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사이버상담에서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자기대화 및 가설형성 차이 분석
심혜숙(부산대학교) ; 이현진(부산대학교) pp.1-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상담에서 상담자의 경력에 따라 상담자 인지가 어떻게 달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사이버상담자 10명, 초심사이버상담자 10명이 3명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채팅상담을 실시하였고 상담 후 자기대화와 가설형성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사이버상담자의 자기대화는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대화 전체 개수와 자기대화 평균점수를 고려할 때 전문사이버상담자가 우수한 자기대화를 더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내담자에 대한 가설형성은 전문사이버상담자일수록 질적으로 우수한 가설을 형성하였으며 가설형성의 하위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self-talk’ and hypothesis formulation by counselors using experienced and novice cyber counselors. To perform this study, ten (10) experienced and ten (10) novice counselors interviewed three (3) counselees by way of the ‘chatting’ medium. After the interviews the counselors described the ‘self-talk’ and formed their hypotheses and were, in turn, rated.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talk’ among the counselors according to experience, (considering the total number and mean score of the ‘self-talk’) but the experienced cyber counselors used qualitatively superior ‘self-talk’ compared to the novices. Second: the experienced cyber counselors made qualitatively superior hypothese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low realms of hypothesis formulation.

자기표출훈련과 자기주장훈련이 불안신경증 환자의 불안수준에 미치는 효과
권성민(국립부곡병원) ; 이현림(영남대학교) ; 이철구(영남대학교) pp.17-3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불안신경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기표출훈련과 자기주장훈련을 실시하여 불안수준 완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이러한 치료적 효과가 얼마나 지속되는가에 대해서 추후검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정신병원에 치료를 받고 있는 T지역과 K지역에 거주하는 ○○병원 환자들 중 불안신경증환자 36명을 선발하여 자기표출훈련집단, 자기주장훈련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할당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주 1회씩 10주간 총 10회의 집단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사도구는 불안척도(인지적 불안척도, 정서적 불안척도, 생리적 불안척도)와 우울척도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자료분석은 훈련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훈련집단 변인과 반복측정된 검사시기 변인을 대상으로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자기표출훈련을 받은 불안신경증 환자들이 치료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환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불안감소를 보였는데 세부적으로 인지적 불안척도, 정서적 불안척도, 생리적 불안척도에서 모두 불안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자기주장훈련도 자기표출훈련과 동일하게 불안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기표출훈련집단과 자기주장훈련집단 모두 4주 후 실시한 추후검사에서 불안감소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assertive training arranged for decreasing levels of anxiety in anxiety neurose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in T and K area, thirty-six subjects who went through anxiety neuro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elve subjects were each assigned to a self-disclosure training group, an assertive training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group participated in a ten-session group training once a week for ten weeks except for the control group. The pretest, posttest, and the follow-up test that were administered to all the subjects after four weeks were us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anxiety scale (cognitive anxiety scale, affective anxiety scale, physiological anxiety scale).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treatment effect of each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subjects level of cognitive anxiety, affective anxiety, and physiological anxiety in the self-disclosure training group had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Also, the subjects level of cognitive anxiety, affective anxiety, and physiological anxiety in the assertive training group had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and follow-up test.

LCSI(Lim s Character Style Inventory)성격검사 개발
임승환(T&C 심리교육컨설팅) ; 한종철(연세대학교) pp.35-56
초록보기
초록

한국적으로 타당한 LCSI(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성격검사를 개발하기 위하여 심리척도 제작원리에 따라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104문항의 예비검사를 제작하여 성인남녀 6,12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문항들의 평정자료를 토대로 문항분석과 4번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 최종 79문항을 선발하였다. 제작된 79문항 5요인 모형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타당한 모형임이 입증되었다. 이밖에도 대인관계 중심의 4-유형과 5요인간의 관계를 사후검증하였다. 도전성은 외향적 사고형을, 사교성은 외향적 감정형을, 수용성은 내향적 감정형을, 신중성은 내향적 사고형을 대표하는 특성이었다. 그리고 대인민감성은 특정유형과 무관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LCSI 성격검사 하위척도별로 문항 수와 내적 일치도는 도전성; 19문항(Cronbach-α; .829), 사교성; 22문항(Cronbach-α; .919), 수용성; 14문항(Cronbach-α; .836), 신중성; 19문항(Cronbach-α; .907), 대인민감성; 10문항(Cronbach-α; .710)이었다. 이 중 수용성의 5문항은 도전성과 역방향으로 요인부하가 이루어져 두 척도에 배치함으로써 실제 문항 수는 84문항이다.

