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륙별 국가주도형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주체와 내용 연구

A Study on the Main Body and Content of State-led Library Serv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Continent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0, v.51 no.3, pp.1-25
https://doi.org/10.16981/kliss.51.3.202009.1
윤희윤 (대구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유엔 산하의 전문기구인 세계보건기구(WHO)는 지구촌 장애인이 10억 명(또는 세계 인구의 15%)을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장애인의 지식정보 욕구는 비장애인과 동일함에도 세계시각장애인연합(World Blind Union)에 따르면 장애인이 접근할 수 있는 자료포맷은 선진국마저 연간 출판된 도서의 10% 미만으로 추산되고 있다. 어느 국가를 불문하고 장애인 정보접근성을 개선하려면 국가도서관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륙별로 장애인을 위한 국가도서관 및 전국 도서관서비스를 대표하는 미국의 의회도서관(Library of Congress), 스웨덴의 매체접근기구(Myndigheten fö Tillgägliga Medier), 일본의 국립국회도서관(NDL), 남아프리카공화국의 SALB(The South African Library for the Blind)를 대상으로 역사와 발전, 법적 근거와 조직, 주요 업무 및 자아앤서비스의 특징을 정밀 분석·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2019년 국립중앙도서관 소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 1차 소속기관으로 격상된 국립장애인도서관의 역량강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국가도서관, 국가도서관서비스, 시각장애인, 독서장애인

Abstrac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estimated that more than a billion people (or 15% of the world's population) lives with disabilities. They have the same information needs as non-disabled people. Nevertheless, as the World Blind Union estimated, less than 10% of published books are ever made into accessible formats in developed countries. The role of the national library should be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history and development, legal basis and organization, main functions and tasks, and service features for the disabled for the Library of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MTM(Myndigheten för Tillgängliga Medier) of Sweden, National Diet Library of Japan, and SALB (South African Library for the Blind) of Republic of South Africa representing the nationwide disability services by continent.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of Korea.

keywords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국가도서관, 국가도서관서비스, 시각장애인, 독서장애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