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시민성 프로그래밍: 미국의 미래 도서관 수상 도서관을 중심으로

Digital Citizenship Library Programming in Award-Winning Libraries of the Future: A case review of publ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23, v.54 no.4, pp.359-392
https://doi.org/10.16981/kliss.54.4.202312.359
홀리스터조나단(Jonathan M. Hollister)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이지수(Jisue Lee)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디지털 시민성은 온라인의 타인과 정보 및 미디어와 상호작용함에 있어 변화하는 기술을 효과적이고 윤리적으로 사용하는데 관련된 지식과 기술의 집합체를 포함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기술에 대한 접근과 활용교육을 제공해 온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을 디지털 시민성 관점에서 분석하여 잠재적인 트렌드와 모범실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난 11년동안 미국 ALA가 수여한 미래의 도서관 상을 수상한 공공도서관 7곳을 유의 추출하여 각 도서관 웹사이트에 공개된 2개월 동안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Ribble과 Park(2019)의 디지털시민성 9개 요소를 기준으로 5세 이상부터 노인층까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337개 프로그램 제목과 설명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시민성 요소 중 컴퓨터와 기술 이용 관련 디지털 접근과 디지털 유창성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석 결과와 사례 제시를 통해 공공도서관이 디지털 시민성의 나머지 7가지 요소들을 현행 프로그램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하고, 모든 연령층 이용자를 위한 포용적이고 접근성 높은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제공하며, 다양한 이해당사자와 공동체 협력을 통해 자원과 전문성을 확대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디지털 시민성, 디지털 시민교육, 공공도서관 프로그램, 사례 검토, 내용분석

Abstract

Digital citizenship includes an evolving set of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effectively and ethically using technology, especially when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information, and media in the online context. As public libraries have long provided access to and training with a variety of technologies, this study explores how digital citizenship has been covered in public library programming to identify potential trends and best practices. A purposive sampling of public library recipients of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LA) and Information Today Inc.’s Library of the Future Award over the past 11 years (2013-2023) identified 7 case libraries to review. The titles and descriptions of 337 relevant library programs for audiences of school-aged children(5 years old and up) to seniors were collected for a 2-month period from each library’s website and analyzed using Ribble & Parks (2019) 9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The findings suggest that programming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most often addresses themes connected to digital access and digital fluency through coverage of topics related to computer and technology use. Based on themes and examples from the findings, public libraries are encouraged to expand upon existing programs to integrate all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strive for inclusive and accessible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for all ages, and leverage resources and expertise from relevant stakeholders and community partnerships.

keywords
Digital Citizenship,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Public Library Programs, Case Review, Content Analysi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11-27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2-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