Abstract

Several studi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sychological scale manufacture to develop LCSI(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which is valid to Korean. First, the pilot inventory scale of 104 items was administered to 6,121 male and female adults. Based on the rated data of these items, item analyses and four time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done to select the final 79 items. With a confirming factor analysis, the Five-Factor Model of 79 items was verified to be a valid model.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the Five-factor were analyzed ex-post-facto. Each factor represented their corresponding each factor in Four-type: ‘Challenging’ represented Extraverted Thinking, ‘Sociability’ Extroverted Feeling, ‘Acceptability’ Introvert Feeling, and ‘Prudence’ Introverted Thinking, but ‘Interpersonal Sensitivity’ had nothing to do with any particular type.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items and the degree of internal congruency of each subscale, the developed final LCSI(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appeared as follows: Challenging; 19 items(Cronbach-α; .829), Sociability; 22 items(Cronbach-α; .919), Acceptability; 14 items(Cronbach-α; .836), Prudence; 19 items(Cronbach-α; .907),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10 items(Cronbach-α; .710). Among the items for Acceptability, 5 were reverse load factors in both Acceptability and Challenging, so they were arranged in those two subscales, with the actual number of overall items being 84.

LCSI(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성격검사 개발
임승환(T&C 심리교육컨설팅) ; 한종철(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35-56
초록보기
초록

한국적으로 타당한 LCSI(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성격검사를 개발하기 위하여 심리척도 제작원리에 따라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104문항의 예비검사롤 제작하여 성인남녀 6, 121명올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문항들의 평정자료를 토대로 문항분석과 4번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 최종 79문항을 선발하였다. 제작된 79문항 5요인 모형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타당한 모형임이 입중되었다. 이밖에도 대인관계 중심의 4-유형과 5요인간의 관계를 사후검증하였다 도전성은 외향적 사고형을, 사교성은 외향적 감정형올, 수용성은 내향적 감정형을, 신중성은 내향적 사고형을 대표하는 특성이었다. 그리고 대인민감성은 특정유형과 무관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LCSI 성격검사 하위척도별로 문항 수와 내적 일치도는 도전성; 19문항(Cronbach- α .829), 사교성; 22문항(Cronbach- α .919), 수용성; 14문항(Cronbach- α .836), 신중성; 19문항(Cronbach- α .907), 대인민감성; 10문항(Cronbach- α 710)이었다 이 중 수용성의 5문항은 도전성과 역방향으로 요인부하가 이루어져 두 척도에 배치함으로써 실제 문항 수는 84문항이다.

Abstract

Several studi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psychological scale manufacture co develop LCSI(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which is valid to Korean. First, the pilot inventoiy scale of 104 items was administered to 6,121 male and female adults. Based on the rated data of these items, item analyses and four time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done to select the final 79 items. With a confirming factor analysis, the Five-Factor Model of 79 items was verified to be a valid model.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the Five-factor were analyzed ex-post-fiacto. Each factor represented their corresponding each factor in Four-type: 'Challenging' represented Extraverted Thinking, "Sociability' Extroverted Feeling, 'Acceptability' Introvert Feeling, and 'Prudence' Introverted Thinking, but 'Interpersonal Sensitivity' had nothing to do with any particular type. With regard to the number of items and the degree of internal congruency of each subscale, the developed final LCSI(Lim's Character Style Inventory) appeared as follows: Challenging; 19 items(Cronbach- α .829),Sociability; 22 items(Cronbach- α .919), Acceptability; 14 items(Cronbach- α .836), Prudence; 19 items(Cronbach- α .907),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10 items(Cronbach- α .710). Among the items for Acceptability, 5 were reverse load factors in both Acceptability and Challenging, so they were arranged in those two subscales, with the actual number of overall items being 84.

