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과 내용 체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1, v.52 no.1, pp.229-254
https://doi.org/10.16981/kliss.52.1.202103.229
박주현 (광주 수문초등학교 )
강봉숙 ( 청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병기 (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문헌정보교육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육의 정보활용교육에 포함될 내용을 구성하고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정보활용교육 교과서 3종과 2019-2020년에 개발한 '미디어와 정보 생활' 교과서 초안의 내용 체계 및 교과서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는 정보문제 해결과정 모형이 적용되었고 인쇄 및 디지털 미디어의 내용과 민주시민에게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도서관과 미디어의 종류를 계열성 있게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도서관·미디어·정보·독서 리터러시는 정보활용능력 교과 내용을 구성하는 주요한 학습 요소였다. 셋째, '미디어와 정보 생활' 교과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체계에 맞게 교과역량, 일반화된 지식,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정보활용능력 교과의 명칭 도출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keywords
정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활용역량 교육, 도서관, 민주시민, 국가 수준 교육과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which will b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and implications necessary for developing new textbooks. For this study, three types of previously developed textbook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were analyzed, and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and textbook structure of the draft version of the textbook 'Media and Information Life' developed in 2019-2020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extbook applied the inform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model and contained the contents of print, and digital media and the media literacy necessary for democratic citizens, but it was necessary to add the types of libraries and media in sequence. Second, library, media, information, and reading literacy were major learning elements that made up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Third, the "media and information life" textbook needed to present subject competencies, generalized knowledg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social discussion was needed to derive the name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keywords
정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활용역량 교육, 도서관, 민주시민, 국가 수준 교육과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