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 제도 및 정책 분석 -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ystem, and Policie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2, v.53 no.3, pp.315-341
https://doi.org/https://doi.org/10.16981/kliss.53.3.202209.315
박주현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김지현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이명규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이지수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Hollister, Jonathan M.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이지원 (브라운 대학교 교육정책학 전공)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 제도와 정책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기능이 포함된 UNESCO, IFLA, EU, OECD가 발행한 문서를 검토하였으며 국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법령과 정책 및 유관 기관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제기구는 정규교육과정과 정규교육과정 밖에 있는 시민이 정보에 접근하고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으로 공공도서관을 인식하였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포함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에 대한 책무성이 있는 평생교육과 시민교육 기관으로 공공도서관을 활용하였다. 도서관법에는 국민의 알권리와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해 공공도서관과 사서에게 시민들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에 대한 책무성이 부여되어 있으나 국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정책에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사서의 역할은 축소되거나 배제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과 사서가 시민들의 정보 격차를 줄이며 시민역량으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책무성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keywords
디지털 리터러시, 평생교육, 시민교육, 정보 격차, 저작권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draw implicaitons from international and domestic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MIL) policies and educational systems. To this end, international policy documents issued by UNESCO, IFLA, OECD, and the EU as well as domestic South Korean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MIL and the fuctions of public libraries and related institutions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 tha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cognize public libraries as institu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information access and supporting knowledge sharing for citizens within and outside of formal education systems. Additionally, public libraries are seen as institutions responsible for supporting lifelong learning and civic education, as well as improving media,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y skills of their communities. In South Korea, the Library Act gives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responsibility for improving citizens' MIL to support the public's right to know and to narrow the information gap. However, the functions of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in South Korea have been limited or excluded in the domestic MIL policies. This study concludes that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are responsible for reducing the information gap among citizens and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policy development to improve citizens' MIL skills.

keywords
디지털 리터러시, 평생교육, 시민교육, 정보 격차, 저작권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