완벽주의 질문지(PQ)에서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구분의 타당성 연구
이윤아(연세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57-7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 질문지(PQ)에서의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에 대한 구분방법, 즉 PQ의 하위척도인 완벽주의 성향(PT)이 높은 집단을 완벽주의 집단으로 보고,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가 높으면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 부정적 결과(NC)가 낮으면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으로 나누는 구분방법이 역기능적 집단의 적응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는 점에 이의를 제기하여, PT와 NC가 완벽주의의 긍정적/부정적 특성, 그리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과 어떠한 양상으로 연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로, 완벽주의의 긍정적/부정적 특성은 각각 완벽주의의 기능/역기능과 관련된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Hewitt와 Flett(1991)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를 준거로 하여, MPS에서 완벽주의의 ‘긍정적 성취욕구 요인’인 ‘자기지향 완벽성’과 ‘부정적 평가염려 요인’인 ‘사회부과 완벽성’이 완벽주의 성향(PT)과 부정적 결과(NC)와 어떠한 양상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둘째로, PQ에서의 기능/역기능과 관련된 완벽주의 성향을 예측해주는 동기적 속성과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성취목표를 사용하여 완벽주의 성향(PT)과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가 성취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관적으로 완벽주의 성향(PT)은 완벽주의의 긍정적 성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으로서 ‘긍정적인 접근지향성 성취목표’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는 완벽주의의 부정적 성향과 긍정적 성향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으로서 ‘부정적인 회피지향성 성취목표’와 ‘긍정적인 접근지향성 성취목표’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PQ에서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을 구분하는 방법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와 제안이 언급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how Perfectionism Tendency (PT) and Negative Consequence (NC) that consist of Perfectionism Questionnaire (PQ) are related to the positive/negative,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in regard to dividing groups in functional/ dysfunctional Perfectionism. First,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in PQ and positive/negative and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the correla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how ‘self-oriented perfectionism’, as a ‘positive striving need factor’,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s a ‘maladaptive evaluation need factor’, are related to Perfectionism Tendency and Negative Consequence. For thi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ewitt and Flett, 1991), which measured positive/ negative and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was used.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Perfectionism Tendency and Negative Consequence on the achievement goal, for the purpose of pro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As a result, Perfectionism Tendency (PT)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which is a positive and 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P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power significantly with the positive approach orientation, which is a motivational attribute perfectionism. And, Negative Consequence (NC)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s a negative and 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s a positive and 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In addition, NC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coefficient significantly with the negative avoidance-oriented achievement goal and positive approach-oriented achievement goal that are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From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on the method of dividing groups of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in Perfectionism Questionnaire.

완벽주의 질문지(PQ)에서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구분이 타당성 연구
이윤아(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기학(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57-7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 질문지(PQ)에서의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에 대한 구분방법, 즉 PQ의 하위척도인 완벽주의 성향(PT)이 높은 집단을 완벽주의 집단으로 보고,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가 높으면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 부정적 결과(NC)가 낮으면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으로 나누는 구분방법이 역기능적 집단의 적응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는 점에 이의를 제기하여, PT와 NC가 완벽주의의 긍정적/부정적 특성, 그리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과 어떠한 양상으로 연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로, 완벽주의의 긍정적/부정적 특성은 각각 완벽주의의 기능/역기능과 관련된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Hewitt 와 Flett(1991)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를 준거로 하여, MPS에서 완벽주의의 '긍정적 성취욕구 요인'인 '자기지향 완벽성'과 '부정적 평가염려 요인'인 '사회부과 완벽성'이 완벽주의 성향(PT)과 부정적 결과(NC)와 어떠한 양상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둘째로, PQ에서의 기능/역기능과 관련된 완벽주의 성향을 예측해주는 동기적 속성과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성취목표를 사용하여 완벽주의 성향(PT)과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가 성취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관적으로 완벽주의 성향(PT)은 완벽주의의 긍정적 성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으로서 '긍정적인 접근지향성 성취목표'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는 완벽주의의 부정적 성향과 긍정적 성향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으로서 '부정적인 회피지향성 성취목표'와 '긍정적인 접근지향성 성취목표'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PQ에서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을 구분하는 방법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와 제안이 언급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how Perfectionism Tendency (PT) and Negative Consequence (NC) that consist of Perfectionism Questionnaire (PA) are related to the positive/negative,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in regard to dividing groups in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First,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in PQ and positive/negative and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the correla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how 'self-oriented perfextionism', as a 'positive striving need factor',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s a 'maladaptive evaluation need factor', are related to Perfectionism Tendency and Negative Consequence. For thi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ewitt and Flett, 1991), which measured positive/negative and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was used.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Perfectionism Tendency and Negative Consequence on the achievement goal, for the purpose of pro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As a result, Perfectionism Tendency (PT)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which is a positive and 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P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power significantly with the positive approach orientation, which is a motivational attribute perfectionism. And, Negative Consequence (NC)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s a negative and 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s a positive and 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In addition, NC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coefficient significantly with the negative avoidance-oriented achievement goal and positive approach-oriented achievement goal that are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From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on the method of dividing groups of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in Perfectionism Questionnaire.

