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국내 공공도서관의 목록 보강콘텐츠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ys to Improve Catalog Enriched Content Services in Domestic Public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3, v.54 no.4, pp.255-279
https://doi.org/10.16981/kliss.54.4.202312.255
주소현(So-Hyun Joo)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이수상(Soo-Sang Lee)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공공도서관과 국내 공공도서관의 목록 보강콘텐츠 서비스 제공 현황 비교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국내 공공도서관을 위한 목록 보강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2023년 9월 초부터 10월 중순까지 미국과 국내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특정 도서를 검색한 후, 검색결과에 나타난 보강콘텐츠 서비스 기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 보강콘텐츠 서비스는 별도의 업체에서 보강콘텐츠 서비스 솔루션을 개발 후, 제공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둘째, 보강콘텐츠 서비스 솔루션은 도서중심정보, 도서추천정보, 이용자참여정보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정보원을 발굴해야 한다. 셋째, 도서관정보나루와 같은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보강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각 통합도서관은 지역커뮤니티 참여 서비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보강콘텐츠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keywords
공공도서관, 목록보강, 보강콘텐츠 서비스, 디스커버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through a comparison of the current status of catalog enriched content services provision in U.S. public libraries and domestic public libraries. In addition, we are seeking ways to improve the catalog enriched content services for domestic public libraries in the future. From early September to mid-October 2023, specific books were searched on public library websites in the U.S. and Korea, and the functions of the enriched content services shown in the search results were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omestic public library enriched content services require a separate company to develop and provide an enriched content services solution. Second, the enriched content services platform must discover domestic information sourc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areas of book-centered, book recommendation, and community engage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enriched content using public data such as the Library Information Naru. Fourth, each integrated library must that data generated from local community engagement services can be utilized as an enriced content service.

keywords
Public Libraries, Catalog Enrichment, Enriched Content Services, Discovery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11-21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2-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