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연관성분석 기반 도서추천서비스의 이용자 만족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A Narrative Study on User Satisfaction of Book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Association Analysi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1, v.52 no.3, pp.287-311
https://doi.org/10.16981/kliss.52.3.202109.287
김성훈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노윤주 (경찰청)
김미령 (서울경찰청)

초록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도서를 찾는 일은 정보 이용자들에게 쉽지 않은 일이다. 도서관이 전통적인 서비스에서 벗어나 이용자 맞춤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용자 만족에 대한 질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연관성 분석 알고리즘인 Apriori를 적용하여 이용자 맞춤 도서추천을 시행하고, 피험자와의 면담을 통해 만족의 요인을 심층분석 하였다. 실험데이터는 서울시 S 전문도서관의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의 대출데이터 중 이용빈도가 높은 100명의 대출 데이터였고, 실험 대상은 심도있는 인터뷰 가능자였다. 연관성 분석 후 도서추천서비스 대상자의 면담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한 개념과 범주는 각각 개념 58개, 하위 범주 6개, 상위범주 2개였다. 상위 범주는 '독서'와 '도서 추천 서비스'로, '독서'범주에서 독서 동기에 관한 개념이 17개, 선호 도서에 관한 개념이 8개, 기대 효과에 대한 개념이 12개였다. 또 '독서추천 서비스' 범주에서 '반영 희망 요소' 10개, '반영 방법' 4개, '만족 요인' 9개로 나타났다.

keywords
도서추천, 연관성분석, 도서관 추천서비스, 만족요인

Abstract

It is not easy for information users to find books that are suitable for them in a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libraries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 services and provide user-tailored recommendation services, but there are few qualitative studies on user satisfaction so far. In this study, a user-customized book recommendation was performed by applying Apriori, a correlation analysis algorithm, and satisfaction factors were analyzed in depth through interviews. The experimental data was the loan data of 100 people who used the most frequently used loan data for 10 years from 2009 to 2019 of the S library in Seoul. The interviewees of the experiment were those who could be interviewed in depth. After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ncepts and categories derived by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were 59 concepts, 6 sub-categories, and 2 upper categories, respectively. The upper categories were 'reading' and 'book recommendation service'. In the 'reading' category, there were 16 concepts of motivation for reading, 8 concepts of preferred books, and 12 concepts of expected effects. Also, in the category of 'reading recommendation service', there were 10 'reflection factors', 4 'reflection methods', and 9 'satisfaction factors'.

keywords
도서추천, 연관성분석, 도서관 추천서비스, 만족요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