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류의 내용 요소 전개에 관한 연구 - 학습 내용의 내재적 통일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tent Components in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s: Focusing on the internal coherence of the learning content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2, v.53 no.4, pp.25-44
https://doi.org/10.16981/kliss.53.4.202212.25
소병문 (공주대학교)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 3종의 내용 요소가 어떻게 전개되는가를 살펴보고, 향후 교과서 개발에 참고할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 3종은 시간을 달리해 순차적으로 개발되었으며, 개별 교과서별 특징이 분명하게 구분된다. 「정보와 매체」(1996)와 「도서관과 정보생활」(2011)의 내용 요소는 선조적 구성으로 전개되는 반면, 「정보와 도서관」(2002)은 주제 중심의 단회성 프로젝트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교과서의 단원은 학습목표-학습내용-학습활동이 고르게 의미상 관계성을 맺어야 한다. 하지만 정보활용교육 관련 교과서의 경우, 일부 단원에서 학습목표와 내용, 활동 사이의 관계가 단절되는 사례가 나타난다. 이런 단절은 교과서 내용 요소의 전개에 있어 신뢰성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만큼 향후 교과서 개발에 있어 충분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

keywords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formation Literacy, Teacher Librarian,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Education, 정보활용교육, 정보활용능력, 사서교사, 정보활용교육 교과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ntent components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s develop and is to fi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of textbook publication. Three kinds of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s were published sequentially over time. The content components of 「Information and media」(1996)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2011) are processed by filament structure and 「Information and library」(2002) has a topic-driven project activity. Generally, a small lesson unit of the textbook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learning goals, learning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and each component in the unit have to make semantic close relationships. However, in some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s, there are cases that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goals, contents, and activities are cut off. This disconnection cases can be a fatal drawback for the reliability of textbooks, so sufficient attention is needed to develop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s later.

keywords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formation Literacy, Teacher Librarian, Information Literacy Textbook, Education, 정보활용교육, 정보활용능력, 사서교사, 정보활용교육 교과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