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도시재생 패러다임에서 사회적 앵커로서의 공공도서관 고찰 - 유휴자원 재활용을 통한 공공도서관 건립 사례 분석 -

Public Libraries as a Social Anchor in Urban Regeneration Paradigm - A Case Study of Constructing Public Libraries through Renovating Under-used Space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0, v.51 no.2, pp.133-157
https://doi.org/10.16981/kliss.51.2.202006.133
박성우 (광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 패러다임 하에서 공공도서관의 존재당위를 검증하는 것이다. 도시재생 패러다임의 맥락에서 도입된 생활SOC 정책에서 도서관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도서관은 사회적 앵커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앵커는 시공간에 제약된 장소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집합적 정체성을 형성해 사회자본의 형성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공공도서관은 사회자본의 생산을 지원하는 기관이지만 개방과 공유, 정보평등의 사명으로 인해 경계와 소속을 강조하는 집합적 정체성이 미약하다. 공공도서관의 집합적 정체성이 어떻게 강화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 패러다임 하에서 유휴자원 재활용 전략을 통해 공공도서관이 유휴자원의 장소정체성을 집합적 정체성으로 환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유휴자원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건립은 도시재생 패러다임에 입각한 사회적 앵커 형성 모델이다.

keywords
사회적 앵커, 사회자본, 집합적 정체성, 도시재생, 유휴자원, 리노베이션, 생활SOC, 공공도서관

Abstract

The study aims to prove the raison d'etre of public libraries in urban regeneration paradigm. Life SOC Plan is one of South Korea's urban regeneration policies. Public libraries are considered important in life SOC Plan because public libraries are "Social Anchors". Social Anchor is space-time-bounded place that accelerates diverse people's interactions. Social Anchor makes collective identity that supports production of social capital. Public libraries are institutions producing social capital but have weak collective identity because their missions(open, sharing, equality of information) don't allow boundaries and membership. The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to confirm how collective identity of public libraries strengthens. As a result, the study confirmed that renovating under-used space based on urban regeneration paradigm makes place identity of the under-used space to collective identity of public libraries. Thus, constructing public libraries by renovating under-used space is Social Anchor formation model based on urban regeneration paradigm.

keywords
사회적 앵커, 사회자본, 집합적 정체성, 도시재생, 유휴자원, 리노베이션, 생활SOC, 공공도서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