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국내 공공도서관 온라인 북큐레이션 서비스의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Online Book Curation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2, v.53 no.4, pp.189-209
https://doi.org/10.16981/kliss.53.4.202212.189
이수상 (부산대학교)
이태석 ((주)두드림시스템)
주소현 (부산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온라인 북큐레이션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에서 추천된 도서를 내용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대상은 23개 공공도서관에서 수집한 35가지 온라인 북큐레이션 서비스와 11,447권의 추천도서 목록이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부 도서관들만 추천주제를 제시하고 있었고, 추천대상은 특정한 대상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도서의 추천주기는 월별이 가장 많았다. 대체로 추천되는 도서는 서로 중복되지 않지만, 2019~2021년에 발행된 ‘문학’(소설)에서는 중복이 있었다. 추천도서는 일부 발행처에서 출판한 도서의 비중이 높았으며, 2019~2021년에 발행된 도서들이 가장 많았다. KDC 6판 기준으로 분석한 주제분야는 ‘문학’이 가장 많았다. ISBN 부가기호 기준으로 분석한 독자대상은 ‘교양’, ‘아동’ 도서 순으로 나타났고, 발행형태는 ‘단행본’과 ‘그림책, 만화’ 순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을 위한 온라인 북큐레이션 서비스 지침을 개발하고 플랫폼을 구축하여 도서관들이 공유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공공도서관, 북큐레이션, 사서추천, 추천도서, 내용분석, Public Library, Book Curation, Librarian Recommendation, Recommended Book, Content Analysi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online book curation services and recommended books list by public libraries in Korea and to identify their properties. The case for analysis is a list of 11,447 recommended books provided by 35 online book curation services collected from 23 public libraries an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Only few case libraries were presenting recommendation themes, and recommendation targets were most often not specific, and the recommendation cycle of books was the most monthly. In general, books recommended for book curation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but there was overlap in the field of literature (novels) published in 2019~2021. For recommended books, the proportion of books published by some publishers was high, and books published in 2019~2021 were the most common. The subject areas analyzed based on the KDC 6th ed were literature the most. Readers analyzed by ISBN were of in the order of cultural books and children’s books, and the type of publication was in the order of books, pucture books, and comic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required to develop guidelines for online book curation service for public libraries and build a platform to share with libraries.

keywords
공공도서관, 북큐레이션, 사서추천, 추천도서, 내용분석, Public Library, Book Curation, Librarian Recommendation, Recommended Book, Content Analysi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