개별성-관계성과 자기위로능력관계에서자의식의 조절효과
한기연() pp.75-89
초록보기
초록

개인의 성격 특성 중 개별성, 관계성에 따라 자기위로능력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대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관계성이 높은 사람이 자기 위로 능력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기 위로 능력의 하위 요인인 신체적으로 위로하기, 회복력, 자기노출 및 스스로 위로하기의 네 영역 전반에 걸쳐서 나타났다. 또한 개별성과 관계성의 특성이 자기 위로 능력과 관련이 있는 정도가 자의식의 유형에 따라 조절되는 가를 연구하였다. 결과는 사적 자의식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관계성과 자기 위로 능력간의 상관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서 자의식이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기 위로 능력이 대상관계이론에 따른 인간의 발달 과정에서 분리 개별화 단계의 발달과 관계가 깊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즉, 타인과의 친밀한 유대 및 상호의존성을 강조하는 관계성이 발달한 개인이, 타인과 분리된 독자성을 추구하는 개별성이 발달한 사람에 비해 자기 위로 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자의식의 유형 중 사적 자의식이 발달한 사람은 자신의 내적 욕구나 감정, 생각의 변화에 민감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고 수용하는 데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적 자의식이 관계성과 자기위로능력 사이에서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자기 위로 능력의 개념적 이해를 새롭게 할 수 있었으며, 상담 장면에서 사적 자의식의 개발 및 타인과의 관계성에 대한 관심을 조망하여서 내담자의 건강한 자기 돌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soothing ability in college students.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ndividuality-relatedness on soothing ability and the modulating effects of self-conscioussness on that influence. Results indicated, first, that the high relatedness group showed a high sooth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high individuality group.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latedness and the soothing ability became higher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Results of present study supported that the relatedness is more important variable to predict the soothing ability. Futhermore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among the various self-consciousness variables, also has strong effect on the self-soothing abili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we identified the related variables for the soothing ability and we will able to applicate this result on the counseling situation. Thus counselors can help clients have better soothing ability in life through enhancing their relatedness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traits.

한국인의 나의식-우리의식과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조윤경(고려대학교) pp.91-109
초록보기
초록

나의식과 우리의식이 심리학적 다른 변인들, 즉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대인관계문제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연구의 결과가 임상 및 상담장면에서 활용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나의식-우리의식과 개별성-관계성, 심리사회적 성숙도,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의식-우리의식과 개별성-관계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나의식은 개별성 및 관계성 둘 다와 관련이 높으나 관계성과 관련이 더 높았으며 우리의식은 관계성과는 관련이 높으나 개별성과는 부적인 관련이 있었다. 둘째, 나의식-우리의식과 심리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에서는 나의식과 우리의식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성숙도가 높았다. 그러나 나의식의 하위요인인 자기우월성과 우리의식의 하위요인인 우리에 대한 회의가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성숙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의식-우리의식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는 나의식과 우리의식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문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의식의 하위요인인 자기우월성과 우리의식의 하위요인인 우리에 대한 회의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문제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문화에 맞는 한국인의 특성에 입각한 나의식-우리의식 척도와 다른 심리학적 변인들과의 관계를 통해, 나의식과 우리의식의 특성을 밝혔으며 이와 관련된 대인관계문제와 심리사회적 성숙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한국문화에서의 나의식과 우리의식의 개념을 통해서 대인관계와 심리적 적응의 문제에 관한 치료와 예방의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I-consciousness and we-consciousness, and other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dealt with using I-consciousness-we-consciousness measures. The research is about the relationships among I-consciousness-we-consciousness, individuality-relatedness, psychosocial matur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I-consciousness-we-consciousness and psychosocial maturity, interpersonal problems was certified. As a result, this study hints at treatment and prevention based on inter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adaptability through such concepts as I-consciousness and we-consciousness.

