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대학도서관 사서의 근거기반실무 지식과 조직문화 인식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nowledge of Evidence Based Practi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Innovation Behavior of University Librarian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1, v.52 no.1, pp.129-154
https://doi.org/10.16981/kliss.52.1.202103.129
김갑선 (Faculty of Liberal Arts, Jungwon University)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가 지각하는 근거기반실무 지식과 조직문화 인식유형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거기반실무 지식은 조직문화 인식, 혁신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근거기반실무 지식이 높을수록 관계지향, 혁신지향, 업무지향의 조직문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거기반실무 지식은 연령, 교육 정도, 고용 유형, 직위, 학술지의 정기적 읽기, 학술대회 참여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혁신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연령과 학술대회 참가 여부 이었다. 근거기반실무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육정도, 학술지의 정기적 읽기로 나타났다. 혁신행위의 인식은 연령과 학회참석과 유의적 관계가 있었다. 대학도서관 사서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근거기반실무 지식, 혁신지향 조직문화, 위계지향 조직문화로 나타났다. 특히, 위계지향 조직문화 인식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혁신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소통과 협력의 혁신적 조직문화를 조성하며, 근거기반실무 적용을 위해 사서의 연구활용능력을 강화하고, 연구 관련 활동을 촉진하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원이 조직 및 도서관계 차원에서 필요하다.

keywords
근거기반실무, 근거기반실무 지식, 혁신행태, 조직문화, 대학도서관 사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knowledge of evidence-based practice (K-EBP)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innovation behavior of university librarians in South Korea. The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sections and 60 items. The four sections were concerned with K-EBP, organizational culture, innovation behavior, and EBP-related activities and demographic. The respondents were librarians working in 101 university librarie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K-EBP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had excellent practical skills, but their ability to appraise critically, apply knowledge and to conduct research was weak. Second, the questionnaire scores for K-EBP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ose for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behavior. Higher K-EBP scores corresponded to higher scores for relation-, innovation-, and task-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K-EBP outcomes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 group, education level, employment type, job title/seniority, reading of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attendance at conferences. Organizational culture differed significantly with age. Innovation differed significantly with both age and conference attendance. Fourth, in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predicting K-EBP scores were education level and reading academic journals. Fif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dentifying factors predicting innovation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ression coefficients for overall K-EBP and for innovation- and hierarchy-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perception of a hierarchy-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as negative. To promote innovation behavior of librarians, we need to foster an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characterized by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improve the ability of librarians to engage in EBP. Educational programs that promote librarian engagement in research-related activities are needed.

keywords
근거기반실무, 근거기반실무 지식, 혁신행태, 조직문화, 대학도서관 사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