2000 to 2017 as well as the author credit allocation formulas of 26 Korean university research evaluation criteria. Examination of university research evaluation criteria revealed co-authors’credit level to be generally much lower than that of single authors, which in turn reduces the relative value of collaborative research. As a result, recent journals publish more co-authored papers than single author paper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tudy also found collaborative research to be less prevalent in private universities than national universities and least prevalent in associate professors among professors. Furthermore, keyword analysis of study data revealed the emerging topics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to be those that reflect social phenomena as well as those that relate to information science employing new technologies.

keywords
공동연구, 계량서지학, 연구업적평가, 네트워크분석, 키워드분석, VOS뷰어, Collaborative research, Bibliometrics, Network analysis, Keyword analysis, VOSviewer

참고문헌

1.

김선욱, 이혜경, 양기덕. 2019. 국내 문헌정보학과 학술지 논문 동향 분석: 공동연구를 중심으로,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하계 학술대회, 5월, 205-211.

2.

김판준. 2015. 국외 독서 및 독서교육 연구동향 분석: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2(3): 69-97.

3.

박자현, 송민. 2013.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1): 7-32.

4.

박지홍, 허지영. 2017.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협업 패턴에 관한 연구-협업지수의 적용.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48(1): 191-206.

5.

서은경, 이원경, 박은경, 이옥성. 2015. 계량정보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최근 연구동향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3): 315-343.

6.

손정표. 2003. 한국의 문헌정보학분야 연구동향 분석 : 1957∼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3): 9-32.

7.

송정숙. 2010. 한국 문헌정보학의 연구현황 분석. - 2001년∼2010년 발행 석·박사 학위논문을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333-353.

8.

오세훈. 2005.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 및 인용문헌 분석을 통한 연구동향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6(3): 1-25.

9.

이용재, 김경덕. 2014. 한국 도서관경영 연구의 동향 – 2004∼2013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25-50.

10.

이혜경, 양기덕. 2017. 국내대학의 학술논문 연구업적평가기준 비교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2): 295-322.

11.

정진식. 2001. 한국문헌정보학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1996∼200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3), 58-78.

12.

최은주, 양기덕. 2018.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연구업적의 계량적 분석.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11(1): 55-86.

13.

최형욱, 최예진, 남소연. 2018. 문헌정보학 분야의 지적구조 및 연구 동향 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 2003부터 2017까지. 정보관리학회지, 35(2): 89-114.

14.

Cramton, Catherine Durnell 2001. “The Mutual Knowledge Problem and its Consequences in Dispersed Collaboration”, Organization Science 12(3), 346-371.

15.

Drott, M. C. 1995. “ Reexamining the role of conference papers in scholarly communic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of Technology, 46(4), 299-305.

16.

Hinds, Pamela, Diane Bailey 2003. “Out of Sight, Out of Sync: Understanding Conflict in Distributed Teams”, Organization Science 14(6), 615-632.

17.

Jonathon N. Cummings, Sara Kiesler. 2005. “Collaborative Research Across Disciplinary and Organizational Boundaries” Social Studies of Science, 35(5), 703-722.

18.

Kats J. S and Hicks D. 1997. “How much is a collaboration worth? a calibrated bibliometric model.” Scientometrics, 40(3), 541-554.

19.

Kats J. S and Martin B. R. 1997.“What is research collaboration?” Research Policy, 26(1), 1-18.

20.

Kim, Eungi. 2017. “Team Size Patterns of Korean and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2), 429-447.

21.

Lee, Jae Yun, Chung, EunKyung. 2014. “A Comparative Analysis on Multiple Authorship Counting for Author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57-77.

22.

Lee, J. and Yang K. 2015. “Co-authorship Credit Allocation Methods in the Assessment of Citation Impact of Chemistry Facul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49(3), 273-289.

23.

Lisee C., Lariviere V., and Archambault, E. 2008. “Conference proceeding as a source of Scientific information: A bibliometric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11), 1776-1784.

24.

Massimo Franceschet, Antonio Costantini. 2010. “The effect of scholar collaboration on impact and quality of academic papers.” Journal of Informetrics, 4(4), 540-553.

25.

Melin G. and Persson O. 1996. “Studying research collaboration using co-authorships.” Scientometrics, 36(3), 363-377.

26.

Sooho Lee, Barry Bozeman. 2005. “The Impact of Research Collaboration on Scientific Productivity.” Social Studies of Science, 35(5), 673-702.

27.

Subramanyam K. 1983. “Bibliometric studies of research collaboration: A review.”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6(1), 33-3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