여대생의 이상식사행동 수준에 따른 심리적, 정서적 특성
이정윤(안양대학교) pp.111-12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식사장애의 연속선 가설을 검증해 보고, 이상식사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심리적, 정서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여대생 피험자 92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895명의 자료가 상관과 회귀분석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상식사행동 유형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폭식경향집단으로 선발된 46명에 맞춰 정상식사 및 절식행동집단을 각각 선발하였다. 집단간 차이검증 결과, 불안과 분노, 마르고 싶은 욕구와 폭식경험에서는 정상집단, 절식집단, 폭식집단의 순으로 점수가 높아져 연속선 가설을 지지하였으며, 우울과 신체불만족, 내면자각에서는 폭식집단의 점수가 정상 및 절식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비연속선 가설을 지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신경성 폭식증의 정신병리의 이요인모델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회귀분석결과, 이상식사행동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정서적 변인은 우울과 자존감이었고, 심리적 변인은 마르고 싶은 욕구, 폭식경험, 신체불만족과 완벽성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validity of the continuum hypothesis of eating disorder and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to explain abnormal eating. 895 cases of 924 college women are included and three groups(normal eaters, restrained eaters, bulimic eaters, each groups n=46) were selected to test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groups. Scores on Anxiety, Anger, Drive for Thinness, and Bulimia increased in a linear fashion, supporting the continuum hypothesis of eating disorder. In contrast, scores on Depression, Body Dissatisfaction, and Interoceptive Awareness did not. The results support a 2-component model of the psychopathology of bulimia nervosa.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bnormal eating was influenced by Depression, Self-Esteem, Drive for Thinness, Bulimia, Body Dissatisfaction, and Perfectionism.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한국형 성격검사 개발을 위한 요인 분석적 연구: MBTI Workshop의 경험적 자료에 기반한 성격특성문장의 수집과 분석
임승환(T&C 심리교육컨설팅) pp.125-146
초록보기
초록

대인관계중심의 성격유형론을 근거로 한 경험적 자료들을 활용하여 한국형 성격검사의 구인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성격유형 워크샾을 진행하여 정신적으로 건강한 한국의 성인남녀들의 성격, 행동특성 자료를 수집하였다. 외향적 사고형, 외향적 감정형, 내향적 사고형, 내향적 감정형의 다양한 특성들을 내용분석하여 척도제작의 기초문항으로 전환하였다. 이 과정은 2인의 전문가에 의해 신뢰성을 검증받았으며 최종적으로 정상 특성영역 216문항과 문제 특성영역 80문항의 총 296문항을 구성하였다. 1차로 성인남녀 46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296문항의 평가자료를 토대로 요인분석을 하여 4-유형과 대체로 일치하는 요인을 정상특성 영역과 문제특성 영역 모두에서 확인하였다(4요인×2영역). 2차로 성인남녀 2,1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두 문항영역을 통합한 160문항의 평가자료를 토대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5가지의 구인을 도출하였다. 그 중 4가지 구인은 내용상 4-유형과 직접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하나의 구인은 성격의 효율적 기능여부를 반영하는 문제 특성 중심의 구인이었다. 5가지 구인의 명칭은 도전성, 사교성, 수용성, 신중성 그리고 대인민감성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carry out the basic research for identifying and establishing the factors and the structures of new character inventory utilizing empirical data based on personality typology theory focused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rst, through the personality typology workshops, the data of personality and behavior traits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who have good mental health was gathered,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By these processes, various traits of Four-type (Extroverted Thinking, Extroverted Feeling, Introverted Thinking, and Introverted Feeling) centered on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analyzed and reduced into basic items to create the inventory scale. These processes were verified by two professionals for reliability, and then a final 296 items with 216 items of normal traits domain, and 80 items of problematic traits domain were constructed. In the first period, 468 male and female adults were studied. With the factor analyses of the rated data for the 296 items, the factors roughly consistent with both normal and problematic trait domains were identified(4 factors×2 domains). In the second period, 2,149 male and female adults were studied. The rated data for the 160 items, which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two domains, were factor analyzed to produce five constructive factors. Four of the five constructive factors were directly related with the Four-type in their contents, and the fifth one was the constructive factor centered on problematic traits reflecting effective functioning of personality. The names of the five constructive factors were 'Challenging related to Extraverted Thinking', 'Sociability related to Extraverted Feeling', 'Acceptability related to Introverted Feeling', 'Prudence related to Introverted Thinking',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with no particular relationship with Four-type.

logo