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466-2542
OA 논문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개별 연구자의 연구 성과 유통이 얼마나 개방적인지를 지수화하는 POI(Practical Openness Index)가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자들이 국제학술지에 출판한 논문을 대상으로 OA 여부와 방식을 조사하고 연구자 단위의 POI를 도출해 지수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자의 세부 연구 분야나 국제협력 활동이 개방성에 관련성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Unpaywall을 통해 정상적으로 OA 여부와 방식이 식별된 논문은 82명 연구자의 492건으로 나타났으며, 20.7%의 논문만이 공개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골드 OA 방식의 공개 논문은 의학 분야 저널에 수록된 텍스트마이닝 분야 논문이 많았으며, 그린 OA방식으로 공개된 논문은 외국인 공동저자 소속 기관의 리포지터리나 PMC와 같은 초국가적 주제 리포지터리에서 공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 POI 지수는 절반 가량의 연구자가 0으로 나타났으나, 계량정보학, 기계학습 및 지식처리 영역의 연구자들에게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구자의 해외공동연구 활동이 논문 공개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a situation where OA papers are increasing, POI, which indexes how open the research activities of individual researchers are, is drawing atten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istence of OA papers and the OA method published i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by domestic LIS researchers, and derived the researchers' POI based on this.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I index and the researcher's amount of research papers, the research sub field, and the foreign co-authors, it was analyzed whether these factors are relevant to the researcher's POI. As a result, there were 492 papers by 82 researchers whose OA status and method were normally identified through Unpaywall. Second, only 20.7% of paper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were open accessed, and almost cases were gold and green methods. Third, there were many papers in text mining in medical journals, and the papers opened in the green method are open in institutional repositories of foreign co-authors or transnational subject repositories such as PMC. Third, the POI index was relatively higher for researchers in the field of informetrics, machine learning than other field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overseas co-authors is related to 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