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 공간에 대한 장애인 이용행태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Disabled’ Use Behavior and Needs towards the Library Spac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2, pp.25-42
https://doi.org/10.16981/kliss.50.2.201906.25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기능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장애인이 실제로 도서관 공간에서 느끼는 경험은 어떤지를 고찰하고, 장애인이 원하는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도서관 이용경험이 있는 시각·청각·지체 장애인 각 5명씩 총 15명의 피실험자를 선정하여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 공간에서의 장애인 이용자 경험은 장애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긍정보다는 부정적인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도서관 직원 및 비장애인의 잘못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경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도서관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장애유형별로 매우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였으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서비스 공간에 대해서는 현재의 도서관 공간 수준을 유지할 경우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keywords
도서관 공간,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유니버설 디자인, 통합 도서관서비스 이용공간, Library spac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Universal design, Integrated library service space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experiences that the disabled actually feel in the library space in the face of growing social demands for spatial functions in public libraries. This study also tried to determine the requirements for the space that disabled wanted. For the research, 15 subjects were selected for each of the five people who were blind, deaf, and handicapped with experience using the library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research. The study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the disabled in the library space differed by type of disability and generally more negative experiences were found than positive ones. Misperception about the disabled of library staff and the non-disabled wer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isabled's negative experience for library space. There were a wide variety of opinions on the requirements for library space and there were generally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current level of library space for the Integrated library service space.

keywords
도서관 공간,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유니버설 디자인, 통합 도서관서비스 이용공간, Library space,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Universal design, Integrated library service space

참고문헌

1.

강지혜, 차성종, 배경재. 2018.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장애유형별 이용자 핵심요구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9(1), 173-191.

2.

생활SOC 3개년 계획안 발표. 2019. 국무조정실 보도자료. 4월 15일.

3.

김환희, 박지홍. 2019. 서비스스케이프를 적용한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이 이용자 만족도와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관리학회지, 36(1), 31-52.

4.

문화체육관광부 대한민국정책브리핑 홈페이지. <http://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55556> [인용 2019. 4. 5].

5.

박성재. 2019. 스마트폰 무선신호를 이용한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공간이용행태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6(1), 295-313.

6.

배경재, 강지혜, 차성종. 2018.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 구성요소 요구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2), 245-262.

7.

지선, 장윤금. 2017.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4), 461-480.

8.

차성종, 배경재. 2019.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장애유형별 실증적 요구도 조사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0(1), 145-180.

9.

한정원. 2019. 국내 공공도서관의 공간디자인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8(1), 170-177.

10.

Lincoln, Y. S. and E. G. Guba.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