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상담자의 언어반응과 내담자의 친애욕구가 상담의 과정변인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 OF COUNSELOR'S VERBAL RESPONSE AND CLIENT'S LEVEL OF NEED AFFILIATION UPON PROCESS VARIABLES IN COUNSEL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 및 내담자 요인이 상담의 과정변인 (내담자의 상담자에 대한 호감도, 내담과의 자기탐색 및 감정 표현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보고자 했다. 상담자 요인으로서 상담자의 언어반응유형(사실기술적 또는 자기관여적)과 반응내용(긍정적 또는 부정적), 그리고 내담자 요인으로는 내담자의 친애욕구 수준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피험자를 대상으로 모의상담 대본을 사용한 실험방법과 실비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단일사례 연구방법을 병행하였다. 본실험연구는 2(자기관여적/사실기술적 언어반응유형)×2(긍정적/부정적 반응내용)×2(친애욕구의 고/저) 완전무선 요인설계를 사용하였다. 모의상담 실험연구의 결과에서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친애욕구가 높은 피험자는 상담자의 반응내용이 긍정적일 때는 사실기술 조건보다 자기관여 조건에서 상담자에 대해 더 높은 호감을 느끼나, 내용이 부정적일 때는 자기관여 조건보다 사실기술 조건에서 더 높은 호감을 느꼈다. 반면 친애욕구가 낮은 피험자는 내용이 긍정적일 때는 자기관여 조건보다 사실기술 조건에서 호감이 더 높았으나 내용이 부정적일 때는 반응유형에 따른 호감도 지각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언어반응 유형과 내용은 상호작용하여 피험자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으로 반응내용은 호감도 지각에, 그리고 반응유형은 전문성 지각에 일차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정서적 탐색수준은 호감도 수준과 관계가 깊어서 호감도가 높아지는 조건에서 정서적 탐색수준도 깊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인지적 탐색반응은 친애욕구 수준에 관계없이 자기관여 조건보다 사실기술 조건에서 더 많았다.

keywords

Abstract

Recent trends in empirical research on counseling tend to place stress on process research on close 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In the same vein, special significance is given to process goals, namely, client's attraction to counselor, client's self-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and feeling expression. This study has attempted to see how the interaction between counselor's variables-type self-involving/descriptive and valence positive/negative of counselor's statement-and client variable-level of need affiliation-affects client's response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variables, two research methods were adopted : experimental method as applied to undergraduate subjects using analogue counseling script, and single case experimental method as applied to client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study indicated that subjects whose need affiliation is high showed more attraction in the self-involving group than in the descriptive group in the case of positive valence but showed more attraction in the descriptive group than in the self-involving group in the case of negative valence. In the meantime, subjects whose need affiliation is low,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ttraction irrespective of the type of the statement in the case of negative valence, but showed more attraction in the descriptive group than in the self-involing group in the case of positive valence.

keyword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