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작은도서관 평가지표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Small Librar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1, v.52 no.4, pp.309-330
https://doi.org/10.16981/kliss.52.4.202112.309
이보라 (송파위례도서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작은도서관의 활성화와 내실화를 위해 현행 작은도서관 실태조사 및 평가 결과 달성률 분석과 표적집단 인터뷰를 통하여 현행 평가지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현행 작은도서관 평가지표 문항을 검토하고, 시간 흐름에 따른 평가 점수와 항목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총 19,476개관의 실태조사 데이터를 조사하여 평가 영역별 달성률을 분석하였다. 또한, 작은도서관 관련 단체와 담당자를 전문가로 선정하고 표적집단 인터뷰를 진행하여 현행 평가지표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에 대한 논의와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도서관 평가는 외적인 환경 평가보다는 내적인 질적 서비스 위주의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체계적인 증빙이 가능한 지표를 설계하고, 용어의 모호성을 해소하기 위한 명확한 설명을 첨부해야 한다. 셋째, 공립작은도서관과 사립작은도서관의 평가 문항의 구분과 지방자체단체의 직접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넷째,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정성 평가 요소가 추가되어야 한다.

keywords
작은도서관, 평가체계, 평가지표, 달성률, 유효성

Abstract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evaluation indicators by analyzing the content and result of the current survey for evaluating a small library, based on the achievement rate of each index. To this end, questions, included in evaluation indices for the small library were reviewed, and survey data from a total of 19,476 libraries during the past 3 years from 2018 to 2020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evaluation scores, differences and achievement rates of each item. It was proposed to delete or add some indicators of the current evaluation category, and to raise supplementally the need for qualitative assesme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suggested. First of all, the evaluation of small libraries should focus on the quality of the services they provide rather than the library environment. Second, demonstrable systematic indicators should be designed and then clearly explained to resolve the ambiguity of the terms used. Third, for better analysi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evaluation item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mall libraries and the assessment process should be done by the local government. Lastly, qualitative evaluation items that can measure users' satisfaction should be added.

keywords
작은도서관, 평가체계, 평가지표, 달성률, 유효성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